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Introduction:
4.Materials & Method
Discussion
4.Materials & Method
Discussion
본문내용
스톤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고 가변저항 Rk와 l1,l2의 길이를 조절하여 나온 측정값으로 직접 미지저항을 계산하여 구해보았다. 미지의 저항값은 색을 통해 참값을 알 수 있었고, 계산한 값과 비교하여 보니 상대적인 오차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계산된 값들은 대부분 원래의 저항값보다 조금씩 큰 값을 가졌는데, l₂값이 조금 더 작게 나와야 실험값이 작게 나오는데 l₂가 조금 크게 나온 것이라고 생각된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먼저, 적절한 전압상태에서 검침봉으로 검류계의 눈금이 0인 점을 찾아내는 것이 이번 실험의 주된 부분인데, 전류계의 눈금이 0으로 전류가 정말 흐르지 않는 상태인지 정확히 알기가 힘들었다. 하지만 이러한 오차는 여러번의 실험을 통해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서 충분히 없앨 수 있다. 그렇다면 다른 오차의 원인으로는 전선의 저항으로 인해 발생한 전력 손실과 집게의 저항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또 다른 약간의 저항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전류의 세기가 너무 크면 0인 지점을 찾기가 매우 어렵고 전류가 너무 작으면 정확도가 떨어져 오차가 많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사실을 숙지하고 적정 전압을 유지하면서 실험에 임한다면 오차를 줄 일 수 있을 것이다.
계산된 값들은 대부분 원래의 저항값보다 조금씩 큰 값을 가졌는데, l₂값이 조금 더 작게 나와야 실험값이 작게 나오는데 l₂가 조금 크게 나온 것이라고 생각된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먼저, 적절한 전압상태에서 검침봉으로 검류계의 눈금이 0인 점을 찾아내는 것이 이번 실험의 주된 부분인데, 전류계의 눈금이 0으로 전류가 정말 흐르지 않는 상태인지 정확히 알기가 힘들었다. 하지만 이러한 오차는 여러번의 실험을 통해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서 충분히 없앨 수 있다. 그렇다면 다른 오차의 원인으로는 전선의 저항으로 인해 발생한 전력 손실과 집게의 저항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또 다른 약간의 저항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전류의 세기가 너무 크면 0인 지점을 찾기가 매우 어렵고 전류가 너무 작으면 정확도가 떨어져 오차가 많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사실을 숙지하고 적정 전압을 유지하면서 실험에 임한다면 오차를 줄 일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일반물리학실험 - 선운동량 보존법칙(예비, 결과)
일반물리학실험 - 빛지레를 이용한 물체의 두께 측정(예비, 결과)
일반물리학실험 - 빛의 성질(편광 및 간섭과 회절)(예비, 결과)
일반물리학실험 - 보일의 법칙(예비, 결과)
일반물리학실험 - 물질의 비중 측정
일반물리학실험 - 등전위선과 전기장(예비, 결과)
일반물리학실험 - 길이와 곡률반경 측정(예비, 결과)
일반물리학실험 - 기전력 측정(예비, 결과)
일반물리학실험 - 교류회로(결과)
일반물리학실험 - 고체의 선 팽창계수 측정
일반물리학실험 - 고체의 비열(예비, 결과)
일반물리학실험 - 힘과 가속도(예비, 결과)
일반물리학실험 - 중력가속도 결과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2 예비보고서 옴의 법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