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창세기 5장 개요
2. 죽음으로 끝맺는 아담의 일생 (5:1-5)
2. 장수한 셋 가계의 인물들 (5:6-27)
3. 고달픈 세상사 가운데서의 위로자, 노아 (5:28-32)
참고문헌
2. 죽음으로 끝맺는 아담의 일생 (5:1-5)
2. 장수한 셋 가계의 인물들 (5:6-27)
3. 고달픈 세상사 가운데서의 위로자, 노아 (5:28-32)
참고문헌
본문내용
본문은 타락한 세대 가운데서 향후 구속사를 이끌어갈 인물이 마침내 노아로 귀결되었음을 뜻하는 셋 계열 족보의 마지막 부분이다. 즉 그 이름을 통하여 노아가 앞으로 펼칠 놀라운 사역이 암시되어 있다(29절). 사실 타락 이후 인간은 하나님의 저주(3 :17-19)대로 극심한 노역과 고통을 통해서' 생계를 꾸려나가야만 했다. 이 같은 사실은 불가항력적인 자연의 재해와 의식주 해결을 위한 피곤한 나날에 직면해야만 하는 오늘의 우리에게까지 적용된다. 이처럼 범죄한 인류는 생을 마감하는 순간까지 척박한 환경 속에서 고통의 멍에를 감수하며 죄가 가져다주는 폐해를 절실히 맛보아야만 했다.
본문에는 이런 고역의 고통을 깊이 체험하며 인간의 유약함을 확신했던 한 인간의 고뇌에 찬 호소가 담겨 있다. 여기서 셋의 후손 라맥은 날카로운 무기를 신뢰하며 인간의 교만을 노래했던 가인의 후손 라멕(4 :23,24)과는 달리 인간이 극복할 수 없었던 고통의 한계를 시인하며 '안식’, ‘위로’라는 뜻의 '노아’란 이름을 아들에게 붙임으로써 하늘로부터 오는 신령한 위안을 기대했다. 즉 그는 하나님이 마련하신 고통의 현장에서 하나님께 반항하거나 삶을 자포자기하지 않고 '하나님 의존적인 삶’을 추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던 것이다. 즉,스스로의 힘으로는 안위를 얻을 수 없고 오직 하나님에 의해서만 평안과 위로를 누릴 수 있음을 믿는 신앙을 가졌던 것이다.
이처럼 신앙은 좋은 환경과 풍요로운 삶 속에서 자라나는 것이 아니라, 고달프고 빈핍한 삶을 통해 오히려 더 힘차게 성장한다. 그러므로 개개인에게 닥쳐지고 있는 모든 환란과 고통은 어떤 면에서는 그를 사랑하사 그의 성숙을 꾀하시려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경륜으로 해석할 수 있다(약 1 : 4).
1) '노아’란 이름 속에 내포된 구원의 의미
'노아’ 란 이름에는 절망적인 인간상을 극복하며, 인류에게 진정한 평안을 제공키 위해 오실 위안자(慰安者) 예수 그리스도를 예상케하는 밝은 예언이 내포되어 있다. 실제로 노아는 죄악된 이 땅에 하나님의 평화와 구원의 메시지를 전한 자이며,고통당하는 자를 구원할 방주를 예비하기 위해 태어났고,그러한 노아의 삶이 곧 인류 구속자이신 예수의 사역욜 예표했다. 또한 노아는 부패한 세상을 향해 의(義)를 선포한 자로서 인류의 마음속에 참 의를 가져다주실 예수 그리스도를 예비하였다. 오늘 우리는 홍수 전 노아의 시대만큼이나 슬프고 참혹한 상태에 놓여 있다. 그러나 노아의 부친 라멕이 그러했던 것처럼, 우리 성도들도 안식과 위로의 근원이신 하나님과 평강과 평화의 실체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소망함으로써 능히 그 상황을 극복해 갈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이홍찬 저, 예수그리스도 중심의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지민 2012
목회와신학 편집부 저, 창세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 2012
마틴 로이드 존스 저, 설교와 설교자, 복있는사람 2012
존 H. 월튼 저, 창세기(NIV 적용주석), 성서유니온선교회 2007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본문에는 이런 고역의 고통을 깊이 체험하며 인간의 유약함을 확신했던 한 인간의 고뇌에 찬 호소가 담겨 있다. 여기서 셋의 후손 라맥은 날카로운 무기를 신뢰하며 인간의 교만을 노래했던 가인의 후손 라멕(4 :23,24)과는 달리 인간이 극복할 수 없었던 고통의 한계를 시인하며 '안식’, ‘위로’라는 뜻의 '노아’란 이름을 아들에게 붙임으로써 하늘로부터 오는 신령한 위안을 기대했다. 즉 그는 하나님이 마련하신 고통의 현장에서 하나님께 반항하거나 삶을 자포자기하지 않고 '하나님 의존적인 삶’을 추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던 것이다. 즉,스스로의 힘으로는 안위를 얻을 수 없고 오직 하나님에 의해서만 평안과 위로를 누릴 수 있음을 믿는 신앙을 가졌던 것이다.
이처럼 신앙은 좋은 환경과 풍요로운 삶 속에서 자라나는 것이 아니라, 고달프고 빈핍한 삶을 통해 오히려 더 힘차게 성장한다. 그러므로 개개인에게 닥쳐지고 있는 모든 환란과 고통은 어떤 면에서는 그를 사랑하사 그의 성숙을 꾀하시려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경륜으로 해석할 수 있다(약 1 : 4).
1) '노아’란 이름 속에 내포된 구원의 의미
'노아’ 란 이름에는 절망적인 인간상을 극복하며, 인류에게 진정한 평안을 제공키 위해 오실 위안자(慰安者) 예수 그리스도를 예상케하는 밝은 예언이 내포되어 있다. 실제로 노아는 죄악된 이 땅에 하나님의 평화와 구원의 메시지를 전한 자이며,고통당하는 자를 구원할 방주를 예비하기 위해 태어났고,그러한 노아의 삶이 곧 인류 구속자이신 예수의 사역욜 예표했다. 또한 노아는 부패한 세상을 향해 의(義)를 선포한 자로서 인류의 마음속에 참 의를 가져다주실 예수 그리스도를 예비하였다. 오늘 우리는 홍수 전 노아의 시대만큼이나 슬프고 참혹한 상태에 놓여 있다. 그러나 노아의 부친 라멕이 그러했던 것처럼, 우리 성도들도 안식과 위로의 근원이신 하나님과 평강과 평화의 실체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소망함으로써 능히 그 상황을 극복해 갈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이홍찬 저, 예수그리스도 중심의 설교 어떻게 할 것인가, 지민 2012
목회와신학 편집부 저, 창세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두란노 2012
마틴 로이드 존스 저, 설교와 설교자, 복있는사람 2012
존 H. 월튼 저, 창세기(NIV 적용주석), 성서유니온선교회 2007
J. A. 모티어 저, IVP 성경주석,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010
키워드
추천자료
차일즈 구약신학
오경과 구약의 언약신학 - 출애굽기 19장-40장 언약신학 연구
왕정시대의 시작과 멸망 -구약신학과의 만남(브루지만)
역사로본 구약신학 요점 정리 입니다.[정확함]
[구약서론]구약 신학의 내용 (족장 이전 시대, 족장 시대, 출애굽 시대, 왕조 전후 시대, 지...
[구약서론]구약 신학의 역사와 방법에 대하여
구약석의 -창세기8장20-22절
[구약신학] 레위기 25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안식년과 희년
[구약신학] 레위기 2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순종의 축복과 불순종의 저주
[구약신학] 레위기 9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제사장 취임식
[구약신학] 레위기 1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문둥병 진단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14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문둥병자의 정결 예식
[구약신학] 레위기 2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각종 서원에 관한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1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산모의 정결 규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