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학교
<과제 제목: 담배와 마리화나의 유해성에 대한 고찰>
1) 건강보험공단의 담배 소송 관련 요지 정리
(1) 담배문제의 출발은 "흡연으로 인한 폐해에 대해 흡연자(국민)는 건강증진법상의 부담금을 물고 있는데 반해 원인 제공자인 담배회사는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는 것이 과연 사회적 정의와 형평성 차원에서 정당한 것인가“
(2) 두 번째 쟁점은 담배회사의 위법성을 입증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흡연피해에 대한 연구결과
2) 미국의 마리화나 합법화에 관련된 요지 정리
마리화나란?
마리화나 합법화의 쟁점은?
(1) 마리화나의 중독성과 사회적 유해성에 관한 이견
(2) 마리화나 불법화 시켰을 때 생기는 범죄와 단속비용 합법화에 따른 중독비용
(3) 마리화나 합법화가 다른 마약의 사용을 줄여줄 것인가?
3) 담배와 마리화나의 인체에 대한 유해 작용 정리
담배의 유해성:
마리화나의 유해성:
<과제 제목: 담배와 마리화나의 유해성에 대한 고찰>
1) 건강보험공단의 담배 소송 관련 요지 정리
(1) 담배문제의 출발은 "흡연으로 인한 폐해에 대해 흡연자(국민)는 건강증진법상의 부담금을 물고 있는데 반해 원인 제공자인 담배회사는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는 것이 과연 사회적 정의와 형평성 차원에서 정당한 것인가“
(2) 두 번째 쟁점은 담배회사의 위법성을 입증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흡연피해에 대한 연구결과
2) 미국의 마리화나 합법화에 관련된 요지 정리
마리화나란?
마리화나 합법화의 쟁점은?
(1) 마리화나의 중독성과 사회적 유해성에 관한 이견
(2) 마리화나 불법화 시켰을 때 생기는 범죄와 단속비용 합법화에 따른 중독비용
(3) 마리화나 합법화가 다른 마약의 사용을 줄여줄 것인가?
3) 담배와 마리화나의 인체에 대한 유해 작용 정리
담배의 유해성:
마리화나의 유해성:
본문내용
한다. 그러므로 흡연자는 숨을 제대로 쉬더라도 산소가 희박해져 수많은 흡연자들을 괴롭히는 만성 피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담배에는 청산가스(HCN), 포름알데히드, 나프탈렌등 수 천 가지의 유해물질이 들어 있다. 흡연은 당사자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 간접흡연으로 인한 피해 또한 심각함이 보고되고 있음을 상기한다면 담배의 유해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마리화나의 유해성:
▶ 마리화나의 부정적인 영향들
마리화나를 피우면 몇 분 안에 즉각 THC 성분이 뇌세포들로 하여금 도파민을 방출하도록 만들어서 20여 분간 고조된 기분상태로 만들어 준다. 단기적 부정적 영향들은 다음과 같다.
* 기억력과 학습장애(Problems with memory and learning)
* 시각, 음향, 시간, 감촉 등에 대한 왜곡된 인식(sights, sounds, time, touch)
*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에 문제 야기(Trouble with thinking and problem-solving)
* 신체 조화능력 상실(Loss of coordination)
* 심장박동 증가(Increased heart rate)
또, 마리화나의 THC성분이 뇌안에서 기억력, 판단, 지각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젊은이들이 무분별하게 난잡한 성적접촉으로 에이즈에 감염될 우려까지 있다.
▶ 마리화나 남용과 심장박동 증가
정상적인 심장박동은 1분당 70~80회 이지만, 마리화나를 피우면 심장박동이 평소보다 20~50회 더 증가하게 되어서 트랙을 뛸 때와 같이 100 이상으로 된다. 다른 마약과 함께 마리화나를 피울 시에는 심장박동이 이보다 더 증가한다.
실제로 5년 전에 마리화나 문제로 마약회복모임에 1년 반 동안 참석해서 치유된 한 대학생의 말에 의하면 이따금 심장이 가슴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 같이 불규칙하게 심장이 뛸 때에는 마치 죽는 것 같아서 겁이 났다고 한다. 심장박동이 계속 100 이상을 초과하면 생명에 위험하다.
▶ 마리화나의 장기적인 피해와 발암물질
마리화나를 상습적으로 사용하면 마리화나의 THC 성분이 암을 유발시키고 호흡기와 면역체계에 문제를 야기해서 여러 질병에 취약해지게 되어 수명이 단축되기 쉽다.
여러 연구조사에서 1주에 5회 마리화나를 피우는 것은 마치 담배 20개비를 매일 1주일간 피운 것과 같은 량의 발암물질들을 몸에 들여보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물실험에서도 마리화나의 주 유해성분인 THC가 인체의 면역 세포와 조직에 피해를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 마리화나와 뇌기능 파괴
마리화나를 피운 다음에 뇌로 전달된 마리화나의 THC 성분은 곧바로 카나비노이드 수용기들(Cannabinoid receptors)을 찾아가서 고착한다. 카나비노이드 수용기들은 우리 뇌의 보상 및 쾌락센터 밑 부분에 있는 기억력과 학습에 연관된 뇌의 해마(Hippocampus) 부위와 소뇌, 신경절 밑, 및 대뇌 피질 등에 밀집해 있어서 마리화나를 피우면 다른 마약과 달리 여러 뇌 부위의 기능들에 피해를 준다. 따라서 마리화나를 피우면 THC의 영향으로 학습과 기억능력이 방해 받아서 새로운 학습이 어렵고, 최근에 있었던 일들도 잘 기억하지 못하게 된다. 뇌신경 과학자들은 마리화나의 THC 성분이 뇌를 변형시켜주어서 코카인과 헤로인과 같은 마약들을 더 하도록 만드는 것으로 믿고 있을 정도로 마리화나는 뇌를 망가트린다.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에서는 2002년부터 매주 수요일 8PM부터 2시간 동안 “마약회복모임”을 제공하고 있다. 마리화나를 남용하는 10대 학생들의 치유는 부모들의 바른 치유방법에 대한 이해와 헌신에 달려있다.
<대마초 흡연이 뇌의 편도체와 측좌핵에 변화를 유발>
이외에도 담배에는 청산가스(HCN), 포름알데히드, 나프탈렌등 수 천 가지의 유해물질이 들어 있다. 흡연은 당사자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 간접흡연으로 인한 피해 또한 심각함이 보고되고 있음을 상기한다면 담배의 유해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마리화나의 유해성:
▶ 마리화나의 부정적인 영향들
마리화나를 피우면 몇 분 안에 즉각 THC 성분이 뇌세포들로 하여금 도파민을 방출하도록 만들어서 20여 분간 고조된 기분상태로 만들어 준다. 단기적 부정적 영향들은 다음과 같다.
* 기억력과 학습장애(Problems with memory and learning)
* 시각, 음향, 시간, 감촉 등에 대한 왜곡된 인식(sights, sounds, time, touch)
*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에 문제 야기(Trouble with thinking and problem-solving)
* 신체 조화능력 상실(Loss of coordination)
* 심장박동 증가(Increased heart rate)
또, 마리화나의 THC성분이 뇌안에서 기억력, 판단, 지각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젊은이들이 무분별하게 난잡한 성적접촉으로 에이즈에 감염될 우려까지 있다.
▶ 마리화나 남용과 심장박동 증가
정상적인 심장박동은 1분당 70~80회 이지만, 마리화나를 피우면 심장박동이 평소보다 20~50회 더 증가하게 되어서 트랙을 뛸 때와 같이 100 이상으로 된다. 다른 마약과 함께 마리화나를 피울 시에는 심장박동이 이보다 더 증가한다.
실제로 5년 전에 마리화나 문제로 마약회복모임에 1년 반 동안 참석해서 치유된 한 대학생의 말에 의하면 이따금 심장이 가슴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 같이 불규칙하게 심장이 뛸 때에는 마치 죽는 것 같아서 겁이 났다고 한다. 심장박동이 계속 100 이상을 초과하면 생명에 위험하다.
▶ 마리화나의 장기적인 피해와 발암물질
마리화나를 상습적으로 사용하면 마리화나의 THC 성분이 암을 유발시키고 호흡기와 면역체계에 문제를 야기해서 여러 질병에 취약해지게 되어 수명이 단축되기 쉽다.
여러 연구조사에서 1주에 5회 마리화나를 피우는 것은 마치 담배 20개비를 매일 1주일간 피운 것과 같은 량의 발암물질들을 몸에 들여보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물실험에서도 마리화나의 주 유해성분인 THC가 인체의 면역 세포와 조직에 피해를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 마리화나와 뇌기능 파괴
마리화나를 피운 다음에 뇌로 전달된 마리화나의 THC 성분은 곧바로 카나비노이드 수용기들(Cannabinoid receptors)을 찾아가서 고착한다. 카나비노이드 수용기들은 우리 뇌의 보상 및 쾌락센터 밑 부분에 있는 기억력과 학습에 연관된 뇌의 해마(Hippocampus) 부위와 소뇌, 신경절 밑, 및 대뇌 피질 등에 밀집해 있어서 마리화나를 피우면 다른 마약과 달리 여러 뇌 부위의 기능들에 피해를 준다. 따라서 마리화나를 피우면 THC의 영향으로 학습과 기억능력이 방해 받아서 새로운 학습이 어렵고, 최근에 있었던 일들도 잘 기억하지 못하게 된다. 뇌신경 과학자들은 마리화나의 THC 성분이 뇌를 변형시켜주어서 코카인과 헤로인과 같은 마약들을 더 하도록 만드는 것으로 믿고 있을 정도로 마리화나는 뇌를 망가트린다.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에서는 2002년부터 매주 수요일 8PM부터 2시간 동안 “마약회복모임”을 제공하고 있다. 마리화나를 남용하는 10대 학생들의 치유는 부모들의 바른 치유방법에 대한 이해와 헌신에 달려있다.
<대마초 흡연이 뇌의 편도체와 측좌핵에 변화를 유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