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cending Control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Descending Control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Descending Control ]
◉ Sensorimotor cortex
* Projection system
※ pyramidal tract

1) Corticospinal tract

< Feedforward system and Feedback system >

※ 동작 실행을 위해 정보를 받는 곳 : Basal ganglia & cerebellum

◉ Basal Ganglia

※ 기저핵의 연결회로(motor circuit)

◉ Cerebellum

* Role of climbing fiber *

본문내용

bank, storehouse)
→ 동작(해왔거나 할 동작들)의 모든 기억을 가지고 있는 ‘도서관’
언제나 최신의 골격근의 정보를 가짐 → cerebral cortex로 정보를 보냄 → 동작이 이루어짐
동작의 패턴을 저장함 → 이 때 동작의 패턴은 ‘과제지향적(goal directed)’임
단순히 팔을 드는 동작이 아니라 핸드폰을 귀
에 가져가는 동작이 목표를 가지고 있는 동작임
환경과 목표가 중요함
※ 근력강화를 위한 ROM ex.는 과제지향적인 동작을 이루기 위한 치료의 전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3. 뇌의 가소성과 가장 관련된 것
GAP43(Growth Associated Protein)의 유리가 많아야 뇌가 계속적으로 변화하면서 학습과 적응(가소성)이 이루어짐
※ 당뇨 : 상처가 잘 낫지 않음. 모든 병의 근원
※ 골격근의 운동단위의 동작 패턴이 구심성 신경을 따라 소뇌의 푸르키니예 세포로 전달되어 대뇌피질로 전달됨
※ 운동학습능력의 전제조건 : 근수축
⇒ 조금이나마 근수축이 있는 환자에게 최대한으로 능동적인 근수축을 하도록 유도해야함
* Role of climbing fiber *
척수에서 소뇌로 구심성 정보를 전달해줌
원숭이의 손 앞 뒤에 3kg을 매어 flexion & extension (← →)으로 움직이게 함
- 순간적으로 원숭이가 모르게 무게를 증가시켰을 때 특징적으로 flexors의 특징은 잘 변하지 않았으나 extensors의
수축특성에서 climbing fiber의 활성이 높아졌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적응이 되어 climbing fiber의 활성이 줄어듬
→ 평소에는 이끼섬유가 정보를 보내지만, 새로운 근수축 형태가 나타나면 소뇌 구심성 섬유인 등정섬유가
특징적으로 일을 하게 됨
- 하올리브핵 : 새로운 정보를 가르쳐주고, 잘못된 정보를 수정해주는 선생님 역할을 함
※ 참조 - 소뇌의 Purkinje cell : 2가지 구심성 정보를 받음
① climbing fiber : inferior olive nucleus로부터 상행하는 구심성 섬유로 이전까지 없었던 운동단위의 새로운 활동정보를 전달
② parallel fiber : pontine nuclei(cerebral cortex), sipnal cord, vestibular system으로부터
올라오는 mossy fiber로부터 직접 시냅스하는 구심성 섬유로 본래 대뇌피질
이 의도했던 운동단위의 활동 정보가 올라옴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5.17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80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