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최초의 콘크리트]
[호프 ‘장밋빛 인생’에서 뒹구는 두 남자]
※ 문태준과 장석원의 시세계 비교
[호프 ‘장밋빛 인생’에서 뒹구는 두 남자]
※ 문태준과 장석원의 시세계 비교
본문내용
시를 읽어가면서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건가하는 의구심과 낯선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이는『아나키스트』뿐만 아니라, 장석원 시인의 시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시의 길이가 길고 난해하기 때문에 해석하기도 쉽지 않다는 것이다. 장석원 시인은 ‘미래파’로 분류되는 시인인데, 이는 여태의 문법으로는 해석이 불가한 시 세계를 가진 시인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시를 읽는 우리에게는 어렵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아나키스트』를 보면 어조와 화자 분석이 어렵고, 시 전체를 관할하는 비유적인 ‘틀’이 마련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는 데, 그 이유도 여기서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특징으로 시인은 시의 다성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 까닭은 진정한 타자를 아직 찾지 못했기 때문에 주체가 타자의 역할을 대신 할 수밖에 없으므로, 당연히 주체는 타자의 몫까지 대신하는 여러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주체의 다성성을 바탕으로 타자를 찾아 나서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해설을 인용하면, 장석원의 시에서 타자와의 진정한 만남을 이르는 말을 사랑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아나키스트』에서는 사랑을 4가지 형식으로 나누어 노동, 혁명, 신파, 투쟁이라고 말하고 혁명을 지향한다. 이는 각각의 시를 통해서 나타난다. 그 중에서도 오늘 우리가 다루는 「호프 ‘장밋빛 인생’에서 뒹구는 두 남자」에는 투쟁의 형식에서의 사랑을 말하고 있고, 「최초의 콘크리트」에서는 노동의 형식에서 사랑을 말하고 있다.
『아나키스트』에서는 사랑뿐만 아니라, 성적인 부분에서도 일종의 혁명을 지향한다. 이는 오늘 다루고 있는 두 시는 물론이고 「
다른 특징으로 시인은 시의 다성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 까닭은 진정한 타자를 아직 찾지 못했기 때문에 주체가 타자의 역할을 대신 할 수밖에 없으므로, 당연히 주체는 타자의 몫까지 대신하는 여러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주체의 다성성을 바탕으로 타자를 찾아 나서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해설을 인용하면, 장석원의 시에서 타자와의 진정한 만남을 이르는 말을 사랑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아나키스트』에서는 사랑을 4가지 형식으로 나누어 노동, 혁명, 신파, 투쟁이라고 말하고 혁명을 지향한다. 이는 각각의 시를 통해서 나타난다. 그 중에서도 오늘 우리가 다루는 「호프 ‘장밋빛 인생’에서 뒹구는 두 남자」에는 투쟁의 형식에서의 사랑을 말하고 있고, 「최초의 콘크리트」에서는 노동의 형식에서 사랑을 말하고 있다.
『아나키스트』에서는 사랑뿐만 아니라, 성적인 부분에서도 일종의 혁명을 지향한다. 이는 오늘 다루고 있는 두 시는 물론이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