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와이어를 구부리기 위한 기구>
<와이어 절단용 기구>
<Band의 장착과 철거에 이용되는 기구>
<와이어(Wire)>
-기타의 재료 -
<와이어 절단용 기구>
<Band의 장착과 철거에 이용되는 기구>
<와이어(Wire)>
-기타의 재료 -
본문내용
최종단계의 직사각형 와이어로 사용된다.
5) 오스트리안 와이어(Australian Wire, Kangaroo Wire)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크고 오랜 기간 탄성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다.
2. 기공용 와이어
기공용 와이어는 니켈-크롬 합금선으로 가철성 교정장치 제작에 이용된다.
0.5mm의 와이어로 지속적인 교정력을 내는 스프링을 제작하고 0.7mm 또는 0.9mm와 이어는 클래스프나 라비알 보우를 제작한다.
3. 결찰 와이어(Ligature Wire)
호선(Arch Wire)을 치면에 고정시킨 브라켓에 정착하기 위한 와이어로 대개는 직경 0.010인치, 또는 0.011 인치의 가는 니켈-크롬 합금선을 사용한다.
4. 치간이개 와이어 (Separating Wire =Brass Wire)
밴드를 치아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인접치아와의 사이를 밴드 재료의 두께만큼 벌려주어야 한다.
그래서 밴드를 치아에 적합하기 전에 직경 0.4~0.5mm 의 황동선을 치은 쪽에서 접촉점까지 삽입하여 비틀어 꼬아주는데 이 와이어가 치간이개 와이어 이다.
<밴드(Band)>
밴드를 제작하기 위한 얇은 스테인레스 판이다. 여러 가지 폭과 두께의 것이 준비되어있다. 이 밴드 재료를 각각의 치아에 맞추어 밴드 포밍 플라이어로 적합시킨다. 최근에는 각 치아에 따른 각종 크기별로 기성제품의 밴드가 만들어져 있어 널리 사용된다
<브라켓(Bracket)>
고정식 장치에 있어서 치면에 고정시켜 와이어로부터의 교정력을 받기 위한 것으로 금속재질이 많이 사용된다. 브라켓에는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롯과 이거을 결찰하기 위한 윙이 있다. 최근에는 여러 가지 기법에 따른 다양한 브라켓이 제조되고 있다. 또한 심미성을 위해 금속 대신 플라스틱, 세라믹 브라켓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튜브(Tube)>
튜브는 브라켓과 마찬가지로 고정식 장치의 와이어를 치아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이것은 최후방 구치에 사용하는 것이다.
와이어의 굵기에 따라 튜브의 종류도 다양하며 Single Tube, Twin Tube, Double Tube, Triple Tube 등이 있다.
튜브의 덮개를 제가할 수 있는 Convertible Tube도 있다
<스크류(Screw)>
나사의 조절에 의해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이용해서 주로 치열궁 확대장 치에 사용한다
<스크류 식립하는 모습> <스크류 식립 된 모습>
<코일 스프링(Coil spring)>
가는 교정선을 Coil 모양으로 감은 것으로, 폐쇄 코일 스프링과 오픈 코일 스프링이 있다.
폐쇄 코일 스프링은 수축할 때의 힘을 교정력으로 이용하여 공간을 폐쇄시킬 때, 오픈 코일 스프링은 늘어날 때의 힘을 교정력으로 이용하여 공간을 넓힐 때 사용한다
<설측 부착장치(Lingual attachments)>
Lingual Button, Lingual Hook, Lingual Sheath 등이
설측에 접착되어 고무줄을 걸거나 와이어 장착을 위해 사용 된다.
- 기타의 재료 -
<레진(Resin)>
가철성 교정 장치의 점막면과 치면일부에 접촉하는 부분은 레진으로 만들어진다.
이부분은 점막면을 통해서 장치 전체를 고정하는 동시에 clasp와 탄선의 지지대가 된다.
<고무줄(Latex clastics)
와이어 이외의 중요한 교정력은 고무줄에 의해 얻어진다.
특히 상하악 간에 힘을 가하기 위해서는 고무가 이용된다. 악내고무, 악간고무, 악외고무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체인 고무줄(Power chain)>
합성고무로 탄성이 좋으며 구강 내에서 변질되지 않는 재료가 개발되고 있다
<고무실(Elastic thread)>
방수가공을 한 고무실로 교정력을 얻을 수 있다.
<고무 치간이개 장치(Elastic Separator)>
밴드를 장착할 치아 사이를 벌려주기 위해 사용하는 고무링이다.
<결찰링(O-Ring)>
결찰 와이어 대신에 이용한다.
<본딩(Bonding)재료>
과거에는 브라켓, 튜브 등을 밴드에 납착해서 치아에 고정하였으나 최근에는 직접 치아에 접착시키고 있다.
현재 각종 레진 접착제가 개발되어있고, 그 성능이 더욱 우수해 지고 있다. 자가중합형과 광중합형이 있다.
<견인기(Retractor)>
브라켓 접착 시나 구내사진 촬영 시 입술과 볼을 젖히는데 사용한다
<버어니어 캘리퍼스>
<납착(Welding)과 합착(soldering)>
납착은 금속의 표면을 하나로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브라켓을 밴드에 부착할 때 사용되며, 합착은 다른 금속이 융해에 의해 결합되는 과정이다
5) 오스트리안 와이어(Australian Wire, Kangaroo Wire)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크고 오랜 기간 탄성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다.
2. 기공용 와이어
기공용 와이어는 니켈-크롬 합금선으로 가철성 교정장치 제작에 이용된다.
0.5mm의 와이어로 지속적인 교정력을 내는 스프링을 제작하고 0.7mm 또는 0.9mm와 이어는 클래스프나 라비알 보우를 제작한다.
3. 결찰 와이어(Ligature Wire)
호선(Arch Wire)을 치면에 고정시킨 브라켓에 정착하기 위한 와이어로 대개는 직경 0.010인치, 또는 0.011 인치의 가는 니켈-크롬 합금선을 사용한다.
4. 치간이개 와이어 (Separating Wire =Brass Wire)
밴드를 치아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인접치아와의 사이를 밴드 재료의 두께만큼 벌려주어야 한다.
그래서 밴드를 치아에 적합하기 전에 직경 0.4~0.5mm 의 황동선을 치은 쪽에서 접촉점까지 삽입하여 비틀어 꼬아주는데 이 와이어가 치간이개 와이어 이다.
<밴드(Band)>
밴드를 제작하기 위한 얇은 스테인레스 판이다. 여러 가지 폭과 두께의 것이 준비되어있다. 이 밴드 재료를 각각의 치아에 맞추어 밴드 포밍 플라이어로 적합시킨다. 최근에는 각 치아에 따른 각종 크기별로 기성제품의 밴드가 만들어져 있어 널리 사용된다
<브라켓(Bracket)>
고정식 장치에 있어서 치면에 고정시켜 와이어로부터의 교정력을 받기 위한 것으로 금속재질이 많이 사용된다. 브라켓에는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롯과 이거을 결찰하기 위한 윙이 있다. 최근에는 여러 가지 기법에 따른 다양한 브라켓이 제조되고 있다. 또한 심미성을 위해 금속 대신 플라스틱, 세라믹 브라켓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튜브(Tube)>
튜브는 브라켓과 마찬가지로 고정식 장치의 와이어를 치아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이것은 최후방 구치에 사용하는 것이다.
와이어의 굵기에 따라 튜브의 종류도 다양하며 Single Tube, Twin Tube, Double Tube, Triple Tube 등이 있다.
튜브의 덮개를 제가할 수 있는 Convertible Tube도 있다
<스크류(Screw)>
나사의 조절에 의해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이용해서 주로 치열궁 확대장 치에 사용한다
<스크류 식립하는 모습> <스크류 식립 된 모습>
<코일 스프링(Coil spring)>
가는 교정선을 Coil 모양으로 감은 것으로, 폐쇄 코일 스프링과 오픈 코일 스프링이 있다.
폐쇄 코일 스프링은 수축할 때의 힘을 교정력으로 이용하여 공간을 폐쇄시킬 때, 오픈 코일 스프링은 늘어날 때의 힘을 교정력으로 이용하여 공간을 넓힐 때 사용한다
<설측 부착장치(Lingual attachments)>
Lingual Button, Lingual Hook, Lingual Sheath 등이
설측에 접착되어 고무줄을 걸거나 와이어 장착을 위해 사용 된다.
- 기타의 재료 -
<레진(Resin)>
가철성 교정 장치의 점막면과 치면일부에 접촉하는 부분은 레진으로 만들어진다.
이부분은 점막면을 통해서 장치 전체를 고정하는 동시에 clasp와 탄선의 지지대가 된다.
<고무줄(Latex clastics)
와이어 이외의 중요한 교정력은 고무줄에 의해 얻어진다.
특히 상하악 간에 힘을 가하기 위해서는 고무가 이용된다. 악내고무, 악간고무, 악외고무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체인 고무줄(Power chain)>
합성고무로 탄성이 좋으며 구강 내에서 변질되지 않는 재료가 개발되고 있다
<고무실(Elastic thread)>
방수가공을 한 고무실로 교정력을 얻을 수 있다.
<고무 치간이개 장치(Elastic Separator)>
밴드를 장착할 치아 사이를 벌려주기 위해 사용하는 고무링이다.
<결찰링(O-Ring)>
결찰 와이어 대신에 이용한다.
<본딩(Bonding)재료>
과거에는 브라켓, 튜브 등을 밴드에 납착해서 치아에 고정하였으나 최근에는 직접 치아에 접착시키고 있다.
현재 각종 레진 접착제가 개발되어있고, 그 성능이 더욱 우수해 지고 있다. 자가중합형과 광중합형이 있다.
<견인기(Retractor)>
브라켓 접착 시나 구내사진 촬영 시 입술과 볼을 젖히는데 사용한다
<버어니어 캘리퍼스>
<납착(Welding)과 합착(soldering)>
납착은 금속의 표면을 하나로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브라켓을 밴드에 부착할 때 사용되며, 합착은 다른 금속이 융해에 의해 결합되는 과정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