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heory
2. Material & Reagent
3. Method
2. Material & Reagent
3. Method
본문내용
.28~30% NH₃를 30%로 가정하고 분자량이 17g/mol이므로 농도를 30%로 가정
하고 식을 세운다. 위와 같은 식으로
≒1.77mol
.1.77mol을 이용하여, 몰농도를 계산한다.
=17.7M
반올림하여 대략 18M로 계산한다.
. NH₃ 18M을 6M로 바꾸기 위하여,4mL의 피펫에 맞춰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를 이용하면
NH₃ 1mL에 증류수 2mL를 희석하여 6M의 NH₃를 제조하였다.
사진2.) 제조한 6M의 NH₃와 HCl
6M의 시약이 모두 준비되었으므로, 이 시약들과 혼합될 혼합용액을 만들어야한다. 각각의 용액과 맞는 피펫을 가지고 피펫필터를 사용해서 원심분리기 튜브에 0,1M AgNO₃, 0.1M Hg(OAc)₂ 1mL의 혼합 용액을 만든다. 이때 AgNO₃는 빛과 반응하기 때문에 은박지로 밀봉해놓은 상태로 존재한다. 혼합용액 1mL에 전에 만든
6M의 HCl을 일회용 스포이드를 통해 6M HCl을 일회용 스포이드를 가지고 2방울 떨어뜨린다. 그러면 Ag(aq) + Cl(aq) → AgCl(s), Hg²(aq) + Cl(aq) → HgCl₂(s) 반응식에 의해서 앙금 생성 반응으로 HgCl₂와 AgCl이 서로 흰색 앙금을 형성하게 된다. 앙금이 침전되지 않아 원심분리기를 돌린다.
사진3.) 6M HCl 첨가 후, 상층액 제거한 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앙금침전
여기서 침전된 앙금 HgCl₂, AgCl이 필요하므로 남아있는 HCl과 NH₃의 중화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물 층을 일회용 스포이드로 빼낸 다음 6M의 NH₃ 10방울을 떨어트린다.
10방울을 떨어뜨린 이후,
다음 반응식처럼 AgCl(s) + NH₃(aq) → Ag(NH₃)₂(aq)인 착이온이 생성되어서 물에 다시 녹아 수용액 상태가 되며 HgCl₂(s)만 남게 된다. 이후 다시 원심 분리기를 사용하여 HgCl₂(s)만을 침전시키고 물이 생성된 층을 다시 분리를 하게 되면 상층액에는 Ag(NH₃)₂가 남게 된다. 상층액에서 HCl를 첨가하면서 PH시험지를 이용해 PH를 알아보자.
HCl을 계속해서 첨가하게 되면 산 상태가 되어 PH 시험지가 붉은 색을 띤다.
Ag는 NH₃와 만나 착이온인 Ag(NH₃)₂(aq)를 생성하는데 여기서 HCl이 첨가되면서 NH₄를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반응이 계속되면 HCl만이 남게 되어 더 이상 앞의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이 상태에서 붉은 색을 띄게 된다.
하고 식을 세운다. 위와 같은 식으로
≒1.77mol
.1.77mol을 이용하여, 몰농도를 계산한다.
=17.7M
반올림하여 대략 18M로 계산한다.
. NH₃ 18M을 6M로 바꾸기 위하여,4mL의 피펫에 맞춰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를 이용하면
NH₃ 1mL에 증류수 2mL를 희석하여 6M의 NH₃를 제조하였다.
사진2.) 제조한 6M의 NH₃와 HCl
6M의 시약이 모두 준비되었으므로, 이 시약들과 혼합될 혼합용액을 만들어야한다. 각각의 용액과 맞는 피펫을 가지고 피펫필터를 사용해서 원심분리기 튜브에 0,1M AgNO₃, 0.1M Hg(OAc)₂ 1mL의 혼합 용액을 만든다. 이때 AgNO₃는 빛과 반응하기 때문에 은박지로 밀봉해놓은 상태로 존재한다. 혼합용액 1mL에 전에 만든
6M의 HCl을 일회용 스포이드를 통해 6M HCl을 일회용 스포이드를 가지고 2방울 떨어뜨린다. 그러면 Ag(aq) + Cl(aq) → AgCl(s), Hg²(aq) + Cl(aq) → HgCl₂(s) 반응식에 의해서 앙금 생성 반응으로 HgCl₂와 AgCl이 서로 흰색 앙금을 형성하게 된다. 앙금이 침전되지 않아 원심분리기를 돌린다.
사진3.) 6M HCl 첨가 후, 상층액 제거한 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앙금침전
여기서 침전된 앙금 HgCl₂, AgCl이 필요하므로 남아있는 HCl과 NH₃의 중화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물 층을 일회용 스포이드로 빼낸 다음 6M의 NH₃ 10방울을 떨어트린다.
10방울을 떨어뜨린 이후,
다음 반응식처럼 AgCl(s) + NH₃(aq) → Ag(NH₃)₂(aq)인 착이온이 생성되어서 물에 다시 녹아 수용액 상태가 되며 HgCl₂(s)만 남게 된다. 이후 다시 원심 분리기를 사용하여 HgCl₂(s)만을 침전시키고 물이 생성된 층을 다시 분리를 하게 되면 상층액에는 Ag(NH₃)₂가 남게 된다. 상층액에서 HCl를 첨가하면서 PH시험지를 이용해 PH를 알아보자.
HCl을 계속해서 첨가하게 되면 산 상태가 되어 PH 시험지가 붉은 색을 띤다.
Ag는 NH₃와 만나 착이온인 Ag(NH₃)₂(aq)를 생성하는데 여기서 HCl이 첨가되면서 NH₄를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반응이 계속되면 HCl만이 남게 되어 더 이상 앞의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이 상태에서 붉은 색을 띄게 된다.
추천자료
유전자조작기법실험
야구경기 투구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GC/MS를 이용하여 Urine 및 음료속의 카페인 분석
축구 경기분석 프로그램 개발
MLB타자들의 기록과 연봉 - 회귀분석자료
의약분업정책 분석
Factors Influencing e-commerce Adoption and Use by Small and Medium Businesses
Growth of Single Crystal(bulk, thin film, nanowire)
[영남대] 자동제어실험 설계
일 병원의 EMR 시스템 도입 후 간호진단의 활용도와 업무 만족도 분석
현대카드 마케팅 전략,현대카드-삼성카드,신용카드시장,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ZARA 경영 마케팅 SWOT,STP,4P전략 분석(영문레포트)
고체실험 - 인장실험
1. 양이온 1족과 6족의 정성분석(예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