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흥미발달모형
2. 선택모형
3. 수행모형
참고문헌
2. 선택모형
3. 수행모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천으로 이어지기 어렵게 만드는 근접맥락변인을 설명하면서 등장한 개념 중 하나가 진로장벽이다. 진로장벽은 전통적으로 진로목표의 성취를 가로막는 개인적,환경적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개념이지만(공윤정,2005),사회인지이론에서는 주로 환경 요인 중에서도 주로 근접맥락변인에서의 방해 요인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SCCT는 선택모형을 통해 진로장벽이 흥미를 목표나 실천으로 전환시키는 개인의 의지나 능력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며 이에 대처하는 개입이 개인의 진로선택의 폭을 넓히는 데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3. 수행모형
수행모형은 개인의 수행수준과 수행의 지속성을 설명하기 위해 능력,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그리고 목표라는 요인을 포함하고 있다([그림 3]참조). 능력은 주로 개인의 과거 수행수준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데,개인의 수행수준과 수행의 지속성에 직접 영향을 주기도 하고,자기효능감 등 인지적 변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수학에 재능이 있는 학생은 수학경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가능성이 높지만(직접 영향),자신의 재능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면(낮은 자기효능감) 높은 수학적 재능에도 불구하고 처음부터 수학경시대회
에 참여하지 않거나 참여하더라도 좋은 성적을 거둘 가능성이 낮아진다(간접 영향). 한편,수행모형에 직접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개인의 능력,자기효능감 등의 형성에는 개인에게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교사의 수준 등 환경맥락변인들의 역할이 크다는 것을 SCCT는 인정하고 있다.
[그림 3] 사회인지진로이론에서의 수행모형
출처: Lent, Brown, & Heckett, 2002.
수행모형에서 의 목표는 선택모형에서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구분된다. 선택모형에서 목표란 '무엇(내용)’을 할 것인가와 관련되어 있지만,수행모형에서의 목표는 '얼마나 잘(수준)’ 할 것인가와 관련되어 있다. 물론 얼마나 어려운 내용을 선택할 것인가와 같이 내용과 수준을 완전히 구분하는 것은 어렵다. 수행수준목표와 그 수준에 이르기까지의 하위 목표들이 명확하고 잘 조직되어 있을 때 높은 수준의 수행이 보다 용이해질 것이다.
참고문헌
이재창, 조붕환 외 저, 진로상담의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2014
김경미 저, 상담이론으로 지도하는 진로교육, 한국학술정보 2008
이현림, 송병국 외 저, 새롭게 보는 진로상담, 교육과학사 2013
김봉환, 강은희 외 저, 진로상담, 학지사 2013
3. 수행모형
수행모형은 개인의 수행수준과 수행의 지속성을 설명하기 위해 능력,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그리고 목표라는 요인을 포함하고 있다([그림 3]참조). 능력은 주로 개인의 과거 수행수준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데,개인의 수행수준과 수행의 지속성에 직접 영향을 주기도 하고,자기효능감 등 인지적 변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수학에 재능이 있는 학생은 수학경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가능성이 높지만(직접 영향),자신의 재능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면(낮은 자기효능감) 높은 수학적 재능에도 불구하고 처음부터 수학경시대회
에 참여하지 않거나 참여하더라도 좋은 성적을 거둘 가능성이 낮아진다(간접 영향). 한편,수행모형에 직접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개인의 능력,자기효능감 등의 형성에는 개인에게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교사의 수준 등 환경맥락변인들의 역할이 크다는 것을 SCCT는 인정하고 있다.
[그림 3] 사회인지진로이론에서의 수행모형
출처: Lent, Brown, & Heckett, 2002.
수행모형에서 의 목표는 선택모형에서의 목표와는 개념적으로 구분된다. 선택모형에서 목표란 '무엇(내용)’을 할 것인가와 관련되어 있지만,수행모형에서의 목표는 '얼마나 잘(수준)’ 할 것인가와 관련되어 있다. 물론 얼마나 어려운 내용을 선택할 것인가와 같이 내용과 수준을 완전히 구분하는 것은 어렵다. 수행수준목표와 그 수준에 이르기까지의 하위 목표들이 명확하고 잘 조직되어 있을 때 높은 수준의 수행이 보다 용이해질 것이다.
참고문헌
이재창, 조붕환 외 저, 진로상담의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2014
김경미 저, 상담이론으로 지도하는 진로교육, 한국학술정보 2008
이현림, 송병국 외 저, 새롭게 보는 진로상담, 교육과학사 2013
김봉환, 강은희 외 저, 진로상담, 학지사 201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