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토양균 streaking 토양균의 형태와 배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토양균 streaking 토양균의 형태와 배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실험주제
2.실험목적
3.개요(이론)
4.실험방법
5.실험결과
6.고찰
7.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다. 또 도말이 다된 배지를 보관할 때 뚜껑이 아래로 가도록 뒤집어 배양하는 것이다. 뒤집지 않을 경우 배양을 하면서 습기가 생기는데 이때 뚜껑에 물방울이 맺히게 되고 그 물방울이 배지에 떨어지게 되면 배지가 오염되어 배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뒤집어서 배양하게 되면 배지가 마르지 않아 좀 더 오래 보관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 우리 조는 Spreading은 비교적 잘된 편이었지만 Streaking은 잘 되지 못하였는데 그 원인을 생각해보았다. 첫 번째로 백금이를 화염멸균한 뒤 제대로 식히지 않았을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뜨거운 백금이에 의해 미생물이 타 죽어버려 도말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두 번째로 백금이에 미생물이 제대로 묻지 않았을 경우이다. 미생물원액과 멸균한 증류수를 섞어 희석하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미생물이 튜브바닥에 침전되었을 수 있다. 피펫으로 시료를 뜨기 전에 튜브를 충분히 흔들어 주어야한다. 세 번째로 피펫사용법을 제대로 익히지 못한 경우이다. 올바른 피펫의 사용법은 팁을 끼우고 레버가 걸리는 부분까지 누른 뒤 시료에 넣어 레버에서 서서히 힘을 빼며 시료를 빨아들어야 한다. 레버를 더 누르고 빼면 공기가 들어가서 시료가 적게 들어가거나 반대로 시료가 더 들어갈 수 있다. 피펫을 이용한 실험을 잘 해보지 않아 피펫이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료의 양을 적정 양 만큼 뜨지 못했을 수 있다. 네 번째로 앞의 도말한 부분에서 정확하게 균을 끌어와 도말하지 않았을 경우이다. 도말을 하고 그 다음 도말을 할 때 앞의 도말부분이 찾기 어려웠는데 이때 정확하게 균을 끌어오지 못했을 수 있다. 균이 존재하지 않는데 도말하였으므로 당연히 배양이 될 수 없다. 그런데 실험 결과에는 streaking을 한 배지의 일부분에 조금씩 배양이 되어있다. 그러나 도말의 시작부위를 알 수 없으므로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인지 알 수 없다. 마지막으로 멸균을 제대로 거치지 않거나 중간에 오염이 된 경우이다. 실제로 실험 중간에 옷소매가 배지에 닿거나 바닥에 백금이를 내려 놓는 등 실수가 있었다. 그때 배지가 오염되었을 수 있다. 그러나 배지가 오염되었다면 토양균 외의 다른 균이 배양되어야 하는데 실험결과에서는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확실하지 않은 경우이다.
이번 실험에 대해 조사하고 실험을 하면서 생겼던 의문점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첫 번째로 이번 실험에서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단계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모든 단계가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단계였다. 멸균되지 않은 공기나 물체가 들어오거나 기구를 제대로 멸균하지 않았거나 실험대 앞에서 잡담을 하는 등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조금이라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바로 오염이 가능한 실험이었다. 두 번째로 실험결과를 보니 균의 크기가 다양하였다. 이러한 균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이 궁금하였다. 균의 크기는 배양시간과 배양온도, 세균의 종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균의 크기뿐 아니라 다른 특성들도 같은 배지더라도 이러한 요인들이 바뀌면 배양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배양시간이 길어질 수 록 균의 크기가 큰 것이 더 생기고 수도 늘어났다. 다른 요인들은 이번실험에서는 해볼 기회가 없어 확인하지 못하였지만 다른 실험에서 이러한 요인들을 확인해 볼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 세 번째로 배지를 N/A배지와 CD-A배지 두 개로 나누어 실험하였는데 두 개로 나눈 이유와 결과의 차이점이 궁금하였다. 먼저 둘의 차이점은 조성에 있는데 N/A배지는 일반 한천배지로 세균의 배양에 적합하며 가장 기본적인 영양소가 들어있다. CD-A배지는 곰팡이 합성배지로 곰팡이의 배양에 적합하며 맥아당이 주 원료로 들어가 있다. 그러므로 토양균 시료에서 N/A배지에는 토양에 들어있는 세균이 증식하기 용이할 것이고 CD-A배지에는 토양 속 곰팡이균이 자라기에 적합할 것이다. 즉, 두 배지는 토양속의 다른 균을 배양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다.
미생물을 도말하여 균을 관찰하는 실험으로 첫 실험이자 토양 속의 다양한 균들을 내 손으로 배양하고 관찰할 수 있어서 더 의미있었던 실험인 것 같다. 1학년 때와 달리 좀 더 실험다운 실험이라는 느낌이 들어 좀 긴장하고 많이 떨면서 했던 실험이었는데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고 많은 것을 배워가는 실험이었다. 특히 조금 번거롭게 느껴졌던 멸균과정이 실험에 얼마나 중요한 지를 알 수 있었다. 작은 것에도 실험의 결과가 좌우 될 수 있다는 것을 통해 멸균의 중요성을 깨달았고 나도 앞으로 사소한 것에도 좀 더 주의를 기울여서 실험에 참여하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알고 실천할 것이다. 미생물 실험의 가장 기본적인 것을 배운 실험이어서 잘했으면 했는데 실험의 결과물을 보니 좀 더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점이 많이 아쉽기도 했다. 그러나 앞으로 남은 실험을 많기 때문에 앞으로 더 잘하고 싶고 좀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이 기대가 된다.
7.참고문헌
-Clark, Martinko, Dunlap, Madigan 저, Brock의 미생물학, 바이오사이언스, 2009.04.15 p113~114
-대한간호학회 편, 간호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한양대학교 분자생명과학부 편
-강영희 저, 생명과학 대사전, 아카데미서적, 2008
-한국 식품 과학회, 식품과학기술대사전, 광일출판사, 2008
-유주현 변유량 외, 응용 미생물학 실험, 효일, 2007 p36,37,42~45,48~51
-김선희 김승곤 김영권 김영자 김충환 김태운 이건섭 정경석 최양순 공저, 미생물학 실험, 1994 고려의학 p148~153
-박철희 김관천 정병곤 조기안 공저, 미생물학 실험, 동화기술교역, 2006 p25~27
-민창홍 외, 기초 미생물학 실습, 형설출판사, 1990 p33~36,40~42
-유재근, 실습 미생물학, 신광출판사, 1994 p45,49
-민경희 외 2인 편저, 대학미생물학, 탐구당
-김경민외 6일 공역, 일반미생물학 5판, 라이프사이언스, 2003
-이재열 저, 보이지 않는 권력자,미생물이야기, 사이언스북스
-화학용어사전편찬회, 화학용어사전, 일진사, 2011
-doopedia 두산백과, 두산동아 2010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5.04.30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59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