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무의식에 대한 태도는 중요하다 >
개요
1.의식과 무의식 차이 개념적 접근
1-1. 의식이란?
1-2. 무의식이란?
1-3. 무의식은 왜 중요한가?
2. 프로이트, 융의 무의식 해석
2-1. 프로이트 무의식 해석
2-2. 융 무의식 해석
3. 무의식에 대한 견해
3-1. 프로이트와 융의 무의식에 대한 견해
3-2. 무의식에 대한 견해
4. 나의 경험과 무의식
1. 무의식 긍정적 측면 - 습관과 칭찬
2. 무의식 부정적 측면 - 강박관념과 두려움
5. 무의식을 대하는 태도
개요
1.의식과 무의식 차이 개념적 접근
1-1. 의식이란?
1-2. 무의식이란?
1-3. 무의식은 왜 중요한가?
2. 프로이트, 융의 무의식 해석
2-1. 프로이트 무의식 해석
2-2. 융 무의식 해석
3. 무의식에 대한 견해
3-1. 프로이트와 융의 무의식에 대한 견해
3-2. 무의식에 대한 견해
4. 나의 경험과 무의식
1. 무의식 긍정적 측면 - 습관과 칭찬
2. 무의식 부정적 측면 - 강박관념과 두려움
5. 무의식을 대하는 태도
본문내용
받았던 것이 무의식의 기능 중 긍정적인 측면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만일 상대방에게서 호평을 듣지 못했다면 사진을 찍는 데 특별한 재능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한 채 넘어갔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싶다.
무의식의 긍정적인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 필자의 경험을 들어 습관과 칭찬에 대해 풀어보면서 무의식에 대해 또 한 가지 공부를 할 수 있었다. 무의식을 구축하는 세계에는 개개인 스스로의 인식뿐만 아니라 타인도 기여를 한다는 것이다.
2. 무의식 부정적 측면 - 강박관념과 두려움
다음으로 무의식의 부정적인 측면을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풀어내고자 한다. 필자의 경우 지퍼에 대한 강박증이 있는데 강박증이란 자신이 원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생각이나 행동이 반복적으로 떠올라 이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특정 행동을 해야 하는 것을 뜻한다.
다행스럽게도 강박증 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로 심한 강박증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필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가방을 열고 닫을 때 꼭 두세 번 정도 가방의 지퍼를 확인해야만 마음이 편안한 강박 때문에 불편한 점이 없잖아 있는 편이다.
왜 이렇게 가방 지퍼를 꼭 확인해야 하는 것인지 필자의 과거를 돌아다보니 어렸을 적 바지 지퍼를 제대로 잠그지 않아 반 아이들에게 놀림을 당했던 과거가 무의식의 한 편에 자리 잡고 있는 듯 하다. 그 때의 수치스러움과 당황스러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억에서 잊혀졌을지는 모르나 무의식 속에서는 아직 해결되지 않은 과제로 남아 경미한 지퍼 강박증으로 보여 지고 있는 것 같다.
필자의 강박관념에 대한 것은 ‘청결’에 대한 부분도 있다. 밖에서 화장실을 이용해야 할 때 화장실이 더러우면 필자 또한 오염될 것 같은 생각이 들어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더러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청결에 대한 강박이 조금 있기 때문에 필자가 속해 있는 공간에서 조금 정리가 미흡한 부분이라든지 깨끗해 질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냥 지나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카페를 가면 먹었던 자리는 반드시 원상태처럼 돌려놓고 나와야 한다든지 쓰레기는 꼭 휴지통에 바로바로 버려야 한다든지 하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말했던 가방 지퍼를 자주 확인해야만 성이 풀리는 강박관념과 달리 청결에 대한 필자의 강박관념의 경우 부모님의 엄격한 교육에도 원인이 있다고 본다. 부모님의 성격이 깔끔하고 바로바로 치워야만 성이 풀리는 성격이신지라 필자 또한 부모님의 영향을 받아 밖에서 행동을 할 때 나도 모르게 카페 테이블을 치워야만 하는 생각이 드는 것 같다.
이처럼 무의식 속에 처리되지 못한 채 쌓여있는 감정이나 트라우마에 관한 것은 두려움을 이끌어내기도 한다. 이는 앞서 말했던 무의식의 긍정적인 측면에서 만들어지는 습관이나 칭찬으로 인해 자존감 혹은 자존심을 얻게 되는 이치와 같다고 본다. 어떤 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은 똑같은 상황이 주어졌을 때 자신도 모르게 튀어나올 수 있는 것이다.
필자의 경우 내성적인 성격으로 발표시간이 항상 두려웠다. 많은 사람들 앞에서 틀리지 않고 말을 제대로 해야 된다는 심리적인 부담과 필자에게 쏟아지는 시선 때문에 긴장되어 더욱 많은 실수를 하게 되고 몸이 부르르 떨리기도 하였다. 돌이켜보면 이 또한 무의식 속에 남아있는 발표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정확히 몇 살 때 인지는 기억해 낼 수 없지만 어린시절 친구들 앞에 서서 발표를 하다 실수를 했거나 부끄러움을 느꼈던 강한 기억이 무의식 속에 자리 잡아 성인이 된 이후에도 발표를 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똑같이 재현되고 마는 것이다.
5. 무의식을 대하는 태도
어떤 경험으로 무의식 세계를 채워나가는가에 따라 성격과 가치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경험을 의식으로 받아들여 무의식으로 소화시킬 때 어떤 태도를 가질 것인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무의식에 쌓인 부정적 혹은 긍정적 측면은 개개인 스스로의 선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신을 돌아볼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개 개개인이 좋아하고 관심 있는 것들에 대한 무의식은 긍정적인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반대로 자신의 약점이나 트라우마의 경우 과거 부정적인 측면이 많았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과거에 있었던 부정적인 기억에 대해 시간을 가지고 떠올려보는 것도 도움이 될 듯하다.
요컨대 필자의 무의식에 대한 견해는, 인간과 동물의 가장 큰 차이점인 ‘사고의 영역’을 바탕으로 의식적인 노력을 통해 자신을 개선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무의식의 긍정적인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 필자의 경험을 들어 습관과 칭찬에 대해 풀어보면서 무의식에 대해 또 한 가지 공부를 할 수 있었다. 무의식을 구축하는 세계에는 개개인 스스로의 인식뿐만 아니라 타인도 기여를 한다는 것이다.
2. 무의식 부정적 측면 - 강박관념과 두려움
다음으로 무의식의 부정적인 측면을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풀어내고자 한다. 필자의 경우 지퍼에 대한 강박증이 있는데 강박증이란 자신이 원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생각이나 행동이 반복적으로 떠올라 이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특정 행동을 해야 하는 것을 뜻한다.
다행스럽게도 강박증 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로 심한 강박증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필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가방을 열고 닫을 때 꼭 두세 번 정도 가방의 지퍼를 확인해야만 마음이 편안한 강박 때문에 불편한 점이 없잖아 있는 편이다.
왜 이렇게 가방 지퍼를 꼭 확인해야 하는 것인지 필자의 과거를 돌아다보니 어렸을 적 바지 지퍼를 제대로 잠그지 않아 반 아이들에게 놀림을 당했던 과거가 무의식의 한 편에 자리 잡고 있는 듯 하다. 그 때의 수치스러움과 당황스러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억에서 잊혀졌을지는 모르나 무의식 속에서는 아직 해결되지 않은 과제로 남아 경미한 지퍼 강박증으로 보여 지고 있는 것 같다.
필자의 강박관념에 대한 것은 ‘청결’에 대한 부분도 있다. 밖에서 화장실을 이용해야 할 때 화장실이 더러우면 필자 또한 오염될 것 같은 생각이 들어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더러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청결에 대한 강박이 조금 있기 때문에 필자가 속해 있는 공간에서 조금 정리가 미흡한 부분이라든지 깨끗해 질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냥 지나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카페를 가면 먹었던 자리는 반드시 원상태처럼 돌려놓고 나와야 한다든지 쓰레기는 꼭 휴지통에 바로바로 버려야 한다든지 하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말했던 가방 지퍼를 자주 확인해야만 성이 풀리는 강박관념과 달리 청결에 대한 필자의 강박관념의 경우 부모님의 엄격한 교육에도 원인이 있다고 본다. 부모님의 성격이 깔끔하고 바로바로 치워야만 성이 풀리는 성격이신지라 필자 또한 부모님의 영향을 받아 밖에서 행동을 할 때 나도 모르게 카페 테이블을 치워야만 하는 생각이 드는 것 같다.
이처럼 무의식 속에 처리되지 못한 채 쌓여있는 감정이나 트라우마에 관한 것은 두려움을 이끌어내기도 한다. 이는 앞서 말했던 무의식의 긍정적인 측면에서 만들어지는 습관이나 칭찬으로 인해 자존감 혹은 자존심을 얻게 되는 이치와 같다고 본다. 어떤 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은 똑같은 상황이 주어졌을 때 자신도 모르게 튀어나올 수 있는 것이다.
필자의 경우 내성적인 성격으로 발표시간이 항상 두려웠다. 많은 사람들 앞에서 틀리지 않고 말을 제대로 해야 된다는 심리적인 부담과 필자에게 쏟아지는 시선 때문에 긴장되어 더욱 많은 실수를 하게 되고 몸이 부르르 떨리기도 하였다. 돌이켜보면 이 또한 무의식 속에 남아있는 발표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정확히 몇 살 때 인지는 기억해 낼 수 없지만 어린시절 친구들 앞에 서서 발표를 하다 실수를 했거나 부끄러움을 느꼈던 강한 기억이 무의식 속에 자리 잡아 성인이 된 이후에도 발표를 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똑같이 재현되고 마는 것이다.
5. 무의식을 대하는 태도
어떤 경험으로 무의식 세계를 채워나가는가에 따라 성격과 가치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경험을 의식으로 받아들여 무의식으로 소화시킬 때 어떤 태도를 가질 것인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무의식에 쌓인 부정적 혹은 긍정적 측면은 개개인 스스로의 선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신을 돌아볼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개 개개인이 좋아하고 관심 있는 것들에 대한 무의식은 긍정적인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반대로 자신의 약점이나 트라우마의 경우 과거 부정적인 측면이 많았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과거에 있었던 부정적인 기억에 대해 시간을 가지고 떠올려보는 것도 도움이 될 듯하다.
요컨대 필자의 무의식에 대한 견해는, 인간과 동물의 가장 큰 차이점인 ‘사고의 영역’을 바탕으로 의식적인 노력을 통해 자신을 개선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추천자료
한국 상담심리학회에 대한 이해와 상담심리학의 내용 및 문제점과 보완점 제시
2012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인간중심적,정신분석적,게슈탈트상담이론)
2013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인간중심적,정신분석적,게슈탈트상담이론)
2014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인지상담이론 비교)
2015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인지상담이론 비교)
2015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인지상담이론 비교)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을 자신의 의견도 넣어서 기술하시오.
[상담심리학] 행동주의 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을 자신의 의견도 넣어서 기술하시오 : 행동주의
2018년 1학기 상담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정신분석적, 인간중심, 게슈탈트 상담이론)
[상담심리학]행동주의 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을 자신의 의견도 넣어서 기술하시오.
[상담심리학] 상담자는 전문적 자질과 인간적 자질 모두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인간적 자질에...
[상담심리학] 상담자로서 학교 밖 청소년들의 문제는 무엇이라고 생각되는지 자신의 생각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