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방광암 (bladder cancer)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검사
5. 분류
6. 치료
7. 간호
8. 예방
Ⅱ. CASE STUDY
A. 간호사정
1. 일반적 배경(General Information)
2. 건강력 (Health History)
3. 신체검진 (Physical Examination)
4. 영양
5. 개인위생
6.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7. 정서적 상태
8. 규칙적인 운동 실시 여부
9. 수면과 휴식 및 스트레스, 건강관리
10. 영적 욕구
11. 진단검사
12. 처 치
13. 간호과정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검사
5. 분류
6. 치료
7. 간호
8. 예방
Ⅱ. CASE STUDY
A. 간호사정
1. 일반적 배경(General Information)
2. 건강력 (Health History)
3. 신체검진 (Physical Examination)
4. 영양
5. 개인위생
6.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7. 정서적 상태
8. 규칙적인 운동 실시 여부
9. 수면과 휴식 및 스트레스, 건강관리
10. 영적 욕구
11. 진단검사
12. 처 치
13. 간호과정
본문내용
로 생기는 신체변화로 인해
우울감과, 분노감 등의 심리적 변화가 자연스러운 것이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연히 소실될 것이라는 것을 교육하고, 인공루에 대해 자연스럽게
이야기 할 수 있도록 돕고 수술과 관련된 고민을 듣고 상담하였다.
(요로전환을 한 환자는 신체의 변화된 현실에 대해 깊은 슬픔을 느끼고,
우울해 하거나 화를 내기도 하므로 이에 간호사의 올바른 정보제공을 통해
환자는 자연스러운 현상임을 인지하고, 소실될 감정이라고 여겨 우울감과
불안, 분노를 완화시킬 수 있으며 보호자들도 이를 알고 환자의 변화에 대해
수용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환자와 보호자 모두 고민을 간호사에게 토로하고
상담을 함으로써 통해 불안함을 해소하고 적극적으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주체가 되어 빠르게 몸의 변화를 받아들여 사회에 복귀 할 수 있다.)
3. 대상자와 보호자(부인과 딸)에게 요로전환술의 합병증 초기징후와 증상을
환자의 이해도에 맞는 적절한 의사소통으로 설명하고 교육하였다.
(요로전환술 중 요관회장문합술의 합병증 증상 및 초기징후
: 요관회장문합술의 폐쇄, 요로감염, 문합부위에서 요의 누출, 배뇨계 협착,
수신증, 결석 형성, 탈장, 요독증, 피부자극, 궤양과 루의 결손 등 ..
요관회장문합술의 수술 후 합병증 징후를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함으로써
대상자와 보호자가 수술 후 주체적으로 합병증의 징후에 대해 관찰하고,
이를 빠르게 발견하여 심각한 합병증을 조기치료할 수 있다. )
11/5
간호평가
대상자는 신루의 피부간호, 요배설법, 전반적 자가간호 방법을 구두로
말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15. 간호과정
#2
월/일
간호과정
11/3
간호사정
Subjective:
‘자꾸 아파지는구만 약은 없나?’
‘내가 배가 아픈데 원래 아픈건가?’
Objective:
post op #1 (cystoscopy + biopsy)
72세노인, 교육정도: 하, NRS 6점
간호진단
#2. 수술부위와 관련된 통증
11/2
간호
목표
대상자는 수술부위와 관련된 통증이 6에서 3으로 줄어든다.
11/2
간호계획
1. 대상자의 통증척도를 통한 통증정도, 양상 등을 사정한다.
2. 대상자의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중재를 실시 및 교육한다.
3. 필요 시 처방된 약물을 투약한다.
11/2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에게 NRS 통증척도를 통한 통증정도, 양상 등을 사정한다.
(대상자의 통증의 정도와 양상에 따른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통증사정을 통해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중재 또한 유추할 수 있다.)
(통증사정 : NRS 6점, 찌르는 듯한 통증, 움직일 시에 더욱 심해짐)
2. 대상자와 보호자(부인과 딸)에게 수술 후 통증이 정상적임을 설명하고,
통증완화를 위한 방법을 교육한 뒤, 통증완화를 위한 PCA 사용법을 교육했다.
(대상자는 통증이 수술 후 정상적인 반응임을 인지함으로써 통증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완화될 것을 미리 예측함으로써 통증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그로써 심리적 안정으로 불안을 완화 할 수 있으며, 움직일 시에 심해지는
통증에 대해서 행동 시 수술부위를 지지하며 움직이도록 교육하고,
PCA의 사용법에 대해서 교육하여 통증완화에 도움을 준다. )
3.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하여 NRS 통증척도를 통해 통증을 사정 한 뒤,
처방된 PRN 약물을 투여하고 이 후, 1시간동안 15분 간격으로 대상자의
V/S를 사정하였다.
(PRN 처방이 있을 시, 통증을 NRS 사정척도를 통해 대상자를 사정한 후,
적정범위 수준 이상의 통증 시에 PRN 처방된 약물 투여를 통해 대상자의
통증을 감소시켜 대상자의 안위를 유지를 하는 간호를 제공하고,
투여 된 약물에 따른 과도한 진정효과나 호흡억제 등의 부작용을 관찰하기
위해서 15분마다 Vital sign을 관찰, 기록하여 부작용의 초기징후를 감시한다.
- Vital Sign
( 1:00PM 36.8-96-14-120/70 / 1:15PM 36.5-96-16-120/70
1:30PM 36.5-96-16-130/70 / 1:45PM 36.5-96-20-130/70 )
11/3
간호평가
대상자에게 NRS를 통증을 사정하였을 시 통증이 2로 줄어들었다.
#3
월/일
간호과정
11/3
간호사정
Objective:
72세 노인
인공루 환자 설치 2일째
post op #2 (cystoscopy + biopsy)
간호진단
#3. 요로전환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11/3
간호
목표
대상자는 인공루 설치부위의 피부손상 초기 징후와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11/3
간호계획
대상자의 인공루 주머니를 2hr마다 관찰한다.
2. 대상자에게 인공루의 자가간호 방법을 교육한다.
11/3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인공루 주머니를 2hr마다 관찰하고, 대상자에게
(인공루 주머니의 요가 가득차면 요의 무게로 인해 인공루 설치판이
피부에서 떨어지거나 누출의 원인이 될 위험이 있다. )
2. 대상자에게 피부손상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도록 적절한
인공루의 피부간호, 자가간호 방법을 교육한다.
(피부손상을 줄일 수 있는 적절한 인공루 교육내용 :
착용기구가 인공루에 꼭 맞도록 접착시켜 피부에 요가 닿아 자극받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방지한다, 주머니를 교체할 시마다 인공루 주위의 피부를
비누와 물로 청결히 하고 건조시킨다. 접착물질이 피부에 붙어있으면
접착제 제거제로 제거 한다. 피부에 결정체가 있을 때는 희석한 식초용액으로
닦으면 쉽게 제거된다. 피부를 청결히 하는 동안 혹은 후에 피부로 요가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인공루의 위를 거즈나 휴지 뭉치로 대준다.
휴지뭉치를 제거되는 즉시 착용기구를 다시 부착시킨다.
아침에 요생성이 되므로 착용기구의 교환은 가능한 이른 아침 시간에 한다. )
11/4
간호평가
대상자는 인공루 설치부위의 발적, 감염 등의 피부손상 초기 징후와
증상을 보이지 않으며, 인공루 설치부위의 이상감, 통증등을 호소하지 않는다.
- 간호과정 문헌고찰
전시자 외 (2012)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Lewis 외 (2013), 성인간호학1, 현문사
최순희 외(2011), 간호과정, 현문사
우울감과, 분노감 등의 심리적 변화가 자연스러운 것이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연히 소실될 것이라는 것을 교육하고, 인공루에 대해 자연스럽게
이야기 할 수 있도록 돕고 수술과 관련된 고민을 듣고 상담하였다.
(요로전환을 한 환자는 신체의 변화된 현실에 대해 깊은 슬픔을 느끼고,
우울해 하거나 화를 내기도 하므로 이에 간호사의 올바른 정보제공을 통해
환자는 자연스러운 현상임을 인지하고, 소실될 감정이라고 여겨 우울감과
불안, 분노를 완화시킬 수 있으며 보호자들도 이를 알고 환자의 변화에 대해
수용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환자와 보호자 모두 고민을 간호사에게 토로하고
상담을 함으로써 통해 불안함을 해소하고 적극적으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주체가 되어 빠르게 몸의 변화를 받아들여 사회에 복귀 할 수 있다.)
3. 대상자와 보호자(부인과 딸)에게 요로전환술의 합병증 초기징후와 증상을
환자의 이해도에 맞는 적절한 의사소통으로 설명하고 교육하였다.
(요로전환술 중 요관회장문합술의 합병증 증상 및 초기징후
: 요관회장문합술의 폐쇄, 요로감염, 문합부위에서 요의 누출, 배뇨계 협착,
수신증, 결석 형성, 탈장, 요독증, 피부자극, 궤양과 루의 결손 등 ..
요관회장문합술의 수술 후 합병증 징후를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함으로써
대상자와 보호자가 수술 후 주체적으로 합병증의 징후에 대해 관찰하고,
이를 빠르게 발견하여 심각한 합병증을 조기치료할 수 있다. )
11/5
간호평가
대상자는 신루의 피부간호, 요배설법, 전반적 자가간호 방법을 구두로
말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15. 간호과정
#2
월/일
간호과정
11/3
간호사정
Subjective:
‘자꾸 아파지는구만 약은 없나?’
‘내가 배가 아픈데 원래 아픈건가?’
Objective:
post op #1 (cystoscopy + biopsy)
72세노인, 교육정도: 하, NRS 6점
간호진단
#2. 수술부위와 관련된 통증
11/2
간호
목표
대상자는 수술부위와 관련된 통증이 6에서 3으로 줄어든다.
11/2
간호계획
1. 대상자의 통증척도를 통한 통증정도, 양상 등을 사정한다.
2. 대상자의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중재를 실시 및 교육한다.
3. 필요 시 처방된 약물을 투약한다.
11/2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에게 NRS 통증척도를 통한 통증정도, 양상 등을 사정한다.
(대상자의 통증의 정도와 양상에 따른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통증사정을 통해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중재 또한 유추할 수 있다.)
(통증사정 : NRS 6점, 찌르는 듯한 통증, 움직일 시에 더욱 심해짐)
2. 대상자와 보호자(부인과 딸)에게 수술 후 통증이 정상적임을 설명하고,
통증완화를 위한 방법을 교육한 뒤, 통증완화를 위한 PCA 사용법을 교육했다.
(대상자는 통증이 수술 후 정상적인 반응임을 인지함으로써 통증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완화될 것을 미리 예측함으로써 통증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그로써 심리적 안정으로 불안을 완화 할 수 있으며, 움직일 시에 심해지는
통증에 대해서 행동 시 수술부위를 지지하며 움직이도록 교육하고,
PCA의 사용법에 대해서 교육하여 통증완화에 도움을 준다. )
3.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하여 NRS 통증척도를 통해 통증을 사정 한 뒤,
처방된 PRN 약물을 투여하고 이 후, 1시간동안 15분 간격으로 대상자의
V/S를 사정하였다.
(PRN 처방이 있을 시, 통증을 NRS 사정척도를 통해 대상자를 사정한 후,
적정범위 수준 이상의 통증 시에 PRN 처방된 약물 투여를 통해 대상자의
통증을 감소시켜 대상자의 안위를 유지를 하는 간호를 제공하고,
투여 된 약물에 따른 과도한 진정효과나 호흡억제 등의 부작용을 관찰하기
위해서 15분마다 Vital sign을 관찰, 기록하여 부작용의 초기징후를 감시한다.
- Vital Sign
( 1:00PM 36.8-96-14-120/70 / 1:15PM 36.5-96-16-120/70
1:30PM 36.5-96-16-130/70 / 1:45PM 36.5-96-20-130/70 )
11/3
간호평가
대상자에게 NRS를 통증을 사정하였을 시 통증이 2로 줄어들었다.
#3
월/일
간호과정
11/3
간호사정
Objective:
72세 노인
인공루 환자 설치 2일째
post op #2 (cystoscopy + biopsy)
간호진단
#3. 요로전환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11/3
간호
목표
대상자는 인공루 설치부위의 피부손상 초기 징후와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11/3
간호계획
대상자의 인공루 주머니를 2hr마다 관찰한다.
2. 대상자에게 인공루의 자가간호 방법을 교육한다.
11/3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인공루 주머니를 2hr마다 관찰하고, 대상자에게
(인공루 주머니의 요가 가득차면 요의 무게로 인해 인공루 설치판이
피부에서 떨어지거나 누출의 원인이 될 위험이 있다. )
2. 대상자에게 피부손상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도록 적절한
인공루의 피부간호, 자가간호 방법을 교육한다.
(피부손상을 줄일 수 있는 적절한 인공루 교육내용 :
착용기구가 인공루에 꼭 맞도록 접착시켜 피부에 요가 닿아 자극받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방지한다, 주머니를 교체할 시마다 인공루 주위의 피부를
비누와 물로 청결히 하고 건조시킨다. 접착물질이 피부에 붙어있으면
접착제 제거제로 제거 한다. 피부에 결정체가 있을 때는 희석한 식초용액으로
닦으면 쉽게 제거된다. 피부를 청결히 하는 동안 혹은 후에 피부로 요가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인공루의 위를 거즈나 휴지 뭉치로 대준다.
휴지뭉치를 제거되는 즉시 착용기구를 다시 부착시킨다.
아침에 요생성이 되므로 착용기구의 교환은 가능한 이른 아침 시간에 한다. )
11/4
간호평가
대상자는 인공루 설치부위의 발적, 감염 등의 피부손상 초기 징후와
증상을 보이지 않으며, 인공루 설치부위의 이상감, 통증등을 호소하지 않는다.
- 간호과정 문헌고찰
전시자 외 (2012)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Lewis 외 (2013), 성인간호학1, 현문사
최순희 외(2011), 간호과정,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