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극을 조명한 작품일 뿐이다. 전쟁으로 인해 무고한 슬픔을 겪는 피해자의 아픔은 가해자나 피해자를 가리지 않는다. 게다가 이 작품의 주인공은 아이들이다. 작품에서 아이들로 하여금 어떠한 사상적 찬양이나, 일본의 죄악을 두둔하는 장면이 있었는가? 세이타와 세츠코는 그저 서로를 걱정하고 위했을 뿐이다.
이 작품은 그저 인간과 전쟁 사이를 조명할 뿐이다. 나는 이 작품에 대한 평론이 상당히 감정적인 평가절하가 있었다는 사실이 아쉽다. 과거에, 극도로 예민했던 반일감정에 의한 과민반응때문인 듯 하다. 하지만 또 그렇다고 이 작품으로 인해 전쟁에 대한 일본의 죄악을 동정으로 희석시키는 것도 옳지 못할 것이다. 애니메이션 ‘반딧불의 묘’를 바라보는 올바른 태도라면, 크게는 일본의 전쟁에 대한 죄를 이성적으로 이해하면서도 그 속에서 전쟁으로 고통받았던 무고한 이들을 추모할 줄 아는 태도일 것이다.
결국, ‘반딧불의 묘’는 이런저런 논란은 많았지만 어찌되었든 그 작품만 가지고 평가한다면 훌륭한 작품성을 가진 명작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작품으로 인해 우리는 전쟁에 대한 아픔을 되새길 수 있고, 다시는 되풀이 해선 안될 역사가 무엇인지 우리는 배울 수 있는 것 같다.
이 작품은 그저 인간과 전쟁 사이를 조명할 뿐이다. 나는 이 작품에 대한 평론이 상당히 감정적인 평가절하가 있었다는 사실이 아쉽다. 과거에, 극도로 예민했던 반일감정에 의한 과민반응때문인 듯 하다. 하지만 또 그렇다고 이 작품으로 인해 전쟁에 대한 일본의 죄악을 동정으로 희석시키는 것도 옳지 못할 것이다. 애니메이션 ‘반딧불의 묘’를 바라보는 올바른 태도라면, 크게는 일본의 전쟁에 대한 죄를 이성적으로 이해하면서도 그 속에서 전쟁으로 고통받았던 무고한 이들을 추모할 줄 아는 태도일 것이다.
결국, ‘반딧불의 묘’는 이런저런 논란은 많았지만 어찌되었든 그 작품만 가지고 평가한다면 훌륭한 작품성을 가진 명작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작품으로 인해 우리는 전쟁에 대한 아픔을 되새길 수 있고, 다시는 되풀이 해선 안될 역사가 무엇인지 우리는 배울 수 있는 것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