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건축, 초록을 입다.
(아크로스 후쿠오카)
1.서론
2.아크로스 후쿠오카
2.1 건물개요
2.2 스텝가든
2.3 옥상녹화의 효과
2.4 아크로스 후쿠오카의 환경적 특성
3.고찰
(아크로스 후쿠오카)
1.서론
2.아크로스 후쿠오카
2.1 건물개요
2.2 스텝가든
2.3 옥상녹화의 효과
2.4 아크로스 후쿠오카의 환경적 특성
3.고찰
본문내용
처리할 수 있다. 최근 지구온난화 등 온실가스로 인한 문제가 심각하게 야기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 해결법으로옥상녹화는 매우 효과가 좋다고 볼 수 있다.
온도저감효과도 뛰어난데 식재없이 토양만 존재하여도 토양수준의 증발작용에 의해 5˚c 정도의 온도저감 효과가 나타난다. 여기에 식생을 다양하게 첨가하여 피도를 높여주면 온도 저감효과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약 120종의 식종이 심어져있는 아크로스 후쿠오카의 온도 저감효과는 매우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아크로스 후쿠오카의 거대한 옥상정원은 환경이 파괴되고 삭막한 기운을 내고 있던 도심부에 존재하여 하나의 도시숲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나.조경의 특징
스텝가든에서는 일반 흙이 아닌 비교적 가벼운 인공토양이 사용되는 초경량토 공법이 사용되었다. 건축물의 무게를 감안 무거운 흙과 비교 0.4정도의 무게를 가지는 초경량토을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이 받는 하중의 부담을 줄이게 되었다. 또한 배수 관개 또한 잘 되있어 내리는 비는 인공토양 두께 약50cm까지 침투 되지만 넘치는 물은 건물 맨꼭대기에서 바닥층까지 마치 산에서처럼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또한 나무에 뿌린 물이나 빗물은 건물 지하에 있는 집수정으로 모여 관수에 다시 사용하게 된다. 화단 사에이는 배수로를 설치하여 물이 화단에 서서히 스며들게 하였다. 이는 도시적으로 나타나는 홍수 및 가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옥상에서 바라본 텐진 공원과 강의 모습
아크로스 후쿠오카의 스텝가든-텐진중앙공원-텐진강의 모습을 보면 건축물로써는 가지기 힘든 자연과의 조화를 이뤄냈다고 볼 수 있다. 건축물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 및 한계를 벗어나 자연과 어우러지는 것은 건축물 녹화가 주는 가장 큰 이점이고 아크로스 후쿠오카는 이러한 점을 가장 잘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다.국제,사회,문화적 기능
-아크로스 후쿠오카
Asian Cross-Road of Over the Sead의 조어
Asia를 향한 관문으로서의 Fukuoka를 상징.
-아크로스 후쿠오카의 설립목적
국제, 문화, 정보의 교류거점 시설인 아크로스 후쿠오카가 보유한 기능을 한층 더 고도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또한 종합적인 문화 및 정보의 교류 네트워크를 추진하고 후쿠오카현의 문화진흥 및 문화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 교류촉진을 도모함으로써 후쿠오카현 주민의 문화의식 향상과 지역사회 활성화에 기여한다.
출처:아크로스 후쿠오카 공식 홈페이지
음악 홀, 이벤트 홀, 원형 홀, 대회의실, 국제교류정보센타, 레스토랑, 쇼핑센터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국제, 문화, 정보교류의 거점역할을 한다.
친환경적인 측면이 두드러져 있고 주민의 문화시설등도 가지고 있어 준공 된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후쿠오카시의 상징적인 건물이 되었다. 건축물이 도시에서 친환경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주민들의 편의시설, 문화시설 더 나아가 국가의 국제외교 시설로서의 역할을 하는 아크로스 후쿠오카는 앞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건축이 어떠한 것인가를 보여주고 있다.
3.고찰
우리나라와 일본은 영토에 비해 인구밀도가 높다. 또한 단기간에 고도성장을 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두 나라 모두 빠른 도시화로 인해 도시에서 환경을 내쫓게 되었고 파괴하게 되었다. 과거부터 일본은 여러 가지 친환경 건축을 통해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현재에 우리나라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아크로스 후쿠오카는 앞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건축이 무엇인지 너무나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국제, 문화, 사회적으로써 건물에게 요구되는 역할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역할을 완벽히 수행한다.
이러한 친환경 적인 요소는 앞으로 건축물을 만드는데 있어서 거의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환경오염에 대한 각종 규제 및 사람들의 인식의 변화, 직접적으로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등 앞으로 친환경건축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건축물 녹화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고, 서울시청 신청사 등 많은 녹화건물이 세워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제도적 문제점이나 건축물 녹화가 주는 장점을 극대화하지 못하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제도적으로 옥상녹화를 지원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하고 건물의 옥상과 콘크리트 구조물을 왜 녹화시켜야 하는지 주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멀리 후손을 위해 자연과 인간이 함께 살아 숨쉬는 사회 건설을 위해 자금부터 투자를 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온도저감효과도 뛰어난데 식재없이 토양만 존재하여도 토양수준의 증발작용에 의해 5˚c 정도의 온도저감 효과가 나타난다. 여기에 식생을 다양하게 첨가하여 피도를 높여주면 온도 저감효과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약 120종의 식종이 심어져있는 아크로스 후쿠오카의 온도 저감효과는 매우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아크로스 후쿠오카의 거대한 옥상정원은 환경이 파괴되고 삭막한 기운을 내고 있던 도심부에 존재하여 하나의 도시숲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나.조경의 특징
스텝가든에서는 일반 흙이 아닌 비교적 가벼운 인공토양이 사용되는 초경량토 공법이 사용되었다. 건축물의 무게를 감안 무거운 흙과 비교 0.4정도의 무게를 가지는 초경량토을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이 받는 하중의 부담을 줄이게 되었다. 또한 배수 관개 또한 잘 되있어 내리는 비는 인공토양 두께 약50cm까지 침투 되지만 넘치는 물은 건물 맨꼭대기에서 바닥층까지 마치 산에서처럼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또한 나무에 뿌린 물이나 빗물은 건물 지하에 있는 집수정으로 모여 관수에 다시 사용하게 된다. 화단 사에이는 배수로를 설치하여 물이 화단에 서서히 스며들게 하였다. 이는 도시적으로 나타나는 홍수 및 가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옥상에서 바라본 텐진 공원과 강의 모습
아크로스 후쿠오카의 스텝가든-텐진중앙공원-텐진강의 모습을 보면 건축물로써는 가지기 힘든 자연과의 조화를 이뤄냈다고 볼 수 있다. 건축물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 및 한계를 벗어나 자연과 어우러지는 것은 건축물 녹화가 주는 가장 큰 이점이고 아크로스 후쿠오카는 이러한 점을 가장 잘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다.국제,사회,문화적 기능
-아크로스 후쿠오카
Asian Cross-Road of Over the Sead의 조어
Asia를 향한 관문으로서의 Fukuoka를 상징.
-아크로스 후쿠오카의 설립목적
국제, 문화, 정보의 교류거점 시설인 아크로스 후쿠오카가 보유한 기능을 한층 더 고도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또한 종합적인 문화 및 정보의 교류 네트워크를 추진하고 후쿠오카현의 문화진흥 및 문화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 교류촉진을 도모함으로써 후쿠오카현 주민의 문화의식 향상과 지역사회 활성화에 기여한다.
출처:아크로스 후쿠오카 공식 홈페이지
음악 홀, 이벤트 홀, 원형 홀, 대회의실, 국제교류정보센타, 레스토랑, 쇼핑센터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국제, 문화, 정보교류의 거점역할을 한다.
친환경적인 측면이 두드러져 있고 주민의 문화시설등도 가지고 있어 준공 된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후쿠오카시의 상징적인 건물이 되었다. 건축물이 도시에서 친환경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주민들의 편의시설, 문화시설 더 나아가 국가의 국제외교 시설로서의 역할을 하는 아크로스 후쿠오카는 앞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건축이 어떠한 것인가를 보여주고 있다.
3.고찰
우리나라와 일본은 영토에 비해 인구밀도가 높다. 또한 단기간에 고도성장을 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두 나라 모두 빠른 도시화로 인해 도시에서 환경을 내쫓게 되었고 파괴하게 되었다. 과거부터 일본은 여러 가지 친환경 건축을 통해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현재에 우리나라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아크로스 후쿠오카는 앞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건축이 무엇인지 너무나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국제, 문화, 사회적으로써 건물에게 요구되는 역할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역할을 완벽히 수행한다.
이러한 친환경 적인 요소는 앞으로 건축물을 만드는데 있어서 거의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환경오염에 대한 각종 규제 및 사람들의 인식의 변화, 직접적으로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등 앞으로 친환경건축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건축물 녹화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고, 서울시청 신청사 등 많은 녹화건물이 세워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제도적 문제점이나 건축물 녹화가 주는 장점을 극대화하지 못하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제도적으로 옥상녹화를 지원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하고 건물의 옥상과 콘크리트 구조물을 왜 녹화시켜야 하는지 주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멀리 후손을 위해 자연과 인간이 함께 살아 숨쉬는 사회 건설을 위해 자금부터 투자를 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