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사, 서사는 과연 무엇일까?
2. 플롯화, 플롯은 과연 무엇일까?
3. 다큐멘터리, 다큐멘터리는 과연 무엇일까? 온전히 객관적 사실만을 알려주는 것일까?
4.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실제 제작과정을 통해 본 플롯화
2. 플롯화, 플롯은 과연 무엇일까?
3. 다큐멘터리, 다큐멘터리는 과연 무엇일까? 온전히 객관적 사실만을 알려주는 것일까?
4.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실제 제작과정을 통해 본 플롯화
본문내용
게 길을 가는 중에도 시간을 내 길을 안내한 분들인데 나쁜 결과로 편집 된다는 게 정말 가슴이 아팠다”고 말했습니다. 소모뚜씨는 “한국인들의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자하는 방송의 노력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허위보도에 희생된 친절한 한국 분들께 너무 미안하고 죄송하다. 방송을 보고 기분이 나쁘셨다면 제가 사과드린다.”라고 덧붙였습니다. 방송사 측은 “방송 시간을 고려한 편집이었다.”라며 “왜곡하려고 한 의도는 아니었다. 세밀하게 담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인정하고 반성한다.”라고 말했습니다. 『 SBS ‘아이러브 인’, 인종차별 실험 왜곡 편집 논란』 2013.06.19.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http://star.mk.co.kr/new/view.php?mc=ST&no=482849&year=2013
이렇듯 시청자는 철저히 객관적이라고 여기는 다큐멘터리 형식의 프로그램 역시 기획자의 의도와 편집에 의해 실제 사실이 변형 또는 왜곡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4.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실제 제작과정을 통해 본 플롯화
오늘 처음에 서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플롯이 무엇이며, 다큐멘터리가 어떤 프로그램인지 공부했었어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큐멘터리의 제작과정을 예시를 통해 보면서 플롯을 더 쉽게 알게 되었답니다.
사람들은 다큐멘터리가 사실 그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보여준다고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편집’인 플롯이 다큐멘터리 안에 존재하다는 것을 이제 여러분은 알겠죠?
그래서 앞에서 정의 내린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편집’이라는 ‘플롯’의 의미와 ‘그렇게 만들거나 됨’이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는 접속사 ‘~화’를 결합하여 ‘플롯화’라는 단어를 만들었답니다. 그에 ‘다큐멘터리’라는 단어까지 합하여 ‘플롯화 된 다큐멘터리’라고 제목을 정했답니다. 이젠 제목의 의미를 알겠나요?
다큐멘터리를 볼 때, 다큐멘터리는 사실을 전달한다는 의미가 커서 그것을 비판적으로 받아드리지 않고 그저 그대로 받아드릴 수가 있어요. 여러분은 이제 다큐멘터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받아드렸으면 좋겠어요. 물론 모든 다큐멘터리가 사실을 왜곡하는 것은 아니지만, 플롯을 사용하여 기획자의 잘못된 의도가 들어간 다큐멘터리를 주저 없이 받아드린다면 문제가 있겠죠?
다큐멘터리뿐만 아니라 여러분이 접하는 다양한 매체들을 비판적으로 감상하고 잘 판단 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수업을 마치겠습니다. 수고했어요. 여러분.
http://star.mk.co.kr/new/view.php?mc=ST&no=482849&year=2013
이렇듯 시청자는 철저히 객관적이라고 여기는 다큐멘터리 형식의 프로그램 역시 기획자의 의도와 편집에 의해 실제 사실이 변형 또는 왜곡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4.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실제 제작과정을 통해 본 플롯화
오늘 처음에 서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플롯이 무엇이며, 다큐멘터리가 어떤 프로그램인지 공부했었어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큐멘터리의 제작과정을 예시를 통해 보면서 플롯을 더 쉽게 알게 되었답니다.
사람들은 다큐멘터리가 사실 그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보여준다고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편집’인 플롯이 다큐멘터리 안에 존재하다는 것을 이제 여러분은 알겠죠?
그래서 앞에서 정의 내린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편집’이라는 ‘플롯’의 의미와 ‘그렇게 만들거나 됨’이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는 접속사 ‘~화’를 결합하여 ‘플롯화’라는 단어를 만들었답니다. 그에 ‘다큐멘터리’라는 단어까지 합하여 ‘플롯화 된 다큐멘터리’라고 제목을 정했답니다. 이젠 제목의 의미를 알겠나요?
다큐멘터리를 볼 때, 다큐멘터리는 사실을 전달한다는 의미가 커서 그것을 비판적으로 받아드리지 않고 그저 그대로 받아드릴 수가 있어요. 여러분은 이제 다큐멘터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받아드렸으면 좋겠어요. 물론 모든 다큐멘터리가 사실을 왜곡하는 것은 아니지만, 플롯을 사용하여 기획자의 잘못된 의도가 들어간 다큐멘터리를 주저 없이 받아드린다면 문제가 있겠죠?
다큐멘터리뿐만 아니라 여러분이 접하는 다양한 매체들을 비판적으로 감상하고 잘 판단 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수업을 마치겠습니다. 수고했어요. 여러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