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NETWORK)관리사 1급, 2급 - 실기 통합 학습 정리, 한 번에 끝내기! {HARDWARD , 공통기술용어, WINDOWS2000 SERVER, LINUX, SUBNETTING, ROUTER - 라우터의 동작 원리 및 주요용어, ROUTER SETTING}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네트워크(NETWORK)관리사 1급, 2급 - 실기 통합 학습 정리, 한 번에 끝내기! {HARDWARD , 공통기술용어, WINDOWS2000 SERVER, LINUX, SUBNETTING, ROUTER - 라우터의 동작 원리 및 주요용어, ROUTER SETTING}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HARDWARD - 케이블링 및 OSI계층별 사용 장비 등

2. 공통기술용어 - 통신기술부터, 신조어, 네트워크 규격별 차이점 및 상세내용

3. WINDOWS2000 SERVER - 서버 명령어 및 특징

4. LINUX - 리눅스의 기본 운용 정보 및 특징, 각 명령어별 사용법

5. SUBNETTING - SUBNET 계산을 위한 기본적 정리 및 설명예시

6. ROUTER - 라우터의 동작 원리 및 주요용어

7. ROUTER SETTING - 라우터 시뮬레이션 실기를 위한 명령어 적용 방법

본문내용

HARDWARE


■ Cable 길이 구분 - CAT3: 10M / CAT5: 100M

■ Direct Cable
568A - 흰오렌지 / 오렌지 / 흰녹색 / 청색 / 흰청색 / 녹색 / 흰갈색 / 갈색
568B - 흰오렌지 / 오렌지 / 흰녹색 / 청색 / 흰청색 / 녹색 / 흰갈색 / 갈색

■ Cross Cable
568A - 흰오렌지 / 오렌지 / 흰녹색 / 청색 / 흰청색 / 녹색 / 흰갈색 / 갈색
568A - 흰녹색 / 녹색 / 흰오렌지 / 청색 / 흰청색 / 오렌지 / 흰갈색 / 갈색

■ Direct/Cross Cable 구분
Direct: Hub - PC / Hub-Hub(Uplink O) / Hub-Router / Hub-ADSL
Cross: PC-PC / Hub-Hub(Uplink X)

■ OSI 계층별 사용 장비
Gateway - Application Layer(응용계층)
     - Presentation Layer(표현계층)
     - Session Layer(세션계층)
      Transport Layer
Router  - Network Layer
Bridge  - Datelink Layer
Repeater - Physical Layer – Hub

■ OSI 7 계층
1계층: 물리계층(Physucal Layer)
2계층: 데이터링크계층(Datalink Layer)
3계층: 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
4계층: 전송계층(Transport Layer)
5계층: 세션계층(Session Layer)
6계층: 표현계층(Presentation Layer)
7계층: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




 ≪ … 중 략 … ≫




LINUX

■ /etc/fstab
Linux System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되는 파티션이 나열된 파일

■ /etc/shadow
암호화된 패스워드 파일의 경로와 파일명

■ root계정: Windows2000Server의 administrator의 계정과 동등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su: 일반계정에서 root계정을 변환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0: root의 Default UID/GID 번호

■ /var (Linux Directory)
가변데이터 파티션
각종 로그 파일들이 저장됨
메일과 DB에 관련된 파일들도 저장됨
서버 구동시간이 늘어나면 저장내용도 점점 증가함
해커와 정보보안 관계자에 중요함

■ CD-ROM Mount/Unmout
#mount /dev/cdrom /mnt/cdrom
#unmount /mnt/cdrom

■ LINUX 부팅과정
Lilo boot: linux -> /etc/inittab -> Mingetty -> Login -> TTY체크 -> Shell 시작
ID가 '1'인 프로세스는 /etc/inittab 안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립트를 실행시켜 수행 단계(Run Level)별 프로세스 생성

■ Linux Run Level
0 Halt
1 single user mode
2 multi-user without NFS
3 Full multi-user mode
4 unused
5 X11
6 Reboot
ex)
#init 0
INIT: Switching to runlevel: 0




 ≪ … 중 략 … ≫




ROUTER SETTING


■ Web Management(R1에 설정)
ROUTER>en
ROUTER#config t
ROUTER(config)#ip http server
ROUTER(config)#exit
ROUTER#wr

■ SNMP - network라는 community값을 통해 모니터링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snmp server community network
Router(config)#exit
Router#write

■ Router의 인터페이스가 down된 상태, Ethernet 0(Serial 0)를 up으로 설정/저장
Router>en
Router#conf t
Router(config)#int e 0(int s 0)
Router(config-if)#no shutdown (인터페이스 활성화)
Router(config-if)#exit
Router(config)#exit
Router#write
  • 가격5,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15.04.30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9658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