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1 반응시간측정
[1] 측정값
[2] 실험값 계산 및 결과
[3] 질문에 대한 토의
실험2 중력가속도 측정
[1] 측정값
[2] 실험값 계산 및 결과
[3] 질문에 대한 토의
실험3 원통형 시료
[1] 측정값
[2] 실험값 계산 및 결과
[3] 질문에 대한 토의
실험4 직육면체 시료
[1] 측정값
[2] 실험값 계산 과정
종 합 토 의
[1] 측정값
[2] 실험값 계산 및 결과
[3] 질문에 대한 토의
실험2 중력가속도 측정
[1] 측정값
[2] 실험값 계산 및 결과
[3] 질문에 대한 토의
실험3 원통형 시료
[1] 측정값
[2] 실험값 계산 및 결과
[3] 질문에 대한 토의
실험4 직육면체 시료
[1] 측정값
[2] 실험값 계산 과정
종 합 토 의
본문내용
] 실험값 계산 과정
가로()
평균값
표준 오차
계기오차
보고할 오차
보고할 값
5.01cm
0.00453cm
0.002cm
0.00454cm
5.010.00453cm
평균값 : 50.1mm5.01cm
표준오차 : 0.0453mm0.00453cm
세로()
평균값
표준 오차
계기오차
보고할 오차
보고할 값
2.92
0.00113
0.002
0.002
2.920.002
평균값 : 29.20mm2.92cm
표준오차 : 0.0113mm0.00113cm
두께()
평균값
표준 오차
계기오차
보고할 오차
보고할 값
0.797
0.00207
0.002
0.00207
0.7970.00207
평균값 : 7.97mm0.797cm
표준오차 : 0.0207mm0.00207cm
부피()
평균값
표준 오차
보고할 값
11.7
0.0330
11.70.0330
평균값 : 11.65911.7
표준오차 : 0.0330
밀도(p)
평균값
표준 오차
보고할 값
부록에서 찾은 값
2.69
0.0115
2.690.0115
2.70
평균값 : 2.69
평균오차 : 0.0115
종 합 토 의
실험1
실험자의 집중력에 따라 측정값이 영향을 받는다.
측정 간에 시간을 두어 실험자가 집중력 있게 실험에 응하도록 하고
정해진 평균값이 없으므로 변화의 범위를 구하는데 초점을 둔다.
측정에서 다른 관측 값에 비해 차이가 큰 값은 버리고 재 측정하였다.
편차가 상당히 크고, 참값이 없기 때문에 시행횟수를 크게 늘려서 측정하지 않으면
신뢰할 수 있는 평균값의 범위를 구하기는 어려울 거 같다.
실험2
포토게이트 타이머는 줄무늬 투명자의 두 번째, 세 번째 줄무늬가 떨어지는 시간을 이용하여
낙하속도를 측정한다.
때문에 줄무늬 투명자가 회전하여 줄무늬의 위치가 제대로 측정이 안되면 오차가 발생한다.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험자가 줄무늬 투명자를 직각으로 회전 없이 떨어뜨려 기기가 줄무늬가 통과하는 시간을 정확히 측정하게 하는 것 이 중요하다.
실험자의 과실로 인해 발생한 측정값은 버리고 다시 측정하는 방식으로 측정을 하였고,
구한 실험값의 범위에 중력가속도가 포함돼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3,4
디지털캘리퍼스를 활용한 실험으로, 실험자가 측정에 개입하는 역할이 적어 실험1,2에 비해 편차가 상당히 적은편이다.
측정을 하여 구한 표준오차도 기기의 계기오차와 크게 벗어나지 아니한다.
측정한 값을 이용하여 밀도와 부피를 간접측정 하는 경우, 표준오차가 커지는데 독립변수의 오차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오차의 전파에 의한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부록에 기재된 알루미늄의 밀도는 간접측정으로 구한 밀도 값 범위에 포함돼있으나
구리의 밀도는 약간의 차이로 포함되지 않았다.
지름의 측정에서 계기오차보다 큰 표준오차가 원인이 된 거 같으며
제대로 된 측정으로 지름 값의 오차를 줄인다면 오차범위 내에 부록에 기재된 구리의 밀도 값이 포함 될 것으로 생각된다.
참조문헌
김상열. 제 11판 물리학실험. 아주대학교출판부. 2015. p7~10.
박경현, 측량학 해설, 청운문화, 2002, 41~43p
가로()
평균값
표준 오차
계기오차
보고할 오차
보고할 값
5.01cm
0.00453cm
0.002cm
0.00454cm
5.010.00453cm
평균값 : 50.1mm5.01cm
표준오차 : 0.0453mm0.00453cm
세로()
평균값
표준 오차
계기오차
보고할 오차
보고할 값
2.92
0.00113
0.002
0.002
2.920.002
평균값 : 29.20mm2.92cm
표준오차 : 0.0113mm0.00113cm
두께()
평균값
표준 오차
계기오차
보고할 오차
보고할 값
0.797
0.00207
0.002
0.00207
0.7970.00207
평균값 : 7.97mm0.797cm
표준오차 : 0.0207mm0.00207cm
부피()
평균값
표준 오차
보고할 값
11.7
0.0330
11.70.0330
평균값 : 11.65911.7
표준오차 : 0.0330
밀도(p)
평균값
표준 오차
보고할 값
부록에서 찾은 값
2.69
0.0115
2.690.0115
2.70
평균값 : 2.69
평균오차 : 0.0115
종 합 토 의
실험1
실험자의 집중력에 따라 측정값이 영향을 받는다.
측정 간에 시간을 두어 실험자가 집중력 있게 실험에 응하도록 하고
정해진 평균값이 없으므로 변화의 범위를 구하는데 초점을 둔다.
측정에서 다른 관측 값에 비해 차이가 큰 값은 버리고 재 측정하였다.
편차가 상당히 크고, 참값이 없기 때문에 시행횟수를 크게 늘려서 측정하지 않으면
신뢰할 수 있는 평균값의 범위를 구하기는 어려울 거 같다.
실험2
포토게이트 타이머는 줄무늬 투명자의 두 번째, 세 번째 줄무늬가 떨어지는 시간을 이용하여
낙하속도를 측정한다.
때문에 줄무늬 투명자가 회전하여 줄무늬의 위치가 제대로 측정이 안되면 오차가 발생한다.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험자가 줄무늬 투명자를 직각으로 회전 없이 떨어뜨려 기기가 줄무늬가 통과하는 시간을 정확히 측정하게 하는 것 이 중요하다.
실험자의 과실로 인해 발생한 측정값은 버리고 다시 측정하는 방식으로 측정을 하였고,
구한 실험값의 범위에 중력가속도가 포함돼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3,4
디지털캘리퍼스를 활용한 실험으로, 실험자가 측정에 개입하는 역할이 적어 실험1,2에 비해 편차가 상당히 적은편이다.
측정을 하여 구한 표준오차도 기기의 계기오차와 크게 벗어나지 아니한다.
측정한 값을 이용하여 밀도와 부피를 간접측정 하는 경우, 표준오차가 커지는데 독립변수의 오차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오차의 전파에 의한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부록에 기재된 알루미늄의 밀도는 간접측정으로 구한 밀도 값 범위에 포함돼있으나
구리의 밀도는 약간의 차이로 포함되지 않았다.
지름의 측정에서 계기오차보다 큰 표준오차가 원인이 된 거 같으며
제대로 된 측정으로 지름 값의 오차를 줄인다면 오차범위 내에 부록에 기재된 구리의 밀도 값이 포함 될 것으로 생각된다.
참조문헌
김상열. 제 11판 물리학실험. 아주대학교출판부. 2015. p7~10.
박경현, 측량학 해설, 청운문화, 2002, 41~43p
추천자료
교류 주파수 측정 결과 보고서
열의 일당량 측정 결과 보고서
반응시간, 중력 가속도 측정 결과 보고서
전기 용량과 유전율 측정 결과 보고서
오차론과 길이측정 예비보고서
[물리학] 구심력 측정 실험보고서 (예비, 결과 보고서)
[물리학] 구심력 측정 실험보고서 (예비, 결과 보고서)
길이와 곡률반경 측정 예비 보고서 및 결과 보고서
정밀측정 실험 결과 보고서
[실험] 전자측정연습 결과 보고서
[일반물리학] 자기력 측정 (전류천칭) 예비 및 결과 보고서
[물리학실험]오차론, 반응시간 예비 및 결과 보고서
[일반물리학 실험] 선팽창계수 측정 실험 결과 보고서
예비보고서 물리 측정과 오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