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케이스 스터디 casestudy - 간세포 암종 (Hepatocellular Carcinoma) 사례연구 : Dx : Multiple HCC with rupture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암 케이스 스터디 casestudy - 간세포 암종 (Hepatocellular Carcinoma) 사례연구 : Dx : Multiple HCC with ruptur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질병에 대한 해부생리와 이론적 고찰
2. 의학적 치료 및 수술
3. 환자의 기왕력 및 검사결과
4. 간호과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76
-대상자는 장폐색 증상(복부통증과 경련, 팽만, 오심, 구토, 쇠약, 어지러움, 실신, 저혈류성 쇼크 등)을 나타내지 않았다.
-대상자는 2013.2.25 gas out된 이후로 gas passing이 잘 되었고 복부 통증과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오심, 구토의 증상을 호소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수술 후 2013.2.25부터 식이 진행 하였고, 이후 식후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았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배에 힘도 안 들어가고 수술부위가 너무 아파요. 안 아프게 좀 해주세요.”
<객관적 자료>
1. 복부 절개부위 수술상처(2013.2.19: central hepatectomy of liver시행)
2. 통증정도 사정날 짜
2/19 OP
2/20 POD#1
2/21 POD#2
2/22 POD#3
통증정도 사정
6/10
5/10
5/10
4/10
(당장이라도 숨을 못 쉴 것 같은 통증 10점 만점기준)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목표
1. 매 duty 통증 사정 시 통증을 사정하여 점수가 내려갈 수 있게 한다.
2. 대상자의 활력징후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
3. 대상자의 표정이 한결 편안해진다.
간호계획
1. 매 duty마다 표준화된 통증사정 도구를 이용하여 사정한다.
2. 매일 최소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3. PCA의 자가사용법을 교육하고 부작용이 나타나는지 주의깊게 살핀다.
간호수행
1. 통증을 느끼는 정도는 개인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매 duty마다 표준화된 통증사정 도구를 이용하여 사정하였다.
2. 매일 최소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3. 복부절개부위 지지를 위하여 항상 복대를 착용하도록 교육했으며, 객담 배출시 복부를 지지한 후 시행하도록 하였다.
4. 통증을 참지 말고 표현하도록 격려했다.
5. 대상자가 PCA의 사용법을 잘 알고 있는지 확인했으며 PCA(patient controlled analgesia)가 있어 지속적으로 진통제가 들어가고 있음을 알리고, 통증조절이 안될 때 환자가 스스로 버튼을 눌러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음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6. PCA의 부작용(오심, 구토, 소양증, 진정, 호흡억제, 혼미, 요저류 등)을 설명하고 부작용이 나타날 시에 즉시 담당간호사를 부를 것을 설명하였다.
간호평가
날 짜
2/19 OP
2/20 POD#1
2/21 POD#2
2/22 POD#3
통증정도 사정
6/10
5/10
5/10
4/10
-통증사정 시 통증척도가 점점 완화되고 있다.
(당장이라도 숨을 못 쉴 것 같은 통증 10점 만점기준)
-대상자의 혈압과 맥박이 정상범위 내로 유지되었다.날짜
시간
혈압
맥박
시간
혈압
맥박
2/20 POD#1
9A
136/91
85
1P
142/102
95
2/21 POD#2
9A
151/84
97
1P
136/73
96
2/22 POD#3
9A
131/84
85
1P
121/79
99
2/23 POD#4
9A
114/78
96
1P
126/84
76
-대상자가 PCA이외의 진통제를 호소하는 정도가 하루1번미만으로 줄어들었다.
간호과정 3.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과정 4.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1. 복부 절개 수술(2013.2.19: central hepatectomy of liver시행)
2. 복부 절개부위 수술상처를 가지고 있음
3. Jackson Pratt drain Rt.#1 유지중임
4. foley catheter in situ
간호진단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목표
1. 대상자의 활력징후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
2. 대상자의 수술상처부위와 Jackson Pratt drain 삽입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한다.
3. 대상자의 foley catheter삽입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한다.
4.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의 노출을 최소한으로 줄인다.
간호계획
1. 매일 최소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침습적 처지 시술 시에 철저한 무균술을 적용하며, 모든 처치 시행 전/후로 철저한 손씻기를 시행한다.
간호수행
1. 매일 최소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감염의 제일 첫 번째 증상은 체온의 상승이므로 체온의 변화를 주의깊게 관찰)
2. 매 duty rounding시마다 감염의 증상(발열, 몸살, 심한 기침과 가래, 설사, 목의 통증 등)이 나타나는지 사정하였다.
3. 간호사의 손을 통해서 많은 세균과 미생물이 환자에게 전달되므로 대상자에게 모든 처치 시행 전/후로 철저한 손씻기를 시행하였다.
4. 침습적 처치(투약 등) 시술 시에 철저한 무균술을 적용하였다.
5. 외부 방문객이 감염원이 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방문객의 수를 줄이도록 대상자에게 안내하였다.
6. foley catheter 삽입부위를 무균적으로 다루었으며 urine bag이 허리 아래로 유지되지 않을 경우 소변이 역류되어 감염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항상 환자의 몸 아래쪽으로 올 수 있게 교육하였다.
7.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감염 시 나타나는 증상을 설명하고 증상이 나타나면 담당간호사에게 즉시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날짜
시간
체온
호흡수
시간
체온
호흡수
2/20 POD#1
9A
36.6
20
1P
36.0
18
2/21 POD#2
9A
36.8
20
1P
36.8
20
2/22 POD#3
9A
36.5
18
1P
37.1
18
2/23 POD#4
9A
36.4
18
1P
36.8
20
-대상자는 정상 체온범위를 유지하였다.
-대상자는 감염증상(발열, 몸살, 심한 기침과 가래, 설사, 목의 통증 등)을 나타내지 않았다.
-foley catheter 삽입부위가 깨끗하게 유지되었고 clear한 양상으로 소변이 배출되었다.
Chest PA(2013-02-23)
Urinalysis(2013-2-23)
otherwise no change
No WBC & clarity : clear
-대상자는 2013-2-23일 시행한 Chest PA, Urinalysis 결과상에서 염증소견이 나타나지 않았다.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상,하권 현문사,2010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
기본간호학 I 수문사, 2009
  • 가격1,5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5.07.03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57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