목차
1. 근대 철학의 몰락
2. 포스트 모더니즘을 향하여
a. 사고(思考)는 언어로써만 가능하다.
b. 그런데 언어는 실재를 있는 그대로 표현할 수 없다.
c. 그러므로 언어를 근거로 한 진리의 체계는 불가능하다. 진리는 불가능하며 모든 의미는 상대화된다.
d. 진리 체계(형이상학)가 부정되면 이것을 토대로 한 도덕이 부정되고 남는 것은 삶 자체이다.
e. 도덕이 부정된 삶 속에서 남는 것은 의지뿐이다.
3. 니체는 포스트모더니스트인가?
2. 포스트 모더니즘을 향하여
a. 사고(思考)는 언어로써만 가능하다.
b. 그런데 언어는 실재를 있는 그대로 표현할 수 없다.
c. 그러므로 언어를 근거로 한 진리의 체계는 불가능하다. 진리는 불가능하며 모든 의미는 상대화된다.
d. 진리 체계(형이상학)가 부정되면 이것을 토대로 한 도덕이 부정되고 남는 것은 삶 자체이다.
e. 도덕이 부정된 삶 속에서 남는 것은 의지뿐이다.
3. 니체는 포스트모더니스트인가?
본문내용
을 뿐이며 결코 세계에 대한 “큰 그림”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니체는 총체적 진술들이 궁극적인 근거가 없다고 해서 그것을 거부해야 된다고 보지는 않는다. 총체적 진술들을 포기하기보다는 니체는 수많은 가능성을 즐기고 있다. “총체성”, “의미”, “실체”에 대해 전쟁을 선언하기보다는 예술가로서 그들에 대응한다. 니체가 보기에 “의미”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창조적인 행위로 보아야 한다. 니체는 총체적인 진술을 전투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 각자의 실존적 주관적 삶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보았다. 역사와 경험의 파편들을 재료 삼아서 이 세계와의 기쁨에 찬 주관적 평화를 구축하는 수단으로서 “큰 그림”을 그려야 하는 것이다.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 리스 논문. 김용찬
추천자료
포스트모더니즘에 대비되는 모더니즘의 특징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하여...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표현주의. 신표현주의의 정의와 각시대의 무용작품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점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성격과 현상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알아보고 문화예술에서의 특징서술
여성주의, 포스트모더니즘, 이야기, 울트라모더니즘 치료
[윤리교육]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경계에서 [달려라 아비, 근대화된 도시 속의 소통의 문제, 김애...
도시공간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의 이해(두 이론의 주요 내용을 비교분석)
모더니즘modernism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과 여가 책요약][8장 포스트모던 여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