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기본 모델
2.정상적 가족발달
3.행동장애의 발달
4.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5.사정(Assessment)
6.치료 기법
2.정상적 가족발달
3.행동장애의 발달
4.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5.사정(Assessment)
6.치료 기법
본문내용
서론
구조적 가족치료 :
- 가족은 예측 불가능한 방법으로 강력하게 영향력을 미치는 집합체인데,
가족 내의 복잡한 상호교류에 질서와 의미를 부여하는 틀을 제공한다.
- 치료받기를 원하는 내담자들은 특정한 문제 때문에 도움을 청하는데,
치료사들은 이런 문제 자체 보다는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패턴을 본다.
- 구조주의 치료사는 전체적인 구조를 찾고 관계를 개선시킨다.
1. 기본 모델
구조주의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
가족구조
- 가족구성원의 상호작용 방식을 조직화하는 것,
일련의 행동을 예측 가능하게 해준다.
- 반복된 상호교류가 기대를 만들어 내고 이것은 지속적인 유형을 형성,
유형이 만들어지면 다른 선택을 할 수 있음에도 소수의 행동을 선택함.
- 일련의 숨은 규칙을 가지고 있어서 가족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규제함.
- 기본적인 가족구조를 바꾸는 것은 가족의 상호교류에 파급효과 가져옴.
구조주의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
가족구조
- 일반적 구속요인과 특정한 구속요인에 의해 형성된다.
- 상담 시 가족은 무질서와 혼란 ⇒ 치료사가 가족 구조 식별해야 한다.
가족 구조를 식별하는 것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① 구조를 설명하는 이론적 체계
② 가족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
- 한 부모 가족, 재혼가족 등과 같은 보여지는 구조만이 아니라,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뜻한다.
구조주의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
2) 하위체계
- 가족은 세대, 성별, 기능에 기초하여 하위체계들로 분화된다.
대인관계 경계선,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을 규제하는 장벽들로 한계 정해짐.
예) 저녁 식사 시간에 다른 사람과 전화하지 못하는 규칙
⇒ 외부 방해로부터 가족 보호하는 경계선 확고히 함.
- 경계선으로 하위체계가 보호받지 못하면 그 하위체계 내의 구성원들이
상호작용 기술을 발달시키지 못할 수 있다.
구조주의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
3) 경계선
- 경직된 경계는 바깥 하위체계들과 접촉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된 관계(disengagement)를 초래할 수 있다.
⇒ 독립되어 있긴 하지만 고립되어 있어 상호작용이 없다.
자율성과 성장을 길러 줄 수 있지만,
부모의 따뜻함이나 사랑을 충분히 경험하지 못하게 한다.
- 속박된(enmeshed) 하위체계는 높은 수준의 상호지지를 보이지만,
독립과 자율성에 손상을 입히고 자발성을 약화시킨다.
구조적 가족치료 :
- 가족은 예측 불가능한 방법으로 강력하게 영향력을 미치는 집합체인데,
가족 내의 복잡한 상호교류에 질서와 의미를 부여하는 틀을 제공한다.
- 치료받기를 원하는 내담자들은 특정한 문제 때문에 도움을 청하는데,
치료사들은 이런 문제 자체 보다는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패턴을 본다.
- 구조주의 치료사는 전체적인 구조를 찾고 관계를 개선시킨다.
1. 기본 모델
구조주의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
가족구조
- 가족구성원의 상호작용 방식을 조직화하는 것,
일련의 행동을 예측 가능하게 해준다.
- 반복된 상호교류가 기대를 만들어 내고 이것은 지속적인 유형을 형성,
유형이 만들어지면 다른 선택을 할 수 있음에도 소수의 행동을 선택함.
- 일련의 숨은 규칙을 가지고 있어서 가족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규제함.
- 기본적인 가족구조를 바꾸는 것은 가족의 상호교류에 파급효과 가져옴.
구조주의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
가족구조
- 일반적 구속요인과 특정한 구속요인에 의해 형성된다.
- 상담 시 가족은 무질서와 혼란 ⇒ 치료사가 가족 구조 식별해야 한다.
가족 구조를 식별하는 것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① 구조를 설명하는 이론적 체계
② 가족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
- 한 부모 가족, 재혼가족 등과 같은 보여지는 구조만이 아니라,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뜻한다.
구조주의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
2) 하위체계
- 가족은 세대, 성별, 기능에 기초하여 하위체계들로 분화된다.
대인관계 경계선,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을 규제하는 장벽들로 한계 정해짐.
예) 저녁 식사 시간에 다른 사람과 전화하지 못하는 규칙
⇒ 외부 방해로부터 가족 보호하는 경계선 확고히 함.
- 경계선으로 하위체계가 보호받지 못하면 그 하위체계 내의 구성원들이
상호작용 기술을 발달시키지 못할 수 있다.
구조주의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
3) 경계선
- 경직된 경계는 바깥 하위체계들과 접촉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된 관계(disengagement)를 초래할 수 있다.
⇒ 독립되어 있긴 하지만 고립되어 있어 상호작용이 없다.
자율성과 성장을 길러 줄 수 있지만,
부모의 따뜻함이나 사랑을 충분히 경험하지 못하게 한다.
- 속박된(enmeshed) 하위체계는 높은 수준의 상호지지를 보이지만,
독립과 자율성에 손상을 입히고 자발성을 약화시킨다.
추천자료
구조적 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Strural model)
가족치료 개념과 역사, 가족치료 발달, 가족치료와 개인치료, 가족치료와 가족체계치료, 가족...
가족치료이론 - 구조적 가족치료(미누친)와 가족정서체계치료(보웬).PPT자료
가족치료의 정의 및 특징과 가족치료이론 중 보웬의 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에 대해 설명.
인지행동주의적 가족치료와 구조적 가족치료에 대하여 비교
★추천자료★[21세기 가족치료] 경계 파괴, 21세기 더욱 부각되는 문제점, 21세기 가족치료의 ...
보웬의 다세대가족치료이론이 들어있는 영화나 드라마를 감상한 후 영화 속에서 다세대가족치...
가족상담및치료)저소득층 가족에 대한 구조적 가족상담 및 치료를 진행한다고 가정하고, 상담...
가족상담및치료)저소득층 가족에 대한 구조적 가족상담 및 치료를 진행한다고 가정하고, 상담...
가족치료의 평가(비교) - 다세대 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치료 해결중심가족치...
[가족치료이론]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모델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모델 사티어의 경험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