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실험 목적
Ⅱ 배경지식
Ⅲ 가설 설정
Ⅳ 실험
Ⅴ 결과
Ⅵ 고찰
Ⅱ 배경지식
Ⅲ 가설 설정
Ⅳ 실험
Ⅴ 결과
Ⅵ 고찰
본문내용
기는 크고, 시야는 좁고, 상의 밝기는 어둡고, 개수는 많았다. 여기서 저배율은 밝고, 고배율은 어두운 이유는 저배율은 대물렌즈와 재물대까지의 거리가 멀어서 빛이 많이 들어오나, 저배율은 거리가 가까워져서 빛이 덜 들어오기 때문이다.
사물의 길이 측정은 자로 재면 정확하다. 하지만 세포(細;가늘세 布)는 말 그대로 아주 가늘다. 이는 일반 자로 잴 수가 없다. 그래서 대안마이크로미터(접안렌즈에 대는 자)와 대물마이크로미터(대물렌즈에 대는 자)가 필요한 것이다. 접안렌즈와 대물렌즈에 각각의 자를 넣은 후 평행이 되게 맞춘다. 대물마이크로미터 1개의 눈금은 10㎛이다. [ (대물 눈금 수×10㎛)÷(대안 눈금 수) = 대안마이크로미터 1개 눈금의 길이 ] 의 식을 이용하여 실제 아주 작은 사물의 길이를 잴 수 있다.
가설은‘대물렌즈의 길이를 짧은 것부터 긴 것으로 바꾸면 상이 변한다.’인데 상이 변했다. 일단 가설대로 진행은 되었으나 현미경 사용법에 익숙하지 않아서 헤맸다. 다음부터는 실험 전에 미리 간단한 것은 알아두어야 함을 느끼게 되었다. 대안마이크로미터, 대물마이크로미터의 개념은 처음 들어보는 것이다. 세포도 정확히 잴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사물의 길이 측정은 자로 재면 정확하다. 하지만 세포(細;가늘세 布)는 말 그대로 아주 가늘다. 이는 일반 자로 잴 수가 없다. 그래서 대안마이크로미터(접안렌즈에 대는 자)와 대물마이크로미터(대물렌즈에 대는 자)가 필요한 것이다. 접안렌즈와 대물렌즈에 각각의 자를 넣은 후 평행이 되게 맞춘다. 대물마이크로미터 1개의 눈금은 10㎛이다. [ (대물 눈금 수×10㎛)÷(대안 눈금 수) = 대안마이크로미터 1개 눈금의 길이 ] 의 식을 이용하여 실제 아주 작은 사물의 길이를 잴 수 있다.
가설은‘대물렌즈의 길이를 짧은 것부터 긴 것으로 바꾸면 상이 변한다.’인데 상이 변했다. 일단 가설대로 진행은 되었으나 현미경 사용법에 익숙하지 않아서 헤맸다. 다음부터는 실험 전에 미리 간단한 것은 알아두어야 함을 느끼게 되었다. 대안마이크로미터, 대물마이크로미터의 개념은 처음 들어보는 것이다. 세포도 정확히 잴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추천자료
[과외]생물 세포의구조와 기능
[생물학] 바이러스의 종류와 특성(배양법, 감염메카니즘, 세포영향력, 질병성립경로 등)
생물] 초파리 침샘염색체 관찰 보고서
생물] 미생물의 배양(일생) 관찰 보고서
[생물 독후감] 기생충제국과 기생충의 관점
[생물학실험] 생명의 기원 - 코아세르베이트를 관찰
생물미래학 - 알츠하이머에 관해서
코아세르베이트 관찰[생물]
생물실험보고서 - 쌍자엽 식물, 단자엽 식물 관찰하기
8급간호직공무원시험 3과목 핵심요약정리 (생물,지역사회,간호관리학)
[일반 생물 및 실험보고서] 동물세포 및 식물세포의 관찰
[일반 생물 및 실험] 동물세포 및 식물세포의 관찰
생명과학 레포트-생물-식물의 겨울나기
성의 생물학 레포트(만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