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와 무역] 무역이론 축약 - 고전파무역이론, 근대 무역이론, 현대 무역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사회와 무역] 무역이론 축약 - 고전파무역이론, 근대 무역이론, 현대 무역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무역이론 축약●

1)고전파무역이론
절대생산비론
비교생산비설

2)근대 무역이론
기회비용설
헥셔-올린정리

3)현대 무역이론
케인즈의 무역이론
대표수요이론
제품차별화이론(산업내 무역이론)
요소특정성이론
립진스키정리

본문내용

천연자원의 양과 같은 공급조건이 될 수 있지만 공산품의 경우에는 공급조건보다는 수요조건이 무역패턴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고 주장하였다. 즉, 각국은 국내 수요가 상대적으로 큰 상품, 다시 말해 대표수요가 있는 상품에 비교우위를 갖게 되고, 그것을 생산해서 수출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국내수요가 있어야 생산이 시작되고 또 국내 시장 규모가 클수록 생산규모를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기술습득효과를 촉진시키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대표수요이론이라고 한다. 또한, 대표수요이론은 기술수준의 차이를 연구개발수준의 차이에서 찾으려는 이론이고, 실증적인 연구를 토대로 주장하는 이론이다.
제품차별화이론(산업내 무역이론)
- 발라사(B. Balassa)는 1967년 그의 연구에서 세계의 무역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지만 그 증가의 대부분이 헥셔-올린의 정리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산업 간의 무역이 아니라 제품차별화에 의한 상호교환이라 밝혔다. 글루벨(H. G. Grubel)과 로이드(P. J. Lloyd)도 공업국가 간의 무역에서 약 50%는 동일산업 내의 제품차별화에 의해서 이루어졌다고 주장하였다. 그들의 조사에 의하면 제품차별화에 의한 교역량의 비중은 개발도상국, 즉 제품의 차별화 정도가 낮은 국가에서 다 낮게 나타났다고 한다. 반면 제품의 차별성이 존재하고 교역국 간의 소비구조나 소득수준이 유사한 경제국일수록 교역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제품차별화에 의한 국제무역은 각 국 소비자들에게 상품의 선택범위를 넓혀줄 뿐만 아니라 여러 국가에 위치한 동종의 상품을 생산하는 자들의 경쟁심을 자극하여 제품의 품질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한다.
요소특정성이론
- 헥셔-올린의 이론에서는 생산요소들이 한 나라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현실을 보면 노동과 같이 비교적 이동이 자유로운 생산요소가 있는가하면 장치자본이나 토지와 같이 산업 간 이동이 어려운 생산요소가 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산업 간 이동이 가능한 생산요소와 불가능한 생산요소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모형이 존스(R. Jones) 등에 의해 1971년 제시되었는데 이를 요조특정성이론이라 한다. 요소특정성이론에서는 특정된 생산요소의 상대적 풍부성에 의해 비교우위가 결정된다. 요소특정성모형에서는 자유무역 하에서도 두 나라 간 요소가격균등화가 일어날 가능성은 매우 적다고 본다.
립진스키정리
- 립진스키(T. M. Rybczynski)는 1953년 논문에서 헥셔-올린정리에서 더 나아가 어떠한 나라에서 주어진 생산요소의 부존량이 변화할 때 그것이 그 나라의 생산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논증하였다. 그는 ‘만일 상품 또는 요소가격이 고정되어 있을 때 어느 나라의 한 생산요소가 증가하고 다른 요소는 정체상태에 있으면 증가된 생산요소를 보다 집약적으로 사용하는 재화의 생산량은 증가하고 반대로 그 요소를 덜 집약적으로 사용하는 재화의 생산량은 감소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립진스키정리’라 한다.
  • 가격12,6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4.18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4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