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인터넷 이용과 충동구매의 관계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학생 인터넷 이용과 충동구매의 관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03
3
43.701
4.696
.003
집단-내
1777.635
191
9.307
합계
1908.738
194
해석: 유의확률은 0.003으로 용돈과 구매충동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으로 용돈에 따른 구매충동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케이블 TV를 통한 홈쇼핑시 의류제품의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1998년, 이현주)에서 고소득층이 충동구매를 많이 한다는 결과와 ‘인터넷 쇼핑몰 사용자의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결과에서 고소득층 계층에서 순수 온라인 선호가 강하다는 결과와 같은 결과로 재정의 안정이 구매충동을 느끼게 하는 요인으로 해석 할 수 있다.
3) 가설 4-3: 단대에 따라서 구매충동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 대상인 대학생에게 있어서 중요한 차이는 배우는 학문이며 이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여 단대에 차이에 따라 구매충동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배우는 학문이 비슷한 성격별로 2개의 단대를 묶어 조사를 해 보았다.
일원배치 분산분석
(단대의 차이에 따라서 구매충동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기술통계
N
평균
표준편차
표준오차
문과 대학, 미술대학
49
13.3061
2.93118
.41874
사범대학, 경상대학
49
13.3469
3.19212
.45602
이과대학, 공과대학
50
11.9800
2.92414
.41354
사회과학대학, 법과대학
48
12.9375
3.35430
.48415
합 계
196
12.8878
3.12929
.22352
분산분석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집단-간
60.228
3
20.076
2.084
.104
집단-내
1849.303
192
9.632
합계
1909.531
195
해석: 유의확률은 0.104으로 단대와 구매충동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다.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으로 단대에 따른 구매충동의 차이가 없으며 이는 인터넷 사용시간과 구매충동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던 것처럼 구매충동과 단대의 차이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며 단대별 차이가 구매충동의 차이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요인이 아니라고 해설 할 수 있다.
4) 가설 4-4: 거주의 형태에 따라서 구매충동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
대학생이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집은 자취, 하숙, 기숙사, 통학 등이 있으며 이러한 주거의 형태에 따라서 구매에 대한 구속력의 차이가 있음으로 주거의 형태에 따라서 구매충동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
(거주의 차이에 따라서 구매충동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기술 통계
N
평균
표준편차
표준오차
자 취
49
12.7755
2.95286
.42184
하 숙
19
13.7895
2.78047
.63788
기 숙 사
23
13.6957
3.02166
.63006
통학(자가, 친척집)
105
12.6000
3.26873
.31900
합 계
196
12.8878
3.12929
.22352
분산분석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집단-간
39.773
3
13.258
1.361
.256
집단-내
1869.758
192
9.738
합계
1909.531
195
해석: 유의확률은 0.256으로 거주형태와 구매충동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다.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으로 거주형태에 따른 구매충동의 차이가 없으며 이는 거주형태에 따른 차이가 구매충동에 직접적인 차이가 없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5. 빈도 분석
설문지를 통한 문항은 총 17문항이며 관련 변수로는 총 22로써 이에 대한 빈도를 보면 다음과 같다.
Ⅳ. 결론
1. 연구의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인터넷의 형태와 이를 통한 구매충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상품광고는 인터넷을 통한 구매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상품광고가 구매충동을 많이 느끼게 한다. 광고에 대한 태도가 중요하며 광고에 대하여 호의적이고 적극적일 수록 구매충동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사용시간과 구매충동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다. 인터넷 사용시간이 많더라도 인터넷을 사용하는 방법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인터넷을 많이 할수록 상품광고를 많이 보게 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는 없으며 인터넷의 사용시간이 많아도 순간적인 충동이 적으면 구매충동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매충동을 많이 느낄수록 구매행동을 많이 한다. 충동을 많이 느끼게 되면 실제적으쇼핑싸이트를 통한 구매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충동이 실제적으로 행동으로 연결된다고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구매충동의 특징을 살펴보면, 성별의 차이와 용돈의 차이가 구매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자세히 보면, 여성의 경우 구매충동을 더욱 많이 느끼고 용돈이 많은 사람일수록 구매충동을 많이 느낀다고 나타났으며 단대와 주거형태는 구매충동을 느끼게 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2.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은 사용장소에 대한 제한이 없기 때문에 그 영역이 매우 넓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조사 지역이 대전 @@대 대학생으로 한정이 되었으며, 모집단인 @@대 대학생 중에서도 많은 수를 확보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 연구 결과를 인터넷 사용 대학생으로 해석하기에는 신중을 기하여야 할것이며, 보다 많고 보다 넓은 대상을 상대로하는 연구가 이루어 저야 한다.
둘째, 선행연구는 조사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이론을 더욱 잘 확립하여 실제적인 조사가 이루어지는 과학적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본 연구와 관련이 있는 인터넷 사용과 충동구매에 관한 직접적인 연결이 된 선행연구를 확보되지 못하여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모아서 조사되었기 때문에 구체성과 정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앞으로는 우리 생활에 중요한 부분이 된 인터넷과, 소비에 관한 직접적인 세밀하게는 인터넷 사용방법과 구매충동과 관련된 직접적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인터넷 내에서도 구매의 경로와 쇼핑 경로가 계속적으로 다양화되고 성장되고 있으며 더불어 구매충동을 느끼는 경로 또한 매우 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한 세분화 된 연구가 필요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4.12.05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24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