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상병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천상병에 대하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개 요
1. 연혁
2. 서론
3. 본론
1> 시 세계의 특성
(1) 가난과 초월의식
(2) 외로움과 소외감의 정서
(3) 일상적 현실 인식에의 후기 시
2> 시적 상징
(1)새의 상징성
4. 결론

본문내용

새가 날아간다
-<새,1966> 가운데서
② 어느 날 병사는 그의 머리 위에 날아온 한 마리 새를 다정하게 쳐다보았다. 산골 출신인 그는 새에게 온갖 아름다운 관심을 쏟았다. 그 관심은 그의 눈을 충혈케 했다. 그의 손은 서서히 움직여 최신 형 기관총구를 새에게 겨냥하고 있었다. 피를 흘리며 새는 하늘에 서 떨어졌다. 수풀 속에 떨어진 새의 시체는 그냥 싸늘하게 굳어 졌을까.
-<새, 1966>가운데서
같은 해에 나온 두 편의 시에서 각각 다른 새의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다. ①에서 의 새는 일기의 변화, 즉 삶의 고난 속에서도 대자대비처럼 넉넉한 마음으로이승에서 저승으로 한 마리 새가 날아간다고 하듯, 초월의 의지마저 볼 수 있는 자유로운 비상이다. 하지만, ②에서는 총에 맞아 날 수 없는 새이다. 총에 맞아 떨어졌다는 것은 곧, 자유의 단절, 지상에서의 삶의 황폐, 나아가서는 인간적 삶의 고뇌를 말해준다. 위 두 편에서 말하는 새의 상징은 비상과 삶의 고난을 보여주고 있다.
Ⅳ. 결론
천상병은 평생을 가난하게 살며 순수한 시를 노래하다 간 시인이다. 사실 삶과 문학이 천상병 시인만큼 일치하는 시인도 드물 것이다. 고도의 물질만능주의 시대 에 그의 순수한 삶과 문학이 전해주는 의미가 커 그의 발자국을 되짚어보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이 글에서는 그의 시 세계의 특징으로 첫째, 가난과 초월의식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았다. 가난의 문제는 그의 시 전반에 걸쳐 스며있는 소재다. 그의 삶은 여비가 없어 고향에도 못 가는 질곡의 삶이었지만 가난을 바라보는 시인의 마음은 겸허한 울림으로 퍼져 나온다. 거기엔 삶의 깊은 성찰에서 비롯된 그의 초월의식이 베여있기 때문이다.
둘째, 외로움과 소외감의 정서가 나타나고 있다. 그가 가난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을 살길 바란다고 해도 근원적인 외로움과 가난에서 비롯된 소외의식을 배제하지는 못 했을 것이다. 이러한 정조는 <갈대>나 <들국화>, <비> 와 같은 객관적 상관물을 통해서나, <동창>이나 자신의 거주지<수락산하변 연작시>에서 인식할 수밖에 없는 가난을 통해 드러난다.
셋째, 일상적 현실에의 후기 시이다. 천상병의 후기 시는 극히 일상적인 현실에 머물며 천진한 동심을 노래하는 독특한 특징을 보여준다. 여기에는 시적 변용이나 상징성들을 찾아보기 힘들었지만, 오히려 기교 없는 기교가 보여주는 시의 강한 힘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천상병 시에 나타나는 시적 상징을 알아보았는데 여기서는 새의 상징성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전기 시에서의 새가 삶의 역경 앞에서 상처받고 그 속에서 초월하려는 비상의 의지를 상징했다면, 후기 시에서는 아주 구체적이고 즉물적 인 새를 통하여 자유와 평화로움을 상징하고 있다.
이상으로 천상병 시 세계의 개략적인 흐름과 새의 상징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의 시가 너무 개인적인 일상에 머물러 보다 넓은 세계를 수용하지 못하고 후기 시로 갈수록 시적 긴장감이 떨어지는 아쉬움도 있지만, 그가 보여준 극빈의 생애와 순수의 노래는 치열하게 살아가는 현대인의 메마른 가슴을 따뜻하게 적셔줄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6.06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23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