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실험 기구
4. 이론
5. 실험 방법
2. 실험 목적
3. 실험 기구
4. 이론
5. 실험 방법
본문내용
logram
kg
전류
암페어
ampere
A
온도
켈빈
kelvin
K
물질량
몰
mole
mol
광도
칸델라
candela
cd
평면각
라디안
radian
rad
입체각
스테라디안
steradian
sr
유도 단위의 예
물리량
단위(한글)
단위 기호
주파수
헤르츠
Hz
전위차
볼트
V
전기량, 전하
쿨롱
C
에너지, 일, 열량
줄
J
힘
뉴턴
N
전기 저항
옴
Ω
압력, 응력
파스칼
Pa
방사능
베크렐
Bq
II) 납땜을 하기에 앞서, 부품의 다리나 핀이 산화 되었는가 확인, 금속 표면에 윤기가 없다면 사포로 윤기가 날 때 까지 닦아낸다.
1. 부품의 다리를 구부려 기판 구멍에 끼운 다음, 기판을 거꾸로 뒤집는다. 부품의 다리를 밖으로 살짝 구부려 기판을 뒤집어도 부품이 안 빠지게 해줘야한다.
2. 본격적인 납땜에 앞서 부품 다리와 회로 기판 연결 부분에 인두팁을 잠시 대고 있으면서
납땜할 부분을 데운다. 납땜 주변부를 달궈서 납을 자연스레 녹이기 위함이다납땜할 부분을
데운다. 납땜 주변부를 달궈서 납을 자연스레 녹이기 위함이다
3. 인두팁을 대고 있는 상태에서 연결부에 납을 천천히 대고, 납이 부품과 회로에 균일하게 덮이면 손을 뗀다. 부품 다리와 PCB의 회로에 땜납이 제대로 붙었는지 확인한다. 납은 인두팁에 바로 대지 말고 부품다리나 회로 쪽에 대야 한다. 뜨거운 인두팁에 납을 직접 대면 일명 냉납(cold-solder joint) 현상이 일어난다. 프로젝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의심해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실수다. 납땜은 열에 의한 작용이다. 납땜하는 부분과 주변부 온도가 균일하지 않으면 땜납이 제대로 골고루 붙지 않는다. 냉납이 되면 시간이 지나면서 연결부분이 느슨해지고 부식이 발생한다.
4. 땜납이 잘 퍼져서 붙었으면 손을 떼고, 납이 식어서 굳기를 1~2초 정도 기다린다. 납이 굳을 동안 부품을 건드리면 안 된다. 납땜 연결 부분이 오른쪽 사진처럼 매끄러워야 한다. 표면이 매끄럽지 않다면 연결부를 다시 가열한 후에 납을 조금 더 붙인다.
5. 납땜이 끝났으면 부품 다리를 자른다. 보드 아래로 튀어나온 부품 다리 때문에 회로가 단락될 수 있기 때문에 납땜 부분 밖으로 나온 다리 여분을 바짝 자른다.
6. 납땜이 끝난 모습.
III) 저항 판독법
1. 아래와 같은 고정 저항의 칼라 코드를 숙지 후, 저항 판독표를 확인한다.
2. 띠의 색에 맞는 각각의 값을 찾아서 저항의 값을 알아낸다.
kg
전류
암페어
ampere
A
온도
켈빈
kelvin
K
물질량
몰
mole
mol
광도
칸델라
candela
cd
평면각
라디안
radian
rad
입체각
스테라디안
steradian
sr
유도 단위의 예
물리량
단위(한글)
단위 기호
주파수
헤르츠
Hz
전위차
볼트
V
전기량, 전하
쿨롱
C
에너지, 일, 열량
줄
J
힘
뉴턴
N
전기 저항
옴
Ω
압력, 응력
파스칼
Pa
방사능
베크렐
Bq
II) 납땜을 하기에 앞서, 부품의 다리나 핀이 산화 되었는가 확인, 금속 표면에 윤기가 없다면 사포로 윤기가 날 때 까지 닦아낸다.
1. 부품의 다리를 구부려 기판 구멍에 끼운 다음, 기판을 거꾸로 뒤집는다. 부품의 다리를 밖으로 살짝 구부려 기판을 뒤집어도 부품이 안 빠지게 해줘야한다.
2. 본격적인 납땜에 앞서 부품 다리와 회로 기판 연결 부분에 인두팁을 잠시 대고 있으면서
납땜할 부분을 데운다. 납땜 주변부를 달궈서 납을 자연스레 녹이기 위함이다납땜할 부분을
데운다. 납땜 주변부를 달궈서 납을 자연스레 녹이기 위함이다
3. 인두팁을 대고 있는 상태에서 연결부에 납을 천천히 대고, 납이 부품과 회로에 균일하게 덮이면 손을 뗀다. 부품 다리와 PCB의 회로에 땜납이 제대로 붙었는지 확인한다. 납은 인두팁에 바로 대지 말고 부품다리나 회로 쪽에 대야 한다. 뜨거운 인두팁에 납을 직접 대면 일명 냉납(cold-solder joint) 현상이 일어난다. 프로젝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의심해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실수다. 납땜은 열에 의한 작용이다. 납땜하는 부분과 주변부 온도가 균일하지 않으면 땜납이 제대로 골고루 붙지 않는다. 냉납이 되면 시간이 지나면서 연결부분이 느슨해지고 부식이 발생한다.
4. 땜납이 잘 퍼져서 붙었으면 손을 떼고, 납이 식어서 굳기를 1~2초 정도 기다린다. 납이 굳을 동안 부품을 건드리면 안 된다. 납땜 연결 부분이 오른쪽 사진처럼 매끄러워야 한다. 표면이 매끄럽지 않다면 연결부를 다시 가열한 후에 납을 조금 더 붙인다.
5. 납땜이 끝났으면 부품 다리를 자른다. 보드 아래로 튀어나온 부품 다리 때문에 회로가 단락될 수 있기 때문에 납땜 부분 밖으로 나온 다리 여분을 바짝 자른다.
6. 납땜이 끝난 모습.
III) 저항 판독법
1. 아래와 같은 고정 저항의 칼라 코드를 숙지 후, 저항 판독표를 확인한다.
2. 띠의 색에 맞는 각각의 값을 찾아서 저항의 값을 알아낸다.
키워드
추천자료
전기장의 측정 실험결과 보고서
전자전기실험 - 예비보고서 3 [분압기의 설계]
전자전기실험 - 실험 3 결과보고서 [분압기의 설계]
전자전기실험 - 실험 2 예비보고서 [전원내부저항, 전압안정 직류전원, DMM의 내부저항]
전자전기실험 - 실험 7 예비보고서 [커패시터, RC회로의 과도응답]
전자전기실험 - 실험 10 예비보고서 [RLC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
일반물리학실험(북스힐)_경사면위에서의 운동학_사전(예비)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북스힐)_물체의 관성모멘트 측정_사전(예비)보고서
전기화학실험(예비+결과보고서)
전기회로_시험회로_연구_실험_보고서
[보고서]pH, 전기전도도, TSS 및 탁도 실험보고서
[실험보고서] 전기 변색소자 실험 보고서
[재료역학실험]전기저항 스트레인 게이지(electrical resistance strain gage)실험 보고서
[일반물리학 실험] 옴(Ohm)의 법칙 결과 보고서 : 전기회로에서 전압과 전류, 저항의 관계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