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 Information
1. 당시의 시대적 배경
1) 스페인의 통일
2) 탐험가 포르투갈인
3) 향신료의 등장
4) 시대적 배경 종합
2. 콜럼버스의 첫 번째 출항
1) 출생에서 결혼까지
2) 출항 준비와 스페인의 지원
3. 첫 번째 항해
1) 항해 경과
2) 결과
4. 뒤이은 항해들
1) 두 번째 항해
2) 세 번째 항해
3) 네 번째 항해와 죽음
5. 콜럼버스의 삶과 평가
1) 과연 ‘신대륙’ ‘발견’인가?
2) Hispaniola섬의 비극
1. 당시의 시대적 배경
1) 스페인의 통일
2) 탐험가 포르투갈인
3) 향신료의 등장
4) 시대적 배경 종합
2. 콜럼버스의 첫 번째 출항
1) 출생에서 결혼까지
2) 출항 준비와 스페인의 지원
3. 첫 번째 항해
1) 항해 경과
2) 결과
4. 뒤이은 항해들
1) 두 번째 항해
2) 세 번째 항해
3) 네 번째 항해와 죽음
5. 콜럼버스의 삶과 평가
1) 과연 ‘신대륙’ ‘발견’인가?
2) Hispaniola섬의 비극
본문내용
도 없다. 현재의 미국을 영어로 United States of Colombo라고 쓰지 않는 이유는 이것이며, America라는 이름은 콜럼버스의 사후에 포르투갈 탐험가인 아메리고 베스푸치의 이름에서 따와 명명된 것이다. 하지만 콜럼버스는 죽을 때 까지 자신이 발견했다고 생각한 곳을 신대륙이라고 굳게 믿었다. 콜럼버스의 일생동안 그가 다녀간 곳은 그저 알려지지 않은 땅으로 지도상에 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당시의 동양 문물, 특히 향신료는 유럽에서 특별한 대우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인도에 더 빨리 가기 위한 항로를 발견하기 위함이라는 것은 다분히 경제적 이윤을 바탕에 두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항해를 위한 지원을 요청하면서도 각종 지위를 비롯해 자신이 발견하게 되는 신대륙에서의 이윤 중 일정 부분을 요구했던 사실에서 확연하게 드러난다.
그에게 있어서 미지의 신대륙은 바로 자신의 명예와 부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2) Hispaniola섬의 비극
그의 항해는 결과적으로 수 천 년 간 자신들 고유의 삶의 터전으로 여기고 살아오던 원주민들의 삶을 통째로 뒤흔들어 놓았다. 심지어 유럽인들은 직접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그들의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전혀 없었던 원주민들에게 생물적 재앙을 뿌리고 말았다.
첫 번째 항해에서 콜럼버스는 바하마 제도에서 이사벨라 여왕 부처에게 줄 ‘선물’로 원주민을 잡아간다. 처음부터 원주민들에 대해 이런 시각을 가지고 접근했기 때문에 Hispaniola섬의 원주민들이 불과 20년 사이에 겪은 참담하고 잔인한 일 들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였는지도 모른다.
Hispaniola는 20년 새에 무려 97%의 인구가 감소했다. 집단 학살과 질병, 노예로서의 삶 등 콜럼버스가 이끈 스페인 침략자들의 원주민들에 대한 수탈은 이렇게 참담한 결과로 이어졌다.
사실 그의 ‘발견’ 이후로 아메리카 대륙이란 존재가 유럽인들에게 각인되어 세계사의 큰 흐름이 새롭게 형성된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콜럼버스의 발견은 그의 인격과는 관계없이 인류의 주류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 그가 개인적인 사리사욕을 위해 원주민들에게 잔혹하게 대했더라도 말이다. 콜럼버스는 이렇게 빛나는 역사적인 업적을 뒤로 하고 사후에도 방랑벽을 발휘(?)했다. 물론 타의에 의해 대서양을 횡단 하게 된 것이긴 하지만 죽어서도 편히 쉴 수 없는 것은 생전에 신항로의 발견이라는 미명 아래 저질렀던 일들에 대한 역사의 ‘벌’을 받는 것은 아닐까 콜럼버스는 처음에는 스페인 바야돌리드에 묻힌다. 나중에 그의 유해는 신대륙에 묻어 달라는 유언에 따라 도미니카 공화국의 산토도밍고에 묻혔고, 이후에 쿠바를 거쳐 1898년에 다시 스페인의 세비야로 옮겨졌다는 것이 통설이다. - 네이버
.
출처 및 참고문헌
1. Hallow Earth Produntions - “All about Columbus”
(http://www.youtube.com/watch?v=HT5cIeHPR-c)
2. 메스티소의 나라들, 고혜선, 단국대출판부, 1998
3. 네이버 백과사전
4. 구글
마지막으로, 당시의 동양 문물, 특히 향신료는 유럽에서 특별한 대우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인도에 더 빨리 가기 위한 항로를 발견하기 위함이라는 것은 다분히 경제적 이윤을 바탕에 두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항해를 위한 지원을 요청하면서도 각종 지위를 비롯해 자신이 발견하게 되는 신대륙에서의 이윤 중 일정 부분을 요구했던 사실에서 확연하게 드러난다.
그에게 있어서 미지의 신대륙은 바로 자신의 명예와 부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2) Hispaniola섬의 비극
그의 항해는 결과적으로 수 천 년 간 자신들 고유의 삶의 터전으로 여기고 살아오던 원주민들의 삶을 통째로 뒤흔들어 놓았다. 심지어 유럽인들은 직접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그들의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전혀 없었던 원주민들에게 생물적 재앙을 뿌리고 말았다.
첫 번째 항해에서 콜럼버스는 바하마 제도에서 이사벨라 여왕 부처에게 줄 ‘선물’로 원주민을 잡아간다. 처음부터 원주민들에 대해 이런 시각을 가지고 접근했기 때문에 Hispaniola섬의 원주민들이 불과 20년 사이에 겪은 참담하고 잔인한 일 들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였는지도 모른다.
Hispaniola는 20년 새에 무려 97%의 인구가 감소했다. 집단 학살과 질병, 노예로서의 삶 등 콜럼버스가 이끈 스페인 침략자들의 원주민들에 대한 수탈은 이렇게 참담한 결과로 이어졌다.
사실 그의 ‘발견’ 이후로 아메리카 대륙이란 존재가 유럽인들에게 각인되어 세계사의 큰 흐름이 새롭게 형성된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콜럼버스의 발견은 그의 인격과는 관계없이 인류의 주류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 그가 개인적인 사리사욕을 위해 원주민들에게 잔혹하게 대했더라도 말이다. 콜럼버스는 이렇게 빛나는 역사적인 업적을 뒤로 하고 사후에도 방랑벽을 발휘(?)했다. 물론 타의에 의해 대서양을 횡단 하게 된 것이긴 하지만 죽어서도 편히 쉴 수 없는 것은 생전에 신항로의 발견이라는 미명 아래 저질렀던 일들에 대한 역사의 ‘벌’을 받는 것은 아닐까 콜럼버스는 처음에는 스페인 바야돌리드에 묻힌다. 나중에 그의 유해는 신대륙에 묻어 달라는 유언에 따라 도미니카 공화국의 산토도밍고에 묻혔고, 이후에 쿠바를 거쳐 1898년에 다시 스페인의 세비야로 옮겨졌다는 것이 통설이다. - 네이버
.
출처 및 참고문헌
1. Hallow Earth Produntions - “All about Columbus”
(http://www.youtube.com/watch?v=HT5cIeHPR-c)
2. 메스티소의 나라들, 고혜선, 단국대출판부, 1998
3. 네이버 백과사전
4. 구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