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어야 한다.
⑦ 업무 프로세스 소유자
업무 프로세스 소유자(BPO: Business Process Owner)는 담당 업무분야의 소유권자이자 성공적으로 ERP 시스템을 사용하게 될 책임자이다.
⑧ 기술팀과 리더
ERP 애플리케이션 설치자
하드웨어에 적합한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설치해야 한다.
ERP 시스템 관리자
전체의 클라이언트/서버 애플리케이션을 관장한 경험과 운영시스템 (Operating System)을 관리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데이터베이스의 구성과 조정, 백업과 재생관리, 시스템 사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기밀관리 등을 수행한다.
운용시스템 관리자
운용시스템의 설치, 업그레이드, 패치 적용, 백업, 성능평가와 조정을 관장
네트워크 관리자
네트워크 계획수립, 설치, 업그레이드 및 패치 적용을 주임무로 한다. 네트워크의 기밀관리도 네트워크 관리자(Network Administrator)의 중요한 역할이다. ERP 프로그램을 설치한 애플리케이션 서버, 종합 데이터를 보관한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용자가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린터, 라우터등의 연결을 책임진다.
기능 보완/수정 개발자
ERP 패키지에 의한 시스템 구현시에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호면의 레이아웃 변경, 보거서의 추가나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이 발생된다.
기능 보완/수정 개발자는 ERP 애플리케이션을 설계 및 개발하는데 사용된 도구를 잘 알고 있는 프로그램 엔지니어가 필요하다. ERP 시스템의 보완/수정 개발은 이미 개발된 시스템의 데이터 구조와 프로세스를 이해하여야 만이 프로세스와 데이터의 중복을 피할 수있게 된다.
⑨ 경영혁신 팀과 리더
경영혁신
경영혁신 팀과 리더의 ERP 시스템의 구축과 동시에 부서나 팀 단위의 수행 업무가 새로운 ERP 환경에서도 원만히 운영될 수 있도록 과거의 업무 흐름과 담당업무를 재설계하여 바꾸어 주는 경영혁신 활동을 주관한다.
현장개선
효율적 관리와 통제를 위해 생산 현장의 관리방식에 새로운 변화를 유도한다. 효율관리, 라인 재배치, 설치관리, 품질관리 활동 등이 ERP 시스템 구축과 동시에 이루어 짐으로써 정보와 물류 그리고 설비가 통합되어 실시간으로 관리된다.
변화관리
초기단계부터 종업원의 의식변화를 유도하고, 홍보와 교육을 주관하여 ERP에 대한 올바른 인식으로 막연한 불안감이나 사용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주도록 하여야 한다.
⑦ 업무 프로세스 소유자
업무 프로세스 소유자(BPO: Business Process Owner)는 담당 업무분야의 소유권자이자 성공적으로 ERP 시스템을 사용하게 될 책임자이다.
⑧ 기술팀과 리더
ERP 애플리케이션 설치자
하드웨어에 적합한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설치해야 한다.
ERP 시스템 관리자
전체의 클라이언트/서버 애플리케이션을 관장한 경험과 운영시스템 (Operating System)을 관리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데이터베이스의 구성과 조정, 백업과 재생관리, 시스템 사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기밀관리 등을 수행한다.
운용시스템 관리자
운용시스템의 설치, 업그레이드, 패치 적용, 백업, 성능평가와 조정을 관장
네트워크 관리자
네트워크 계획수립, 설치, 업그레이드 및 패치 적용을 주임무로 한다. 네트워크의 기밀관리도 네트워크 관리자(Network Administrator)의 중요한 역할이다. ERP 프로그램을 설치한 애플리케이션 서버, 종합 데이터를 보관한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용자가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린터, 라우터등의 연결을 책임진다.
기능 보완/수정 개발자
ERP 패키지에 의한 시스템 구현시에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호면의 레이아웃 변경, 보거서의 추가나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이 발생된다.
기능 보완/수정 개발자는 ERP 애플리케이션을 설계 및 개발하는데 사용된 도구를 잘 알고 있는 프로그램 엔지니어가 필요하다. ERP 시스템의 보완/수정 개발은 이미 개발된 시스템의 데이터 구조와 프로세스를 이해하여야 만이 프로세스와 데이터의 중복을 피할 수있게 된다.
⑨ 경영혁신 팀과 리더
경영혁신
경영혁신 팀과 리더의 ERP 시스템의 구축과 동시에 부서나 팀 단위의 수행 업무가 새로운 ERP 환경에서도 원만히 운영될 수 있도록 과거의 업무 흐름과 담당업무를 재설계하여 바꾸어 주는 경영혁신 활동을 주관한다.
현장개선
효율적 관리와 통제를 위해 생산 현장의 관리방식에 새로운 변화를 유도한다. 효율관리, 라인 재배치, 설치관리, 품질관리 활동 등이 ERP 시스템 구축과 동시에 이루어 짐으로써 정보와 물류 그리고 설비가 통합되어 실시간으로 관리된다.
변화관리
초기단계부터 종업원의 의식변화를 유도하고, 홍보와 교육을 주관하여 ERP에 대한 올바른 인식으로 막연한 불안감이나 사용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주도록 하여야 한다.
추천자료
[생산관리] ERP의 구조와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시스템의 선정방식
KT의 ERP 구축 사례 분석
[경영학,경영정보] ERP의 기본개념 및 특징
BPR, ERP, SCM, CRM, KMS, MIS, MRP Ⅱ, IT, EC (전사적 자원관리 용어)
(A+ 레포트) ERP(전사적자원관리) - 구조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시스템
(A+ 레포트) ERP(전사적자원관리) - 구조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시스템
기말고사_독후감(알기쉬운__ERP)
ERP 유지보수의 효율적 지원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2007년 학회발표)
ERP에 대한 이해와 KT 사례 분석
erp 사업계획서 - ㈜영림원소프트랩
[ERP] ERP시스템 구축의 필요성과 성공사례
전사적자원관리 시스템(ERP)
[물류관리 공통] (1) e-SCM과 APS에 대해 설명하고, (2) e-SCM과 APS가 어떻게 통합되어야 하...
★ 인적자원관리 - 포스코 ERP 시스템도입 ( ERP, POSCO, ERP를 도입한 POSCO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