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1
2. IoT의 개념 ……………………………………………… 1
1) 정의
2) 주요 기술
3. IoT트렌드 ………………………………………………3
1) 적용분야 및 사례……………………………………… 3
가. SKT의 스마트 팜 서비스
나. KT의 스마트 홈 서비스
다. LG U+의 지능형 관제 서비스
2) IoT의 미래…………………………………………… 5
3) 미래를 바꿀 신기술………………………………… 5
가. 생각만으로 움직이는 컴퓨터 인터페이스
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다. 스크린이 필요없는 3차원 디스플레이
4. IoT 문제점 ………………………………………………… 7
5. 결론 ……………………………………………………… 7
2. IoT의 개념 ……………………………………………… 1
1) 정의
2) 주요 기술
3. IoT트렌드 ………………………………………………3
1) 적용분야 및 사례……………………………………… 3
가. SKT의 스마트 팜 서비스
나. KT의 스마트 홈 서비스
다. LG U+의 지능형 관제 서비스
2) IoT의 미래…………………………………………… 5
3) 미래를 바꿀 신기술………………………………… 5
가. 생각만으로 움직이는 컴퓨터 인터페이스
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다. 스크린이 필요없는 3차원 디스플레이
4. IoT 문제점 ………………………………………………… 7
5. 결론 ……………………………………………………… 7
본문내용
술적 제약을 보완하였으며, 신체동작을 의도하거나 외부자극에 뇌가 반응할 경우
뇌 일부 영역의 뇌파가 변화하는데 이를 측정해 의도 및 상태를 분석한다.
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일상적으로 몸에 걸치고 다닐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된 정보
기기를 의미한다. Portable, Attachable, Eatable로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첫째, Portable은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하는 형태의 제품으로 현재 출시된 안경 및
시계, 팔찌 형태의 디바이스가 해당된다.
둘째, Attachable은 Patch와 같이 피부에 직접 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써, 약 5년
이후에는 상용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Eatable은 궁극적인 단계로 인간의 신체에 직접 이식하거나 복용할 수
있는 연결된 디바이스 수단으로 사용될 것이다.
다. 스크린이 필요없는 3차원 디스플레이
현대 통신기기가 소형화되면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기기를 쓰는 게 불편해졌
다. 이를 위해 스크린 없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다. 자판기가 스크린에 보여 지는
대신 사용자 앞에 투영되어 사용된다. 또 홀로그램으로 공간에 투영되는 방식이 아닌
디스플레이가 인간의 망막에 바로 투영됨으로써 무거운 하드웨어를 없앨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이 사용자의 컴퓨터를 볼 수 없어서 개인정보도 보호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4. IoT 문제점
사물인터넷이 점차 널리 보급됨에 따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및 시장이 급성장하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데 그 중 보안취약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여러 스마트 기기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며 운영체제(OS)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해커들
이 공격할 수 있는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고, 이미 스마트TV, 의료기기, IP 카메라 등에
대한 가상공격을 시연한 바 있다. 자동차와 비행기의 해킹사례들도 공개됐다.
미국 보안업체 프루프포인트는 최근 스마트TV와 냉장고를 해킹해 ‘좀비 가전’을 만든 뒤,
악성 이메일 75만건을 발송한 바 있다. 이는 스마트 가전 해킹이 공식적으로 보고된
첫 사례다.
보안취약문제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이에 대해 정부를 비롯한 각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미래부는 역동적인 IoT 발전 인프라 조성을 위해 IoT 정보보호 로드맵을
수립하고, IoT 정보보호 기술개발, 정보보호 코디네이터를 양성하는 등 정보보호 인프라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5. 결론
사물인터넷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우리의 생활을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물인터넷이 미칠 파급력은 무궁무진하다. 궁극적으로는 사물인터넷이 유저의 문화와 콘텐츠 활용을 더 스마트하고 편리하며, 개인에게 맞춤화된 형태로 이용할 수 있도록 발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사물인터넷이 보다 확장되고, 실질적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문제점을 극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는 보안취약점이다.
그러나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설계와 보안성 향상을 위해서는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표준화 문제와 보안취약점문제는 향후 시간이 지나면서 관련 기술의 발달과 시장 성숙에 따라 점진적으로 해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사물인터넷 시장의 지속적인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세계 주요 국가들도 글로벌 기술 경쟁력 제고와 시장 선점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새로운 서비스 모델 발굴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통하여 국내 시장의 활성화를 모색하고 글로벌 기술 경쟁력 제고와 시장 선도를 위한 핵심 기술개발 및 서비스 발굴이 현시점에서는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뇌 일부 영역의 뇌파가 변화하는데 이를 측정해 의도 및 상태를 분석한다.
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일상적으로 몸에 걸치고 다닐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된 정보
기기를 의미한다. Portable, Attachable, Eatable로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첫째, Portable은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하는 형태의 제품으로 현재 출시된 안경 및
시계, 팔찌 형태의 디바이스가 해당된다.
둘째, Attachable은 Patch와 같이 피부에 직접 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써, 약 5년
이후에는 상용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Eatable은 궁극적인 단계로 인간의 신체에 직접 이식하거나 복용할 수
있는 연결된 디바이스 수단으로 사용될 것이다.
다. 스크린이 필요없는 3차원 디스플레이
현대 통신기기가 소형화되면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기기를 쓰는 게 불편해졌
다. 이를 위해 스크린 없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다. 자판기가 스크린에 보여 지는
대신 사용자 앞에 투영되어 사용된다. 또 홀로그램으로 공간에 투영되는 방식이 아닌
디스플레이가 인간의 망막에 바로 투영됨으로써 무거운 하드웨어를 없앨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이 사용자의 컴퓨터를 볼 수 없어서 개인정보도 보호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4. IoT 문제점
사물인터넷이 점차 널리 보급됨에 따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및 시장이 급성장하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데 그 중 보안취약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여러 스마트 기기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며 운영체제(OS)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해커들
이 공격할 수 있는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고, 이미 스마트TV, 의료기기, IP 카메라 등에
대한 가상공격을 시연한 바 있다. 자동차와 비행기의 해킹사례들도 공개됐다.
미국 보안업체 프루프포인트는 최근 스마트TV와 냉장고를 해킹해 ‘좀비 가전’을 만든 뒤,
악성 이메일 75만건을 발송한 바 있다. 이는 스마트 가전 해킹이 공식적으로 보고된
첫 사례다.
보안취약문제가 이슈로 떠오르면서, 이에 대해 정부를 비롯한 각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미래부는 역동적인 IoT 발전 인프라 조성을 위해 IoT 정보보호 로드맵을
수립하고, IoT 정보보호 기술개발, 정보보호 코디네이터를 양성하는 등 정보보호 인프라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5. 결론
사물인터넷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우리의 생활을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물인터넷이 미칠 파급력은 무궁무진하다. 궁극적으로는 사물인터넷이 유저의 문화와 콘텐츠 활용을 더 스마트하고 편리하며, 개인에게 맞춤화된 형태로 이용할 수 있도록 발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사물인터넷이 보다 확장되고, 실질적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문제점을 극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는 보안취약점이다.
그러나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설계와 보안성 향상을 위해서는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표준화 문제와 보안취약점문제는 향후 시간이 지나면서 관련 기술의 발달과 시장 성숙에 따라 점진적으로 해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사물인터넷 시장의 지속적인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세계 주요 국가들도 글로벌 기술 경쟁력 제고와 시장 선점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새로운 서비스 모델 발굴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통하여 국내 시장의 활성화를 모색하고 글로벌 기술 경쟁력 제고와 시장 선도를 위한 핵심 기술개발 및 서비스 발굴이 현시점에서는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키워드
추천자료
풍물놀이
이모티콘
신조어에 대하여-신조어의 개념 의의
새로운 대중매체의 출현과 정치적 의사결정
매체의 특성
콘텐츠비즈니스(컨텐츠비즈니스)의 정의, 분류, 콘텐츠비즈니스(컨텐츠비즈니스)의 성격, 소...
이모티콘의 유형
USN 센서노드 기술동향
[빅데이터 활용사례] 빅데이터 활용사례 분석 ; 빅데이터의 개념과 특징
대만 산업 조사
산업혁명을 정의하고 미래의 유망직업에 대해 제시 - 산업혁명
[2017 인간과과학 공통1번항목] 인공지능의 발달이 인류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사회를 ...
[A+레포트] 바이오기술 (바이오기술, 바이오의약품, 바이오프린팅)
블록체인의 특징 활용 사례 및 발전방안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