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 CPTED의 5가지 원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 CPTED의 5가지 원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5월 29일)

경찰행정학과

1.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

<CPTED의 5가지 원칙>

본문내용

한 절도행위를 예방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간단하게 화장실의 출입문 구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예전 구조: 큰 출입문 하나로 모든 사람들이 IN & OUT 하였음
바뀐 구조: IN, OUT 하는 출입문을 구분해서 설계함
원래의 구조에서는 절도범이 도망가기 수월하였다. 바꾼 뒤에는 나오는 곳이 한정되어 있어서 절도범이 빠져 나올 수 없게 되었음 → 범죄자들이 범죄를 실행하기 두렵게 만듦 왜? 잡힐 가능성
절도 범죄가 억제되었음
Natural Territorial Reinforcement;자연 영역성 강화
상징적으로 무언가 표시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영역성이 확보되는 것
ex) 수경이네 마을과 성일이네 마을이 있다. 수경이네 마을은 잔디정돈, 길거리 정화는 물론 집주변에도 쓰레기가 없었다. 그러나 성일이네 마을은 길거리 마다 담배꽁초가 버려져있고 집집마다 훼손된 곳도 많이 있다. 이 경우 어느 마을의 영역성이 더 확실한가?
수경이네 마을(깨끗한 마을) 왜? ‘관리를 열심히 하구나’ 하는 것을 주민들이 느낌
관련이론: Broken Windows(1982);깨진 창문 이론
: 지역의 황폐화는 범죄를 끌어들인다.
Maintenance;관리
한 번 만에 끝내는 것이 아니고 계속해서 관리하고 유지되어야 한다.
Activity Support;활동성 증대
지역주민들이 공동체 활동을 할 수 있는(지원해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ex) 동네 사랑방, 공동 스포츠 시설, 주민 행사 등등
최근에 지어지는 아파트에는 공동시설 多 → Activity Support;활동성 증대 와 유사함
  • 가격8,4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4.23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48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