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의 필요성
4. 골재의 의미
5. 골재의 중요성
6. 콘크리트 골재의 필요 성질
7. 실험기구
8. 시험과정
9. 시험결과
10. 실험결과 비교 분석
11. 시험 후 자체평가
2. 실험목적
3. 실험의 필요성
4. 골재의 의미
5. 골재의 중요성
6. 콘크리트 골재의 필요 성질
7. 실험기구
8. 시험과정
9. 시험결과
10. 실험결과 비교 분석
11. 시험 후 자체평가
본문내용
통과하는 잔골재와 동일한 체를 중량으로 90%이상 잔류하는 굵은 골재로 분류한다.
5.골재의 중요성
콘크리트중의 골재의 용적은 70-75%에 이르므로 골재의 품질의 양부가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성 워커빌리티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경제적으로 그 선택의 적부가 중요한 문제이다.
6.콘크리트 골재의 필요 성질
1)골재는 천정,견경,내구적인 것으로 유해량의 먼지, 흙, 유기 불순물 등을 포함하지 않을 것
2)골재의 강도는 콘크리트중의 경화 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 이상일 것
3)골재의 입형은 될 수 있는대로 편평하지 않을 것
4)잔골재의 씻기시험에서 손실량이 3% 이하일 것
5)잔골재는 유기불순물 시험을 합격한 것
6)잔골재의 염분허용한도는 0.04%로한다.
7. 실험기구
기 구 명
사 양
형 태
1
표
준
체
잔골재용
KS 부름 명 기준 치수
No. 4 4.75㎜
No. 8 2.36㎜
No. 10 2.0㎜
No. 20 850㎛
No. 50 300㎛
No. 100 150㎛
No. 200 75㎛
2
저 울
시료 중량의 0.1% 이상의 정밀도가 있는 것
3
골재
잔골재
8. 시험 과정
시료는 용도에 따라 규정된 한 벌의 체로서[KS A 5101(표준체)에 규정한 1조의 체] 잔골재를 체가름 한다. (체 눈이 가는 것을 밑에 놓는다.)
체질은 체를 상하 및 수평으로 흔들어 시료가 연속적으로 체 면 위에서 움직이도록 한다.
체가름 작업은 1분 동안에 각 체에 잔류한 시료량의 1% 이상 그 체를 통과하지 않을 때까지 연속해야 한다.
체가름이 끝난 후 각 체에 남는 시료의 무게를 0.1%까지 정확히 측정한다.
9 . 시험 결과
체가름 분석 시험 결과는 시료 전 중량에 대하여 백분율로 표시하며 각 체를 통과하는 백분율(통과율%) 보고하는 백분율은 이것에 가장 가까운 정수로 고친 것으로 한다.
잔골재 실험결과표
체번호
각체에 남은 량의 누계
각체에 남은량
g
%
g
%
No. 4(4.75mm)
0.3
0.06
0.3
0.06
No. 8(2,36mm)
19.9
3.94
19.6
3.88
No. 10(2.0mm)
31
6.14
11.1
2.2
No. 20(850㎛)
134
26.51
103
20.37
No. 50(300㎛)
289.1
57.18
155.1
30.67
No. 100(150㎛)
470.1
92.98
181
35.8
No. 200(75㎛)
500.1
98.91
30
5.93
접시
505.6
100
5.5
1.09
합계
505.6
100
체가름 시험 결과에 따른 그래프
10. 실험결과 비교 분석
구 분
기준치(콘크리트 표준시방서기준)
시 험 실 험 치
판정 결과
굵은 골재의 조립률
2.3 ∼ 3.1
2.8572
합격
11. 시험 후 자체 평가
시험결과 그래프를 보아 이 골재는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지 않아서 경제적인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우나 조립률 구한 결과 2.8572로 잔골재로써 적당하다.
다른 조에서 시험한 골재를 섞지 않고 그대로 사용해서 입도가 고르게 나오지 않은 것 같다.
한 번의 시험을 해서 좀 더 정확한 시험결과가 안 나온 것 같다.
5.골재의 중요성
콘크리트중의 골재의 용적은 70-75%에 이르므로 골재의 품질의 양부가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성 워커빌리티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경제적으로 그 선택의 적부가 중요한 문제이다.
6.콘크리트 골재의 필요 성질
1)골재는 천정,견경,내구적인 것으로 유해량의 먼지, 흙, 유기 불순물 등을 포함하지 않을 것
2)골재의 강도는 콘크리트중의 경화 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 이상일 것
3)골재의 입형은 될 수 있는대로 편평하지 않을 것
4)잔골재의 씻기시험에서 손실량이 3% 이하일 것
5)잔골재는 유기불순물 시험을 합격한 것
6)잔골재의 염분허용한도는 0.04%로한다.
7. 실험기구
기 구 명
사 양
형 태
1
표
준
체
잔골재용
KS 부름 명 기준 치수
No. 4 4.75㎜
No. 8 2.36㎜
No. 10 2.0㎜
No. 20 850㎛
No. 50 300㎛
No. 100 150㎛
No. 200 75㎛
2
저 울
시료 중량의 0.1% 이상의 정밀도가 있는 것
3
골재
잔골재
8. 시험 과정
시료는 용도에 따라 규정된 한 벌의 체로서[KS A 5101(표준체)에 규정한 1조의 체] 잔골재를 체가름 한다. (체 눈이 가는 것을 밑에 놓는다.)
체질은 체를 상하 및 수평으로 흔들어 시료가 연속적으로 체 면 위에서 움직이도록 한다.
체가름 작업은 1분 동안에 각 체에 잔류한 시료량의 1% 이상 그 체를 통과하지 않을 때까지 연속해야 한다.
체가름이 끝난 후 각 체에 남는 시료의 무게를 0.1%까지 정확히 측정한다.
9 . 시험 결과
체가름 분석 시험 결과는 시료 전 중량에 대하여 백분율로 표시하며 각 체를 통과하는 백분율(통과율%) 보고하는 백분율은 이것에 가장 가까운 정수로 고친 것으로 한다.
잔골재 실험결과표
체번호
각체에 남은 량의 누계
각체에 남은량
g
%
g
%
No. 4(4.75mm)
0.3
0.06
0.3
0.06
No. 8(2,36mm)
19.9
3.94
19.6
3.88
No. 10(2.0mm)
31
6.14
11.1
2.2
No. 20(850㎛)
134
26.51
103
20.37
No. 50(300㎛)
289.1
57.18
155.1
30.67
No. 100(150㎛)
470.1
92.98
181
35.8
No. 200(75㎛)
500.1
98.91
30
5.93
접시
505.6
100
5.5
1.09
합계
505.6
100
체가름 시험 결과에 따른 그래프
10. 실험결과 비교 분석
구 분
기준치(콘크리트 표준시방서기준)
시 험 실 험 치
판정 결과
굵은 골재의 조립률
2.3 ∼ 3.1
2.8572
합격
11. 시험 후 자체 평가
시험결과 그래프를 보아 이 골재는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지 않아서 경제적인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우나 조립률 구한 결과 2.8572로 잔골재로써 적당하다.
다른 조에서 시험한 골재를 섞지 않고 그대로 사용해서 입도가 고르게 나오지 않은 것 같다.
한 번의 시험을 해서 좀 더 정확한 시험결과가 안 나온 것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