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실험5] 메틸레드 합성 : 다이아조화 반응을 이용한 다이아조늄염의 생성과 이 다이아조늄염의 커플링 반응을 통한 Methyl Red의 생성 원리를 알아본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기실험5] 메틸레드 합성 : 다이아조화 반응을 이용한 다이아조늄염의 생성과 이 다이아조늄염의 커플링 반응을 통한 Methyl Red의 생성 원리를 알아본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험제목
*실험목적
*이론
*시약 및 기기
*실험방법
*결과
*고찰
*참고문헌

본문내용

양론비(당량비)
1
1
1
질량(부피)
1.212g
0.86g(0.9mL)
0.460g
몰수(mmol)
8.838
7.100
1.708
<이론값 계산>
I) Anthranilic Acid 몰수 구하기
II) Dimethylaniline
-질량
-몰수
III) Methyl Orange
-몰수
안트라닐산과 다이메틸아닐린이 1:1반응해서 1의 메틸오렌지를 생성하므로 7.100mmol
-질량
위 결과로부터 메틸오렌지의 이론값 1.912g을 얻었다.
실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병+시료

시료
측정값(g)
8.982
8.522
0.460
이므로,
계산하면 수득률은 약 24.06%이다.
*고찰
저번 실험에서는 Sulfanilic Acid로 메틸오렌지를 합성했었지만, 이번 실험에서는 Anthranilic Acid로 메틸레드를 합성해보았다. 메틸레드가 메틸오렌지와 다른점은 대신 가 붙은 구조이고, 메틸오렌지와 메틸레드의 녹는점은 각각 약 300℃와 181~182℃이며, 변색범위는 메틸오렌지가 pH3.1~4.4, 메틸레드는 pH4.4~6.2이다.
짝지음 반응에서 다이아조늄이온은 친전자체로서 작용하는데 이 다이아조늄염을 Coupling Reaction 시켜서 Methyl Red를 얻게 된다. 이렇게 합성된 Methyl Red는 산성 아조염류의 한 종류로서 산 염기의 지시약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참고문헌
Solomons,Fryhle「유기화학(제10판)」,자유아카데미,2011,pp891~899
네이버 지식백과, (이론, 시약 부분 참조)
다음 블로그,“메틸레드”(이론, 실험방법 참조)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메틸레드”
  • 가격3,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5.19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83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