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목적
*이론
*시약 및 기구
*실험과정
* 실험결과
* 자화율
*이론
*시약 및 기구
*실험과정
* 실험결과
* 자화율
본문내용
, Vol Used
Moles(mol)
Density
이중 Ligand
481.39
0.5g
0.00104
Ni
248.87
0.39g
0.00157
Ni-이중 Ligand
540.06
0.56(theoretical)
0.00103
0.49g(actual)
0.00091
한계반응물 이중 Ligand 1mol당 Ni-이중 Ligand 1mol이 생성되므로,
이중 Ligand 몰수=
Cu-이중 Ligand 에서
4)-1 단일 Cu
반응비 단일 Ligand : : : Cu-단일 Ligand = 1 : 1.5 : 3 : 1
Formula
M.W(g/mol)
Mass, Vol Used
Moles(mol)
Density
단일 Ligand
284.389
0.5g
0.00176
199.65
0.53g
0.00265
122.5
0.65g
0.00531
Cu-단일 Ligand
347.94
0.612(theoretical)
0.00176
0.34g(actual)
0.00098
한계반응물 단일 Ligand 1mol당 Cu-단일 Ligand 1mol이 생성되므로,
단일 Ligand 몰수=
Cu-단일 Ligand 에서
4)-2 단일 Ni
반응비 단일 Ligand : Ni : : Ni-단일 Ligand = 1 : 1.5 : 3 : 1
Formula
M.W(g/mol)
Mass, Vol Used
Moles(mol)
Density
단일 Ligand
284.389
0.5g
0.00176
Ni
248.87
0.66g
0.00265
122.44
0.65g
0.00531
Ni-단일 Ligand
343.15
0.60g(theoretical)
0.00176
0.48g(actual)
0.00140
한계반응물 단일 Ligand 1mol당 Ni-단일 Ligand 1mol이 생성되므로,
단일 Ligand 몰수=
Ni-단일 Ligand 에서
-IR
1) 이중 Ligand
N-H Stretch : 3000~3700
-- : 2800~2950
>C=N-C : 1600~1660
: 1380~1480
-- : 1430~1460
C-C stretch : 800~1200
C-O : 800~1220
C-N : 820~1240
2) 단일 Ligand
C-OH : 3100~3500
: 2800~3000
-- : 2800~2990
->CH : 2800~2950
: 2350~2600
N-H : 1500~1610
-C : 1050~1480
-- : 1430~1460
C-C stretch : 800~1200
3)-1 이중 Cu( : 1160.55/1176.93, 1210.02/1254.11, 1140~1176)
NH Bend : 1500~1650
C-N : 820~1240
C-C stretch : 800~1200
C-H(bend) : 1300~1480
OH : 3200~3400
C=N : 1640~1690
: 1430~1460
3)-2 이중 Ni
3161.97 CH-NH-CH
2960.97 N-H
2856.80 C-H
2361.04 C=N
1662.24 C=N
1465.23 CH-NH-CH
1397.02~1280.17 CH
1176.93 C-C
NH Bend : 1500~1650
OH, NH Stretch : 3000~3700
- : 1425~1475 / 2800~2970
>C=N-C- : 1600~1670
C-C : 800~1200
C-N : 900~1300
C=N : 1640~1690
4)-1 단일 Cu
NH Bend : 1500~1650
C-N(Stretch) : 900~1300
C-C(stretch) : 800~1200
- : 1430~1460
C-H(stretch) : 2700~3300
C-H(bend) : 1300~1480
4)-2 단일 Ni
3161.97 CH-NH-CH
2960.97 N-H
2856.80 C-H(Stretch)
2361.04 C=N
1662.24 C=N
1465.23 CH-NH-CH
1397.02~1280.17 CH
1176.93 C-C
NH Bend : 1500~1650
OH, NH Stretch : 3000~3700
- : 1425~1475 / 2800~2970
C-C : 800~1200
C-N : 900~1300
: 1375
-UV(고체)
1) 이중 Ligand
2) 단일 Ligand
3)-1 이중 Cu
3)-2 이중 Ni
4)-1 단일 Cu
4)-2 단일 Ni
-UV(액체) 0.002M EtOH
3)-1 이중 Cu
3)-2 이중 Ni
4)-1 단일 Cu
4)-2 단일 Ni
①
②
③
④
* 자화율
3)-2 이중 Ni
Name
이중 Ni
Molecular Weight
(g/mol)
540.06
(기계상수)
1.04
m
(시료무게=tube-빈 tube)
0.0442g
(시료넣고 잰 길이)
2cm
자화율 상수
2.828
(시료넣고 측정한 값)
-71
T
(절대온도=273+℃)
298
(시료없이 측정한 값)
-63
반자기성
4)-2 단일 Ni
Name
단일 Ni
Molecular Weight
(g/mol)
343.15
(기계상수)
1.04
m
(시료무게=tube-빈 tube)
0.0442g
(시료넣고 잰 길이)
2cm
자화율 상수
2.828
(시료넣고 측정한 값)
+8
T
(절대온도=273+℃)
298
(시료없이 측정한 값)
-52
1.67 (상자기성)
-자화율
모든 전자가 쌍을 이루는 반자기성 물질은 자기장에 의해 아주 약간 밀리게 되고, 상자기성의 경우는 자기장에 의해 잡아끌리게 됨.
반자기성의 시료에 대해서는 시료와 자석이 서로 반발하기 때문에 자석의 질량이 약간 증가되는 결과가 생긴다. 반면에 상자기성 시료에 대해서는 시료와 자석이 서로 잡아당기기 때문에 자석의 질량이 감소하는 것처럼 측정된다.
★ Cu는 왜 자화율 없을까?
구리의 바닥상태 전자배치는 이다.
여기서 d궤도에서 모든 전자가 짝을 이루므로 자기성이 없다.
IR
UV
자화율
-72
-69
이중L
단일L
이중
Ni
0.1846(438nm)
Cu
0.1749(508nm)
단일
Ni
0.0309(370nm)
0.0783(466nm)
0.0189(578nm)
0.0166(948nm)
Cu
0.1158(542nm)
0.1142(724nm)
Moles(mol)
Density
이중 Ligand
481.39
0.5g
0.00104
Ni
248.87
0.39g
0.00157
Ni-이중 Ligand
540.06
0.56(theoretical)
0.00103
0.49g(actual)
0.00091
한계반응물 이중 Ligand 1mol당 Ni-이중 Ligand 1mol이 생성되므로,
이중 Ligand 몰수=
Cu-이중 Ligand 에서
4)-1 단일 Cu
반응비 단일 Ligand : : : Cu-단일 Ligand = 1 : 1.5 : 3 : 1
Formula
M.W(g/mol)
Mass, Vol Used
Moles(mol)
Density
단일 Ligand
284.389
0.5g
0.00176
199.65
0.53g
0.00265
122.5
0.65g
0.00531
Cu-단일 Ligand
347.94
0.612(theoretical)
0.00176
0.34g(actual)
0.00098
한계반응물 단일 Ligand 1mol당 Cu-단일 Ligand 1mol이 생성되므로,
단일 Ligand 몰수=
Cu-단일 Ligand 에서
4)-2 단일 Ni
반응비 단일 Ligand : Ni : : Ni-단일 Ligand = 1 : 1.5 : 3 : 1
Formula
M.W(g/mol)
Mass, Vol Used
Moles(mol)
Density
단일 Ligand
284.389
0.5g
0.00176
Ni
248.87
0.66g
0.00265
122.44
0.65g
0.00531
Ni-단일 Ligand
343.15
0.60g(theoretical)
0.00176
0.48g(actual)
0.00140
한계반응물 단일 Ligand 1mol당 Ni-단일 Ligand 1mol이 생성되므로,
단일 Ligand 몰수=
Ni-단일 Ligand 에서
-IR
1) 이중 Ligand
N-H Stretch : 3000~3700
-- : 2800~2950
>C=N-C : 1600~1660
: 1380~1480
-- : 1430~1460
C-C stretch : 800~1200
C-O : 800~1220
C-N : 820~1240
2) 단일 Ligand
C-OH : 3100~3500
: 2800~3000
-- : 2800~2990
->CH : 2800~2950
: 2350~2600
N-H : 1500~1610
-C : 1050~1480
-- : 1430~1460
C-C stretch : 800~1200
3)-1 이중 Cu( : 1160.55/1176.93, 1210.02/1254.11, 1140~1176)
NH Bend : 1500~1650
C-N : 820~1240
C-C stretch : 800~1200
C-H(bend) : 1300~1480
OH : 3200~3400
C=N : 1640~1690
: 1430~1460
3)-2 이중 Ni
3161.97 CH-NH-CH
2960.97 N-H
2856.80 C-H
2361.04 C=N
1662.24 C=N
1465.23 CH-NH-CH
1397.02~1280.17 CH
1176.93 C-C
NH Bend : 1500~1650
OH, NH Stretch : 3000~3700
- : 1425~1475 / 2800~2970
>C=N-C- : 1600~1670
C-C : 800~1200
C-N : 900~1300
C=N : 1640~1690
4)-1 단일 Cu
NH Bend : 1500~1650
C-N(Stretch) : 900~1300
C-C(stretch) : 800~1200
- : 1430~1460
C-H(stretch) : 2700~3300
C-H(bend) : 1300~1480
4)-2 단일 Ni
3161.97 CH-NH-CH
2960.97 N-H
2856.80 C-H(Stretch)
2361.04 C=N
1662.24 C=N
1465.23 CH-NH-CH
1397.02~1280.17 CH
1176.93 C-C
NH Bend : 1500~1650
OH, NH Stretch : 3000~3700
- : 1425~1475 / 2800~2970
C-C : 800~1200
C-N : 900~1300
: 1375
-UV(고체)
1) 이중 Ligand
2) 단일 Ligand
3)-1 이중 Cu
3)-2 이중 Ni
4)-1 단일 Cu
4)-2 단일 Ni
-UV(액체) 0.002M EtOH
3)-1 이중 Cu
3)-2 이중 Ni
4)-1 단일 Cu
4)-2 단일 Ni
①
②
③
④
* 자화율
3)-2 이중 Ni
Name
이중 Ni
Molecular Weight
(g/mol)
540.06
(기계상수)
1.04
m
(시료무게=tube-빈 tube)
0.0442g
(시료넣고 잰 길이)
2cm
자화율 상수
2.828
(시료넣고 측정한 값)
-71
T
(절대온도=273+℃)
298
(시료없이 측정한 값)
-63
반자기성
4)-2 단일 Ni
Name
단일 Ni
Molecular Weight
(g/mol)
343.15
(기계상수)
1.04
m
(시료무게=tube-빈 tube)
0.0442g
(시료넣고 잰 길이)
2cm
자화율 상수
2.828
(시료넣고 측정한 값)
+8
T
(절대온도=273+℃)
298
(시료없이 측정한 값)
-52
1.67 (상자기성)
-자화율
모든 전자가 쌍을 이루는 반자기성 물질은 자기장에 의해 아주 약간 밀리게 되고, 상자기성의 경우는 자기장에 의해 잡아끌리게 됨.
반자기성의 시료에 대해서는 시료와 자석이 서로 반발하기 때문에 자석의 질량이 약간 증가되는 결과가 생긴다. 반면에 상자기성 시료에 대해서는 시료와 자석이 서로 잡아당기기 때문에 자석의 질량이 감소하는 것처럼 측정된다.
★ Cu는 왜 자화율 없을까?
구리의 바닥상태 전자배치는 이다.
여기서 d궤도에서 모든 전자가 짝을 이루므로 자기성이 없다.
IR
UV
자화율
-72
-69
이중L
단일L
이중
Ni
0.1846(438nm)
Cu
0.1749(508nm)
단일
Ni
0.0309(370nm)
0.0783(466nm)
0.0189(578nm)
0.0166(948nm)
Cu
0.1158(542nm)
0.1142(724n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