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조사 동기
2.조사 방법
3.조사 내용
4.나의 의견
5.결론
2.조사 방법
3.조사 내용
4.나의 의견
5.결론
본문내용
심혈관 질환을 야기한다.
(설탕의 과잉섭취-인슐린저항-고지혈증-고혈압 동맥걍화-심장병의 원인)
4.치매를 유발한다
(크롬:미네랄.인슐린기능을 활성화 시킨다 -당이 이것을 그냥 소모한다. 치매인의 단백지 에 크롬이 낮다.)
5.근시의 주범이다.
(정제당;산성 - 체내의 산 염기의 평형을 깨뜨린다.-망막의 시세포에 산성물질 유입-안막 얇아짐)
6.범죄와 청소년비행의 배후에 정제당이 있다.
(☞영양핍문제:장제당 대사에 의해 비타민과 미네랄 결핍-뇌기능 이상-정서불안)
(☞호르몬 분비이상:저혈당상태-아드레날린분비-아드레노크롬-공격적성격)
-트랜스 지방산
1.필수 지방산의 활동 저해
(체내에서 필수 지방산과 산소 경쟁을 한다. 각종 유익한 성분을 흡착하여 생리적 으로
의미 없는 물질로 만들어 버린다.)
2.오메가-3지방산 파괴
3.세포막 왜곡
(세포막이 약하거나 선택적 투과 기능에 문제가 있다)
4.뇌세포 교란
5.생리활성물질 교란
6.심장병 유발
(HDL 낯추고 LDL 수치를 높여준다)
7.당뇨병의 원인
(나쁜 지방은 면역시스템을 낯춰 인슐린 분비에 이상)
-반대 내용~
식품 향료 개발자의 평균 수명과 생활습관성 질환에 대한 답변은 우리나라보다 식품용 향료에 관해서 훨씬 선진국이면서 역사가 오래되고, 자국 국민의 먹거리 문제 등에 매우 민감한 일본이나 미국, 유럽 쪽에서 \"식품 향료 자체와 식품 향료 개발자의 평균 수명과 생활습관성 질환은 관계가 없다\"고 받아들여지고 있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만 해도, 식품용 향료 개발자와 일반인의 평균 수명의 차이가 거의 없다고 한다.
또한 껌 설명 부분에서 향료와 관계된 부분을 요약하자면
1. 껌에 사용하는 향료의 양은 1%를 넘는다.
2. 하루에 3번 껌을 씹는 사람의 경우 하루 향료 섭취량이 0.1그램 이상이다.
3. 0.1그램의 향료에는 수 백 가지의 화학 물질이 들어있다.
4. 이 들 화학 물질 중에는 ppt단위에서도 활성화하여 호르몬 교란을 일으키는 것도 있을 수 있다.
의 4가지이다.
먼저 첫 번째의 \"껌에 사용하는 향료의 양은 1% 이상이다\"는 부분은 틀리다.
식품 회사 연구소나 향료 회사 연구소에서 연구용으로 만들 경우 종종 1%를 넘기도 하지만, 실질적으로 제품 생산할 때 들어가는 향료의 양은 보통 0.6~0.8%이다. 1% 이상 향료를 첨가할 경우 제품 생산 단가가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최소한도의 양만을 첨가한다.
다음으로 \"하루에 3번 껌을 씹는 사람의 경우 하루 향료 섭취량이 0.1그램 이상이다\" 또한 틀린 부분이다. 껌에 첨가된 향료의 경우 씹고 남는 껌 베이스에 남아 있는 향료의 양이 사람에게 흡수된 향료의 양보다 더 많다. 보통 첨가된 향료 중 60~70%가량이 씹고 남은 껌 베이스에 남는다. 더군다나 실제 생산되는 껌의 경우 첨가되는 향료의 양이 0.6~0.8%임을 감안한다면, 하루에 0.1그램의 향료가 체내에 흡수되기 위해선 껌에 최대로 향이 첨가되고(0.8%), 또한 최대로 체내에 흡수된다고 가정했을 때(첨가량의 40%) 대략 계산해도 x(필요한 껌의 양) * 0.8%(최대 첨가량) * 40% (최대 흡수율) = 0.1그램x = 31.25그램.
1회 껌을 씹을 때의 껌의 양을 안병수 저자님의 글 대로 2.7그램이라고 하면
31.25/2.7 = 11.57회, 즉 하루 12번 정도 껌을 씹어야 한다.
그리고 \"0.1그램의 향료에는 수 백가지의 화학 물질이 들어있다\"는 부분은 향료를 만들고 개발하는 입장에서 보았을 때 명백히 틀린 부분이다. 식품용 향료를 만들 때 사용되는 원료 물질의 종류가 한 번에 수 십종류를 넘는 경우는 매우 적다. 사용되는 원료의 종류가 많을 수록 향료의 가격 또한 높아지기
(설탕의 과잉섭취-인슐린저항-고지혈증-고혈압 동맥걍화-심장병의 원인)
4.치매를 유발한다
(크롬:미네랄.인슐린기능을 활성화 시킨다 -당이 이것을 그냥 소모한다. 치매인의 단백지 에 크롬이 낮다.)
5.근시의 주범이다.
(정제당;산성 - 체내의 산 염기의 평형을 깨뜨린다.-망막의 시세포에 산성물질 유입-안막 얇아짐)
6.범죄와 청소년비행의 배후에 정제당이 있다.
(☞영양핍문제:장제당 대사에 의해 비타민과 미네랄 결핍-뇌기능 이상-정서불안)
(☞호르몬 분비이상:저혈당상태-아드레날린분비-아드레노크롬-공격적성격)
-트랜스 지방산
1.필수 지방산의 활동 저해
(체내에서 필수 지방산과 산소 경쟁을 한다. 각종 유익한 성분을 흡착하여 생리적 으로
의미 없는 물질로 만들어 버린다.)
2.오메가-3지방산 파괴
3.세포막 왜곡
(세포막이 약하거나 선택적 투과 기능에 문제가 있다)
4.뇌세포 교란
5.생리활성물질 교란
6.심장병 유발
(HDL 낯추고 LDL 수치를 높여준다)
7.당뇨병의 원인
(나쁜 지방은 면역시스템을 낯춰 인슐린 분비에 이상)
-반대 내용~
식품 향료 개발자의 평균 수명과 생활습관성 질환에 대한 답변은 우리나라보다 식품용 향료에 관해서 훨씬 선진국이면서 역사가 오래되고, 자국 국민의 먹거리 문제 등에 매우 민감한 일본이나 미국, 유럽 쪽에서 \"식품 향료 자체와 식품 향료 개발자의 평균 수명과 생활습관성 질환은 관계가 없다\"고 받아들여지고 있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만 해도, 식품용 향료 개발자와 일반인의 평균 수명의 차이가 거의 없다고 한다.
또한 껌 설명 부분에서 향료와 관계된 부분을 요약하자면
1. 껌에 사용하는 향료의 양은 1%를 넘는다.
2. 하루에 3번 껌을 씹는 사람의 경우 하루 향료 섭취량이 0.1그램 이상이다.
3. 0.1그램의 향료에는 수 백 가지의 화학 물질이 들어있다.
4. 이 들 화학 물질 중에는 ppt단위에서도 활성화하여 호르몬 교란을 일으키는 것도 있을 수 있다.
의 4가지이다.
먼저 첫 번째의 \"껌에 사용하는 향료의 양은 1% 이상이다\"는 부분은 틀리다.
식품 회사 연구소나 향료 회사 연구소에서 연구용으로 만들 경우 종종 1%를 넘기도 하지만, 실질적으로 제품 생산할 때 들어가는 향료의 양은 보통 0.6~0.8%이다. 1% 이상 향료를 첨가할 경우 제품 생산 단가가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최소한도의 양만을 첨가한다.
다음으로 \"하루에 3번 껌을 씹는 사람의 경우 하루 향료 섭취량이 0.1그램 이상이다\" 또한 틀린 부분이다. 껌에 첨가된 향료의 경우 씹고 남는 껌 베이스에 남아 있는 향료의 양이 사람에게 흡수된 향료의 양보다 더 많다. 보통 첨가된 향료 중 60~70%가량이 씹고 남은 껌 베이스에 남는다. 더군다나 실제 생산되는 껌의 경우 첨가되는 향료의 양이 0.6~0.8%임을 감안한다면, 하루에 0.1그램의 향료가 체내에 흡수되기 위해선 껌에 최대로 향이 첨가되고(0.8%), 또한 최대로 체내에 흡수된다고 가정했을 때(첨가량의 40%) 대략 계산해도 x(필요한 껌의 양) * 0.8%(최대 첨가량) * 40% (최대 흡수율) = 0.1그램x = 31.25그램.
1회 껌을 씹을 때의 껌의 양을 안병수 저자님의 글 대로 2.7그램이라고 하면
31.25/2.7 = 11.57회, 즉 하루 12번 정도 껌을 씹어야 한다.
그리고 \"0.1그램의 향료에는 수 백가지의 화학 물질이 들어있다\"는 부분은 향료를 만들고 개발하는 입장에서 보았을 때 명백히 틀린 부분이다. 식품용 향료를 만들 때 사용되는 원료 물질의 종류가 한 번에 수 십종류를 넘는 경우는 매우 적다. 사용되는 원료의 종류가 많을 수록 향료의 가격 또한 높아지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