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레이트(chelate : 착물)] 킬레이트 정의, 의약품에 사용되는 킬레이트 시약, 킬레이트 요법 (chelation therapy), 연구 중인 킬레이트 시약의 의약품으로의 사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킬레이트(chelate : 착물)] 킬레이트 정의, 의약품에 사용되는 킬레이트 시약, 킬레이트 요법 (chelation therapy), 연구 중인 킬레이트 시약의 의약품으로의 사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킬레이트(chelate, 착물)

(2) 의약품에 사용되는 킬레이트 시약

(3) 킬레이트 요법 (chelation therapy)

(4) 연구 중인 킬레이트 시약의 의약품으로의 사용

본문내용

하여 국소부위에 작용하는 암치료제로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해져서 사마리움(153Sm), 디스프로시움(165Dy), 홀뮴(166Ho), 에르븀(169Er) 등 뼈에 강한 친화력이 있는 란탄계 원소의 화합물들이 주로 골암치료제나 전이성 암동통 완화제로 개발되었다. 또한 β-방사선(negatron)을 방출하는 핵종들은 관절염치료제(radiation synovectomy)로도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이트리움(90Y), 홀뮴(166Ho), 인(32P) 등에 대해서는 glass bead, polylactic acid 및 양이온교환수지 등과 결합시켜 미소구형입자(microsphere)나 응집입자(macroaggregate)로 만들어 표적장기에 집중시킴으로서 간암, 관절염 등 난치성질환의 치료제로 개발하거나 166Ho을 DOTMP 또는 EDTMP등과 chelate를 만들어 골수이식의 전처리제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었으나 운반체로 사용된 물질이 체내에 잔류하여 부작용을 일으키거나 방사성물질이 표적부위 이외로 이행하여 다른 장기의 손상을 일으키는 등의 부작용으로 아직 임상응용에 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소는 고분자인 키토산이 란탄계금속과 강력히 결합하여 안정한 chelate를 이루며 pH에 따라 그 점도가 크게 변화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Holmium(166Ho)-chitosan complex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키토산은 게껍질, 새우껍질 및 오징어뼈등의 주 구성성분인 키틴을 탈아세틸화한 것으로 glucosamine이 β-1,4 결합으로 길게 중합되어 있고 금속 양이온과 킬레이트를 잘 형성하며 독성이 매우 적고 생분해성과 생체적합성이 뛰어날 뿐아니라 다양한 생체유용성을 나타내므로 이미 식품소재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의약품의 첨가제와 인공피부, 인공장기 등 의료용으로도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천연고분자이다.
홀뮴용액(166Ho)은 동결건조물인 Chitosan과 혼합되어 안정한 킬레이트를 형성하고 이 166Ho-Chitosan Complex는 pH 4 이하에서는 점조한 용액상태를 유지하나 체내 투여시 중성인 체액과 만나 pH가 올라가면 겔화되어 유동성이 적어진다. 따라서 166Ho은 투여된 종괴 내부에 분포하며 β방사선에 의하여 종괴세포를 괴사시키며 다른 장기로 누출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종괴내에 머물러 있으므로 간암종괴의 괴사 효율이 높으며 정상 조직에는 부작용을 극소화할 수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4.03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31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