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시] 애드윈 로빈슨(에드윈 로빈슨/Edwin Arlington Robinson, 1869~1935)의 생애와 작품세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국시] 애드윈 로빈슨(에드윈 로빈슨/Edwin Arlington Robinson, 1869~1935)의 생애와 작품세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부드러움과 향기가 있었던 것이다. 이 시에서 남편이 한 말은 "이제 방아꾼은 없어진 거야" 라는 말뿐, 그가 어떠한 고뇌와 소외 속에서 살았는지는 독자에게 아무런 말도 해주지 않고 있다. 독자가 미루어 생각하고 추측해야 한다. 이제 어둠속에 혼자 남겨진 부인은 그녀를 숨겨주고 아무런 흔적도 남기지 않게 되는 일은 단 한 가지밖에 없다고 "생각해 냈을 것이다(have reasoned)." 즉, 물에 빠져죽는 일이다. 그러면 "저 둑위의 어두운 밤속의 별빛 벨벳처럼 부드러운 검은 강물(black water)이 잠시 울렁대다가 아무 일도 아닌 양 다시 잠잠해질 것이다." 여기서 시인은 '그녀가 물에 빠져죽었다'는 표현을 결코 하지 않고 다만 암시만을 줄뿐이다.
Robinson은 죽음에 이르도록 당혹한 이 두 사람의 이야기를 하면서 한숨이나 하소연이나 웅장한 또는 비장한 말을 조금도 쓰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매우 당연하고도 예사스런 일이 벌어지는 듯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간결하게 말을 끝내고 만다. 철저하게 직접적인 감정의 노출을 배제하고 간접적 서술로 일관하고 있다. 이것은 말하자면 그의 진술은 통상적인 진술의 맥락에서 철저히 "소외" 시키는 것이라 하겠다. 이른바 "낯설게 하기"의 방법이다. 이상섭, 『 영어영문학 연구-E.A. Robinson의 당혹한 인물들』. 1984:17.
이 시에서의 end rhyme은 비극적 이야기에도 차분한 분위기를 주는 역할을 한다. 또 첫 번째 연과 세 번째 연의 "might"와 "may" 같은, 이 시인이 즐겨 쓰는 조동사로 인하여 시인은 이 사건에 대하여 단정적으로 말하기 보다는 독자로부터의 추측을 불러일으키고 있는데, 이러한 어조가 오히려 우리에게 더 커더란 비애감을 가져오는 효과를 낳고 있는 셈이다(이예성 517).
Ⅲ. 결론
E.A. Robinson은 그의 생애에서의 여러 가지 불행한 일들이 그를 매우 당혹스럽게 만들었던 소외의 시인이다. 그는 본디 인간의 조건을 당혹감, 소외로 파악하였으며, 그것을 궁극적으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시 쓰는 행위로나마 그것을 감싸 안으려고 했다. 그는 자신의 개인적인 당혹감, 인간의 근원적 당혹감 그리고 시대적 변화에 따른 인간들의 소외감, 당혹감을 스스로 즐기고 껴안았는지도 모른다. 그의 이러한 시 세계로 인하여 그는 미국 20세기 초의 주요 시인으로 자리를 잡게 된다(이예성 519).
앞에서 다룬 Robinson의 시 "The Night Before", "Miniver Cheevy", "Richard Cory", "Aaron Stark", "The Mill" 을 다루었으며, 농업사회가 사라지고 현대 산업 사회가 도래하며 공동사회 의식이 사라진 상태에서 생겨나는 인간 사이의 의사소통의 불가능, 실패하고 소외된 인물들 그리고 당혹한 인물들의 행동 양태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사실 우리가 그들의 내면세계를 속속들이 정확하게는 알 수 없고 다만 그들의 극정인 행동을 통해서 그리고 시인의 시 형식 속에 나타나는 암시성을 통한 우리의 상상을 통해서 그들의 내면세계가 어떠할 것이라고 추측만 할 뿐이다. 그래서 James Dickey, Bable to Byzantium; Poets&poetry Now. (New York: Grosset & Dunlap, 1968). p.230.
Robinson의 훌륭한 시들은 대개 "얘기하면 할수록 더 아무 것도 얘기하지 않는 그런 식의 의사소통에 대한 것들이다. 그만큼 인간들의 정신세계는 복잡한 것이다.
소외의 시인 이자 실패한 인간의 계관시인 Robinson이 21세기인 지금까지 살았더라면 요즘에 그가 만든 시속의 당혹한 인물들은 어떤 모습일지 문득 궁금해진다.
Ⅳ. 참고문헌
peter B. High. 『An Outline of American Literature』. 1986
이예성. 『E.A. Robinson의 시에 나타난 현대인의 정신세계』. 1998.
이상섭, 『 영어영문학 연구-E.A. Robinson의 당혹한 인물들』. 1984.
James Dickey,『Bable to Byzantium; Poets&poetry Now. (New York:Grosset& Dunlap)』. 1968.
Dictionary of Literary Biography. American poets:1880~1945. 3rd series. Part 2. ed. Peter Quartemain(Detroit, Miichigan:Gale Research Company).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4.27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52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