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광고의 영향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팝업광고의 영향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론적 배경
  (1) 이용과 충족이론
  (2) 제 3자 효과이론
  (3) 팝업 관련 논문
 2. 2차 설문조사 통계 및 분석
 3. 연구문제 제기
  (1) 형식적인 측면
  (2) 내용적인 측면
  (3) 제도적 측면
 4. 연구문제 대안의 방안

Ⅲ. 결론
 1. 탐구결과 요약
 2. 탐구의 한계점
 3. 최종 결론

본문내용

인 측면, 제도적인 측면으로 나눌 수 있다.
(1) 형식적인 측면
팝업의 형식적인 측면으로는 팝업의 시각적인 부분을 생각해볼 수 있다. 시각적인 부분에서는 앞서 설문조사에서도 나타났듯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최대한 방해요소가 되지 않도록 대체적으로 작고 많은 시야를 가리지 않은 위치 (모서리의 작은 부분 )를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화면을 꽉 채우는 큰 화면은 내용을 살펴보기도 전에 바로 꺼버리는 경우가 많아서 수용자들은 일단 시각적으로 부담을 느끼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2) 내용적인 측면
설문항목 중 팝업을 클릭해서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거나 만족감을 얻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61.4%나 되는 사람들이 ‘아니오‘라고 대답했음에서 알 수 있듯이 허위정보가 아닌 실생활에서 유용하고 도움이 될 수 있는 적절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3) 제도적 측면
팝업의 제도적인 측면에서 볼 때 여전히 우리나라 인터넷상에는 여러 문제들이 많다. 불법 에드웨어나 스파이웨어로 인한 바이러스의 문제, 유명 사이트 내에서까지 불필요한 팝업이 존재하는 등 팝업에 관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제도가 시급하다. 여기에는 무분별한 팝업의 방지책 뿐 아니라 팝업 제작자들과 인터넷 수용자들 간의 합의점 또한 도출해야 할 것이다.
4. 연구문제 대안의 방안
팝업의 광고효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용자의 부정적인 인식이다.
결국, 팝업도 다른 광고들처럼 다양한 컨셉으로 수용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어야 한다. 위의 세 가지 측면을 적절히 조합하여 팝업의 일방적인 전달방식 보다는 수용자가 직접 참여하거나 흥미로운 정보와 함께 수용자의 관심을 더욱 오랜기간 지속시킴으로써 팝업의 부정적 이미지를 유화시켜 정보전달 효과 또한 극대화 시킬 수 있어야 한다.
Ⅲ. 결론
1. 탐구결과 요약
본론의 탐구결과를 요약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팝업 창을 유심히 보는 데에는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이벤트” 가 가장 크게 영향을 주고, “정보습득”과 “시각적 요소에 끌림”도 영향을 주고 있으나 무의식적으로 살펴보는 경우는 적었다. 형태로는 화면 한쪽으로 작게 뜨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고 대체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광고에서 덜 거부감을 느낀다고 하였다.
팝업을 클릭하여 접하게 되는 다른 사이트에서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거나 만족한 경우는 드물었고, 인지도가 높은 사이트에서의 팝업을 더욱 신뢰하기는 하나, 자신이 원하는 정보에만 관심을 두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 같은 팝업이 계속적으로 열리는 것은 수용자에게 설득력이 저조하게 나타났다.
또한, 팝업이 수용자 본인에게는 귀찮은 존재라고만 인식하고 있지만 자신이 사이트운영자라고 가정 할 경우, 자신의 효과적 의사전달을 위해 팝업을 사용할 것이라고 답한 사람이 43.7%에 달하는 것으로 보아 팝업을 이용한 정보전달이 실질적으로 크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벤트성의 팝업의 경우, 할인 쿠폰이나 티켓보다는 실질적으로 즉시 사용가능한 싸이월드 도토리 증정의 당첨 횟수가 많았고, 이를 통해 또 다른 팝업 창에 대한 관심 유도를 끄는 형태가 많았다.
이밖에 억지로라도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보여주거나 그 메시지를 편하게 보여줌으로써 정보를 수용시키는 데는, 평소에는 수용자들에게 귀찮게만 느껴졌던 팝업이 강력한 힘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팝업의 수용에 대한 인식이나 긍정적인 면에 있어서는 자기 자신은 필요한 정보를 습득 하기위해서만 팝업을 클릭 한다고 인식 하는 것으로 설문에 응답하였다. 그러나 실제 수용 행태에 관한 응답에서는 시각적인 유혹,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것(경품 지급 이벤트, 싸이월드 도토리, 등) 등에 의해 수용자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2. 탐구의 한계점
탐구의 한계점으로는 첫 번째로 설문 대상자가 20대로 한정되어 있다는 점으로 인하여 다양한 연령대의 인식을 파악할 수 없었다는 점, 두 번째로 인터넷이나 문헌상에 팝업에 관한 연구문제에 관한 논문이 단 하나 밖에 검색되지 않았다는 점 때문에 팝업에 대한 수용자 행태에 대해 해석이 난해하다는 점, 세 번째로 조사 전에 예측한 결과와는 예상치 못한 결과가 도출 되었다는 점이다.
3. 최종 결론
서론에서 언급한 1차 설문조사과정을 통해 나타난 수용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긍정적 인식으로 바꾸고자 하는 문제제기에서 2차 설문조사과정을 통해 수용자들의 성향을 알아보니, 이벤트에 당첨되거나 수용자에게 직접 이익을 안겨주는 적이 있다고 하더라도 팝업에 대한 인식은 ‘세상에 공짜가 어딨나?’ 하며 팝업에 대해 무조건적 부정적 인식을 가진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생각해 보면 수용자의 마인드가 바뀌려면 일단 홈페이지의 광고주가 개재하는 팝업창에 본인들의 이익에 따른 것이 아닌 수용자에게 많은 이익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여 ‘사기성 짙은’ 팝업이 아닌 ‘진짜’ 이익을 준다고 수용자가 느낄 수 있으면 팝업창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광고주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수용자들의 마인드가 부정적에서 긍정적으로 바뀌어 좀 더 효과적으로 정보전달을 하기 위해서 형식, 내용, 제도적인 대안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즉, 본문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불법 팝업을 제재할 수 있는 법적인 장치가 고안되어, 인터넷 수용자들이 팝업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수용자가 원하는 팝업 메시지의 내용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강압적으로 전달되지 않으면서, 광고주와 수용자간의 적절한 타협점을 찾아 팝업광고의 긍정적 발전체계를 갖추어 나가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이강수, 현대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 (서울:나남,1991).
이정춘, 매스 미디어 효과이론 (서울:나남, 1986).
차배근, 매스 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 (서울:나남, 1986).
Severin, W. J. & J. W. Tankard, 장형익·김흥규 역, 커뮤니케이션 개론 (서울:나남, 1991).
S.W. Littlejohn, 김흥규 역, 커뮤니케이션 이론 (서울:나남, 1993).
고영철, 매스 미디어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추천자료

  • 가격2,2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5.06.05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21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