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문제와 보호] 분노의 인지행동 치료적 접근 -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 Therapy)의 이해, 라즈로스, 디펜드백쳐와 맥케이, 알버트 엘리스, 아론 벡, 베르코비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문제와 보호] 분노의 인지행동 치료적 접근 -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 Therapy)의 이해, 라즈로스, 디펜드백쳐와 맥케이, 알버트 엘리스, 아론 벡, 베르코비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인지행동치료의 이해
2. 라자로스
3. 디펜드백쳐와 맥케이
4. 알버트 엘리스
5. 아론 벡
6. 베르코비치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로는 억제되기도 한다. 베르코비치는 그의 모델에서 인지 과정으로 고차적 사고만을 강조하고 있지만,당면한 대인관계 상황이 불쾌한 사건이라는 인식을 가농하게 해주는 초기의 사고과정을 가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면, 그의 모델이 분노 경험의 유발에 적어도 두 단계의 사고과정을 가정하고 있음이 시사된다.
분노에 대한 인지이론들에 따르면,평가나 해석 과정이 분노 유발에 중요하게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네 이론에서는 공통적으로 분노 경험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두 가지 구별되는 인지과정이나 사고가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 두 과정을 라자로스(Lazarus, 1991)와 디펜드백쳐 및 맥케이 (Defenbacher & McKay, 2000)는 일차평가와 이차평가라 하였고,벡(Beck)은 의미부여와 이차해석이라고 언급하였다.
국내의 연구에서 서수균과 권석만(2005)은 이와 같은 분노유발에 기여하는 자동적 사고를 일차적 분노사고와 이차적 분노사고로 세분하였다. 일차적 분노사고와 이차적 분노사고의 특징을 구분해보면,시간적으로 일차적 분노사고는 초기에 일어나며,이차적 분노사고는 일차적 분노사고에 이어서 후기에 일어난다. 분노가 최초로 유발되는 과정에서 일차적 분노사고 없이 이차적 분노사고만 있는 경우는 개념적으로 있을 수 없으며,일차적 분노사고의 내용은 상황에 대한 해석이나 의미 부여이다. 일차적 분노사고는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타인의 부당하고 이기적인 행동에 대한 예민성과 친밀한 관계상황에서 경험하는 무시와 실망감을 반영하는 두 하위척도로 나누어진다.
반면에 이차적 분노사고는 일차적 분노사고로 인한 불쾌감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며, 흔히 대처 양상을 반영하는 충동이나 행동, 심리상태로 이루어진다. 이차적 분노사고는 타인을 경멸하고 모욕하거나, 정신적 혹은 물리적으로 보복하는 내용이 주가 되는 타인비난이나 보복과 분노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무기력해하는 무력감,또한 분노감정을 의식적으로 통제하고 분노상황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거나 문제해결적인 노력을 취하는 분노통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일차적 분노사고는 상황에 대한 평가를 반영하기 때문에 인지적 오류나 왜곡이 관여되기 쉬운데 비해,이차적 분노사고는 대처 양상을 주로 반영하기 때문에 처한 상황에서 그 사고가 얼마나 적응적 인가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사용된 인지행동치료 가운데 분노를 위해서 가장 많이 활용된 주요 기법은 인지적 재구성 치료라고 할 수 있다. 인지적 재구성 치료의 주요 목적은 비합리적이거나 왜곡된 사고 양상을 확인하고 논박을 통해서 이에 도전함으로써,적응적인 신념체계와 왜곡되지 않는 사고양상을 새롭게 구성하도록 돕는 것이다(Beck, 1976; Ellis, 1973). 대표적인 인지적 재구성 치료로 벡의 인지치료(1963, 2000)와 엘리스의 합리적 정서치료(1962, 1977)를 들 수 있다. 백과 엘리스 모두 역기능적인 분노유발의 기저에 있는 역기능적인 신념이나 비합리적 신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나,논박을 통해서 이들을 합리적이고 기능적인 신념으로 바꿔주는 것이 치료의 가정이자 목적이라고 하였다. 특히 백은 이에 더해서 분노상황에서 보이는 부적응적인 자동적 사고와 이들의 기저에 있는 여러 가지 인지적 오류를 치료자와 함께 찾고 수정하는 작업을 강조하였다.
참고문헌
류창현 저, 청소년을 위한 분노조절 & 분노치료, 교육과학사 2014
Mina K. Bulcan, MaryBeth Lake 저,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정신건강, 학지사 2013
모경환, 이미리 외 저, 청소년문제와 보호, 교육과학사 2014
한상철, 김혜원 외 저, 청소년 문제행동, 학지사 2012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4.30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58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