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택하고 있음과 더불어 인간 중심의 시스템과 상대되는 그의 세계관을 읽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이처럼 적극적이지 않은 주체성과 관조적 태도는 지배적 시스템에서 벗어나 있음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의 대표시 중 하나인 나그네의 이미지처럼 그는 현실에서의 타자이며 동경하는 자유로운 이상에는 현실적인 일치가 불가능함을 안타까워했던 것이다. 앞서 얘기한 여백과 정조를 통한 서사의 연결은 합리적 시스템과 상대되는 그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지만, 목월이 자신의 입지에서 시대적 의식을 담기 좋은 방법으로도 보여진다. 즉, 그러한 구도는 텍스트의 의미발화를 창조적이며 폭넓게 만들어 주므로 심미적인 서정과 감성적인 만족을 전달해줌과 동시에 여러 의식들을 드러나지 않게 배태하고 있을수 있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