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역아동센터 개념
2. 지역아동센터의 의미
3.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기능
4. 지역아동센터 사업 내용
1) 목적
2) 지원대상, 지원내역
3) 추진방향
4) 사업추진체계
5)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
5. 지역아동센터 현황
1) 지역아동센터의 설치 및 이용 현황
2) 시도별 지역아동센터 수
3) 이용아동현황
4) 연도별 지원현황
5) 종사자현황
6) 재정현황
6. 지역아동센터 활성화 방안
【 참고자료 】
2. 지역아동센터의 의미
3.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기능
4. 지역아동센터 사업 내용
1) 목적
2) 지원대상, 지원내역
3) 추진방향
4) 사업추진체계
5)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
5. 지역아동센터 현황
1) 지역아동센터의 설치 및 이용 현황
2) 시도별 지역아동센터 수
3) 이용아동현황
4) 연도별 지원현황
5) 종사자현황
6) 재정현황
6. 지역아동센터 활성화 방안
【 참고자료 】
본문내용
3.12))
3) 이용아동현황
(1) 연도별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현황
< 연도별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현황 > (단위: 명)
(자료: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2013.12))
(2) 연도별 특별관리아동 이용현황
< 연도별 특별관리아동 이용현황 >
(자료: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2013.12))
(3) 연도별 경제상황별 이용아동현황
< 연도별 경제상황별 이용아동현황 >
(자료: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2013.12))
4) 연도별 지원현황
< 연도별 지원현황 >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시설현황
신고·운영개소
895
1,709
2,029
2,618
3,013
3,474
3,690
3,985
4,036
4,061
-
-
이용아동수(천명)
23
44
59
76
87
98
100
105
108
109
-
-
지원현황
지원개소
500
800
902
1,800
2,088
2,788
2,946
3,260
3,500
3,742
3,989
4,113
지원단가
(월/만원)
67
200
200
200
220
상:220
하:320
320
370
395
420
433
443
지원예산
총액
(억원)
25
129
225
552
901
1,299
1,549
1,857
2,138
2,485
2,723
2,844
국비
12
57
105
335
495
695
814
963
1,096
1,272
1,306
1,363
지방비
13
72
119
300
406
604
735
894
1,043
1,213
1,417
1,481
※ 지역아동센터 지원 사업의 자치단체경상보조금 최종예산액 기준
(자료: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2013.12))
5) 종사자현황
< 종사자현황 > (단위: 명, %)
종사자
총인원
시설장
생활복지사
소계
남
여
소계
남
여
9,203
(100.0)
4,061
(44.1)
1,136
(12.3)
2,925
(31.8)
5,142
(55.9)
542
(5.9)
4,600
(50.0)
(자료: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2013.12))
6) 재정현황
< 센터 1개소당 연간 평균 총 수입 및 총 지출 > (단위: 개소, 원)
전체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기관
센터수
평균 총 수입
평균 총 지출
센터수
평균 총 수입
평균 총 지출
4,061
75,274,699
73,881,123
3,818
78,188,138
76,652,371
(자료: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2013.12))
6. 지역아동센터 활성화 방안
(1) 현실성 있는 재정적 지원 필요
지역아동센터를 운영해 나감에 있어 시급한 과제이면서 정책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점은 지역아동센터의 현실성 있는 재정적 지원이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과 종사자 모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반드시 더 많은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2)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인건비와 처우개선의 현실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해 가장 먼저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는 낮은 인건비 일 것이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은 사회복지사의 처우를 받을 수 있는 법적인 제도 장치가 적용 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직무 만족과 처우 개선을 위해 정책적인 방안들이 실천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이미경, 2013).
(3)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역량강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사기와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보수교육 및 재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이 적극적으로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에게 프로그램이나 훈련, 연구, 발표회, 세미나 등에 참가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자신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역량강화의 기회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4) 자원봉사 인력강화가 필요하다.
지역아동센터에서도 많은 자원봉사자를 요하지만 아직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아동들에 대한 편견도 있어 지역사회에서 오랜 기간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곳을 제외하고는 봉사자의 손길이 시급하다. 교사의 수는 적은데다가 자원봉사자의 수도 적기 때문에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자격을 갖춘 자원봉사자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강명신, 2010).
(5) 학년 및 연령 별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 아동들이 상담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전문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문제해결을 원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 지역아동센터는 아동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어야 한다.
- 지역아동센터의 이용아동의 다수가 저소득층 빈민가정임을 감안한다면 대다수의 그들이 겪고 있는 학교부적응, 일탈행동, 열등감, 자존감 상실 등에 대한 적절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 또한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자아실현을 위한 직업탐색 프로그램도 필요하다(박현수, 2009).
(6)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시설기능보강사업을 지원해야 한다.
아동교육 중 어려운 점의 하나가 협소한 공간으로 인한 서비스의 질이 낮다는 것이다. 지역아동센터는 시설을 갖추는 것 외에도 급식장비, 교육교구, 등 최소한의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한 장비들을 갖추어야 하는데 여타 아동복지시설의 경우 시설기능보강사업비를 지원하고 있듯이 지역아동센터에 대해서도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신효자, 2008).
【 참고자료 】
강명순(2007)「한국의 빈곤아동과 지역아동센터 법제화에 관한 이론과 실천」도서출판 부스러기
강명신(2010)「지역아동센터 활성화 방안」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현수(2009)「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보건복지부,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2013.12)「전국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보고서」
신효자(2008)「지역아동센터 운영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여성가족부(2014)「2014 청소년백서」
이미경(2013)「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국지역아동센터협의회(2007)「2007신규회원교육」
3) 이용아동현황
(1) 연도별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현황
< 연도별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현황 > (단위: 명)
(자료: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2013.12))
(2) 연도별 특별관리아동 이용현황
< 연도별 특별관리아동 이용현황 >
(자료: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2013.12))
(3) 연도별 경제상황별 이용아동현황
< 연도별 경제상황별 이용아동현황 >
(자료: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2013.12))
4) 연도별 지원현황
< 연도별 지원현황 >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시설현황
신고·운영개소
895
1,709
2,029
2,618
3,013
3,474
3,690
3,985
4,036
4,061
-
-
이용아동수(천명)
23
44
59
76
87
98
100
105
108
109
-
-
지원현황
지원개소
500
800
902
1,800
2,088
2,788
2,946
3,260
3,500
3,742
3,989
4,113
지원단가
(월/만원)
67
200
200
200
220
상:220
하:320
320
370
395
420
433
443
지원예산
총액
(억원)
25
129
225
552
901
1,299
1,549
1,857
2,138
2,485
2,723
2,844
국비
12
57
105
335
495
695
814
963
1,096
1,272
1,306
1,363
지방비
13
72
119
300
406
604
735
894
1,043
1,213
1,417
1,481
※ 지역아동센터 지원 사업의 자치단체경상보조금 최종예산액 기준
(자료: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2013.12))
5) 종사자현황
< 종사자현황 > (단위: 명, %)
종사자
총인원
시설장
생활복지사
소계
남
여
소계
남
여
9,203
(100.0)
4,061
(44.1)
1,136
(12.3)
2,925
(31.8)
5,142
(55.9)
542
(5.9)
4,600
(50.0)
(자료: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2013.12))
6) 재정현황
< 센터 1개소당 연간 평균 총 수입 및 총 지출 > (단위: 개소, 원)
전체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기관
센터수
평균 총 수입
평균 총 지출
센터수
평균 총 수입
평균 총 지출
4,061
75,274,699
73,881,123
3,818
78,188,138
76,652,371
(자료: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2013.12))
6. 지역아동센터 활성화 방안
(1) 현실성 있는 재정적 지원 필요
지역아동센터를 운영해 나감에 있어 시급한 과제이면서 정책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점은 지역아동센터의 현실성 있는 재정적 지원이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과 종사자 모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반드시 더 많은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2)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인건비와 처우개선의 현실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해 가장 먼저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는 낮은 인건비 일 것이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은 사회복지사의 처우를 받을 수 있는 법적인 제도 장치가 적용 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직무 만족과 처우 개선을 위해 정책적인 방안들이 실천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이미경, 2013).
(3)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역량강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사기와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보수교육 및 재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이 적극적으로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에게 프로그램이나 훈련, 연구, 발표회, 세미나 등에 참가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자신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역량강화의 기회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4) 자원봉사 인력강화가 필요하다.
지역아동센터에서도 많은 자원봉사자를 요하지만 아직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아동들에 대한 편견도 있어 지역사회에서 오랜 기간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곳을 제외하고는 봉사자의 손길이 시급하다. 교사의 수는 적은데다가 자원봉사자의 수도 적기 때문에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자격을 갖춘 자원봉사자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강명신, 2010).
(5) 학년 및 연령 별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 아동들이 상담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전문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문제해결을 원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 지역아동센터는 아동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어야 한다.
- 지역아동센터의 이용아동의 다수가 저소득층 빈민가정임을 감안한다면 대다수의 그들이 겪고 있는 학교부적응, 일탈행동, 열등감, 자존감 상실 등에 대한 적절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 또한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자아실현을 위한 직업탐색 프로그램도 필요하다(박현수, 2009).
(6)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시설기능보강사업을 지원해야 한다.
아동교육 중 어려운 점의 하나가 협소한 공간으로 인한 서비스의 질이 낮다는 것이다. 지역아동센터는 시설을 갖추는 것 외에도 급식장비, 교육교구, 등 최소한의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한 장비들을 갖추어야 하는데 여타 아동복지시설의 경우 시설기능보강사업비를 지원하고 있듯이 지역아동센터에 대해서도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신효자, 2008).
【 참고자료 】
강명순(2007)「한국의 빈곤아동과 지역아동센터 법제화에 관한 이론과 실천」도서출판 부스러기
강명신(2010)「지역아동센터 활성화 방안」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현수(2009)「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보건복지부,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2013.12)「전국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보고서」
신효자(2008)「지역아동센터 운영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여성가족부(2014)「2014 청소년백서」
이미경(2013)「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국지역아동센터협의회(2007)「2007신규회원교육」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학대][학대아동][아동복지]사례를 통해 본 아동학대 관련 현황과 예방 및 처벌에 관한 ...
2007년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현황과 정신보건센터 분석 사례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 제언
[미디어센터][미디어센터의 역할][지역 미디어센터][미디어센터설립운동]미디어센터의 목적과...
[지역복지론] 자원봉사의센터의 현황 및 개선방안 ['서대문구 자원봉사센터']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관과 재가복지봉사센터의 이해 및 현황 분석
내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 노인시설의 현황을 조사해서 비교분석해 본다 - 서울시 노원구 노...
[A+] 한국 물류기업의 중국 서부지역 진출 성공전략 - 현황 및 연구의 목적, 공동물류센터를 ...
지역의 자원봉사센터를 방문하여 연혁과 조직 등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자원봉사 프로그램(2가...
사회복지실천 1차 현장을 직접 방문 (방이 복지관, 꿈나무 아동복지관, 과천종합 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개념, 재가복지서비스,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과기술, 지역사회복...
아동청소년사회복지정책(아동청소년제도, 현황, 문제점, 드림스타트사업, 디딤씨앗통장, 방과...
[다문화사회복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현황과 주요 사업(한국건강가정진흥원, 거점센터, 지...
지역사회복지론 (생활시설) [사회복지시설 개념 등장배경 변천과정 패러다임 변화 역할 현황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