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ubject
2. Date
3. Group / Co-worker
4. Objective
5. Theory
6. Apparatus
7. Procedure
8. Result
9. Discussion
10. References
2. Date
3. Group / Co-worker
4. Objective
5. Theory
6. Apparatus
7. Procedure
8. Result
9. Discussion
10. References
본문내용
42㏀
7.0%
2
41.5
58.5
14.10㏀
12.96㏀
8.8%
3
75.8
24.2
3.19㏀
2.67㏀
19.6%
4
-
-
-
5.70㏁
-
5
91.8
8.2
0.89㏀
0.81㏀
10.3%
6
97.7
2.3
0.24㏀
0.26㏀
-9.5%
7
96.5
3.5
0.36㏀
0.32㏀
13.3%
8
31.4
68.6
21.85㏀
21.70㏀
0.7%
9
26.1
73.9
28.31㏀
26.70㏀
6.0%
10
92.6
7.4
0.80㏀
0.74㏀
8.0%
9. Discussion
이번 실험은 직류브리지 중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휘스톤 브리지의 원리를 이용하여 미지저항을 측정해보는 실험이었다.
아래 휘스톤 브리지에서 전체 흐르는 전류 It = I1 + I3 이다.
또, I1 = I2 + I5, I3 = I4 - I5으로 나타낼수 있다.
전류가 ①~②, ③~④ 같은 크기만큼 흐를 경우 ⑤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1개의 기지저항과 1개의 미지저항, 그리고 ③~④의 저항의 크기를 조절하여 ⑤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지점을 찾아 식에 대입하여 미지저항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점을 찾기가 생각보다 힘들고, 측정을 반복해도 값이 다르고, 약간의 변화에도 큰값의 차이를 보여 어려움을 겪었다.
실험중에 미지저항 4번의 값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점을 찾을수가 없었는데 실험이 끝난후 미지저항을 실제 측정해본 결과 4번의 미지저항은 5.70㏁으로 저항의 크기가 너무커서 전류는 모두 기지저항 쪽으로 흐르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점을 찾을수가 없었다.
나머지 미지저항값도 계산값과 비교해본 결과 약간의 오차가 있긴 했지만 대체적으로 실제값과 비슷하게 측정 되었다.
L1, L2를 측정하면서 좀더 정교하게 측정하지 못했던 것이 원인이 된것같다.
10. References
① http://phya.yonsei.ac.kr/%7Ephylab/
② http://dyon.postech.ac.kr/Edulab/
③ http://heebok.kongju.ac.kr/experiment/home.html
④ http://blog.naver.com/parkkiha?Redirect=Log&logNo=90009961293
⑤ http://cafe.naver.com/medic25.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83
7.0%
2
41.5
58.5
14.10㏀
12.96㏀
8.8%
3
75.8
24.2
3.19㏀
2.67㏀
19.6%
4
-
-
-
5.70㏁
-
5
91.8
8.2
0.89㏀
0.81㏀
10.3%
6
97.7
2.3
0.24㏀
0.26㏀
-9.5%
7
96.5
3.5
0.36㏀
0.32㏀
13.3%
8
31.4
68.6
21.85㏀
21.70㏀
0.7%
9
26.1
73.9
28.31㏀
26.70㏀
6.0%
10
92.6
7.4
0.80㏀
0.74㏀
8.0%
9. Discussion
이번 실험은 직류브리지 중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휘스톤 브리지의 원리를 이용하여 미지저항을 측정해보는 실험이었다.
아래 휘스톤 브리지에서 전체 흐르는 전류 It = I1 + I3 이다.
또, I1 = I2 + I5, I3 = I4 - I5으로 나타낼수 있다.
전류가 ①~②, ③~④ 같은 크기만큼 흐를 경우 ⑤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1개의 기지저항과 1개의 미지저항, 그리고 ③~④의 저항의 크기를 조절하여 ⑤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지점을 찾아 식에 대입하여 미지저항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점을 찾기가 생각보다 힘들고, 측정을 반복해도 값이 다르고, 약간의 변화에도 큰값의 차이를 보여 어려움을 겪었다.
실험중에 미지저항 4번의 값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점을 찾을수가 없었는데 실험이 끝난후 미지저항을 실제 측정해본 결과 4번의 미지저항은 5.70㏁으로 저항의 크기가 너무커서 전류는 모두 기지저항 쪽으로 흐르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점을 찾을수가 없었다.
나머지 미지저항값도 계산값과 비교해본 결과 약간의 오차가 있긴 했지만 대체적으로 실제값과 비슷하게 측정 되었다.
L1, L2를 측정하면서 좀더 정교하게 측정하지 못했던 것이 원인이 된것같다.
10. References
① http://phya.yonsei.ac.kr/%7Ephylab/
② http://dyon.postech.ac.kr/Edulab/
③ http://heebok.kongju.ac.kr/experiment/home.html
④ http://blog.naver.com/parkkiha?Redirect=Log&logNo=90009961293
⑤ http://cafe.naver.com/medic25.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83
추천자료
일반물리학 실험 17장 전자측정연습 결과레포트
휘트스톤브릿지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 - Wheatstone bridge 에 의한 전기저항 측정
실험1. 등전위선(Equipotential Lines)에 의한 전기저항 측정
[일반물리학] 힘의 평형 실험 - 힘의 합성대를 이용하여 몇 개의 힘이 평형이 되는 조건을 연...
일반물리학 실험 - 관성모멘트와 각운동량 측정 실험
일반물리학 실험 - 비탈면에서의 가속도, 마찰계수의 측정, 비탈면 위에서 운동하는 물체의 ...
[일반물리학 실험] 2차원 충돌 실험 : 두 개의 쇠공을 충돌시켜 충돌 전후의 속력을 측정함으...
일반물리학 실험 - 탄동진자에 의한 탄환의 속도 측정(Measure the Speed of the Bullet by t...
[일반물리학 실험] 자기 유도 측정 실험 : 자기 유도의 원리를 익히고 실험 적으로 확인한다
[일반물리학 실험] 힘의 평형과 합성 : 힘 평형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힘들의 평형이 되는 조...
[일반물리학 실험] 길이 및 곡률반경 측정 (결과 보고서)
[일반물리학 실험] 관성모멘트 및 각운동량보존 : 회전축에 대한 관성모멘트를 실험적으로 측...
[일반물리학 실험] 단진자 운동 : 단진자의 주기와 길이, 주기와 질량, 주기와 각도와의 관...
실험 01. 직류 전류 및 전압 측정 (일반물리학 개정 7판, 27장 회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