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제목
2.이론
1)Nanoparticle
2)난용성 약물의 용해도를 개선하는 다양한 방법
3)crystalline form과 Amorphous form의 용해도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4)DLS(Dynamic light scattering)의 원리
2.이론
1)Nanoparticle
2)난용성 약물의 용해도를 개선하는 다양한 방법
3)crystalline form과 Amorphous form의 용해도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4)DLS(Dynamic light scattering)의 원리
본문내용
따라 일정한 비율로 변동하고 그 속에 따라 위상이 다른 빛의 산란이 생기게 된다. 이것을 도플러 현상(Doppler Shift)이라고 한다. 도플러현상이란 음파나 전자파를 포함하여 일반적인 파에 대해서 관측자에 대해 상대 속도를 가진 파원으로부터의 파의 진동수가 상대 속도 영인 경우의 값과 다른 현상을 말한다.
(파의 위상 속도: υ0, 파원의 진동수, 속도: ν1, υ1, 관측자의 속도; ν2, υ2 )
<그림3>
그림과 같이 서로 다른 속도로 브라운 운동을 하고 있는 입자에 레이저가 조사되면 입자의 크기에 따라 산란광의 주파수는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강도 변동의 분석을 통해 브라운 운동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톡스-아인슈타인 방정식(Stokes-Einstein) 관계를 이용하여 입도를 구할 수 있다.
(q: the electrical charge of a particle, μq: the electrical mobility of the charged particle,
η: viscosity, r: the radius of the spherical particle)
* DLS 입도분석 프로세서
1) 광 Fiber를 통하여 입자에 Laser를 조사한다.
2) 기준광과 입자경 정보를 담은 산란광을 검출부에 전달한다.
3) 기준광과 산란광으로부터 입경 정보를 검출, A/D 변환한다.
4) 디지털화된 정보를 FFT( Frequency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주파수 성분화한다.
5) 주파수 성분화된 입경정보를 특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도분포를 구한다.
<그림4> <그림5>
(파의 위상 속도: υ0, 파원의 진동수, 속도: ν1, υ1, 관측자의 속도; ν2, υ2 )
<그림3>
그림과 같이 서로 다른 속도로 브라운 운동을 하고 있는 입자에 레이저가 조사되면 입자의 크기에 따라 산란광의 주파수는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강도 변동의 분석을 통해 브라운 운동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톡스-아인슈타인 방정식(Stokes-Einstein) 관계를 이용하여 입도를 구할 수 있다.
(q: the electrical charge of a particle, μq: the electrical mobility of the charged particle,
η: viscosity, r: the radius of the spherical particle)
* DLS 입도분석 프로세서
1) 광 Fiber를 통하여 입자에 Laser를 조사한다.
2) 기준광과 입자경 정보를 담은 산란광을 검출부에 전달한다.
3) 기준광과 산란광으로부터 입경 정보를 검출, A/D 변환한다.
4) 디지털화된 정보를 FFT( Frequency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주파수 성분화한다.
5) 주파수 성분화된 입경정보를 특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도분포를 구한다.
<그림4> <그림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