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클레멘스
2. 오리게네스
종말론
로고스 기독론에 대한 반동
2. 오리게네스
종말론
로고스 기독론에 대한 반동
본문내용
의 상태에서 회복할 수 있는 힘을 얻었고 이제 다시 첫 번째 창조의 때, 순수지성의 세계, 하나님의 나라로 돌아갈 가능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 첫 번째 창조의 때로 환원하는 것 그것이 바로 오리게네스가 생각하는 종말론이다. 지옥이란 우리의 양심 안에 타고있는 불을 의미한다.
로고스 기독론에 대한 반동
단순한 사람들, 특히 평신도들은 오리게네스의 로고스-그리스도론을 이해하기 어려웠다. 이들의 관심은 그리스도 안에서 육체를 입고 지상에 나타난 신에게 있었다.
역동적 군주신론(뒤나미스적 모나르키아주의); 로마의 데오도투스는 예수가 세례를 받을 때 그에게 신의 영이 내려와서 메시아적 힘을 받고 파견된 하나의 인간으로 보았다. 모나르키아주의자는 인간적 예수를 그리고 있는 공관복음서를 좋아했다. 이들에 따르면 로고스는 인간 예수를 ‘양자’로서 취급했다. 따라서 예수는 로고스 또는 영에 충만해 있지만, 신 자체는 아니다.
양태론적 군주신론(모두스적 모나르키아주의): 신이 여러 가지 다른 모두스, 즉 양태에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주장. 이들은 예수를 보고, 예수의 음성을 듣는다면 그것이 바로 신을 보는 것이고 신의 음성을 듣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로고스 기독론에 대한 반동
단순한 사람들, 특히 평신도들은 오리게네스의 로고스-그리스도론을 이해하기 어려웠다. 이들의 관심은 그리스도 안에서 육체를 입고 지상에 나타난 신에게 있었다.
역동적 군주신론(뒤나미스적 모나르키아주의); 로마의 데오도투스는 예수가 세례를 받을 때 그에게 신의 영이 내려와서 메시아적 힘을 받고 파견된 하나의 인간으로 보았다. 모나르키아주의자는 인간적 예수를 그리고 있는 공관복음서를 좋아했다. 이들에 따르면 로고스는 인간 예수를 ‘양자’로서 취급했다. 따라서 예수는 로고스 또는 영에 충만해 있지만, 신 자체는 아니다.
양태론적 군주신론(모두스적 모나르키아주의): 신이 여러 가지 다른 모두스, 즉 양태에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주장. 이들은 예수를 보고, 예수의 음성을 듣는다면 그것이 바로 신을 보는 것이고 신의 음성을 듣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