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공학실습] 압출사출시험 (압출 & 사출) : 2가지 유형의 성형방법(압출, 사출)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조공학실습] 압출사출시험 (압출 & 사출) : 2가지 유형의 성형방법(압출, 사출)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험목적……………………………………3
이론배경……………………………………3
실험장비……………………………………5
실험과정……………………………………8
실험결과……………………………………8
토의&분석……………………………………8
참고문헌……………………………………8

본문내용

유리섬유, 탄소 등)을 혼합할 수 있음.
2.단점
금형가격이 높다
성형 사출기 및 부대 장치의 가격이 높다.
성형품의 품질을 빠르게 결정할 수 없다.
성형과정의 기본 지식을 모르면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사출성형 과정을 잘 제어할 수 없다.
불량
현상
원인
대책
Silver streak
성형품 표면에 수지의 흐름 방향으로 생기는 가는 선
Pellet중의 수분 수지의 과열분해
Pellet 건조 Air shot로 용융 수지의 발포 상태 를 본다.
Sink mark
표면에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오목현상
고화시 수축이 보압에 의해 충분히 보완되지 않음
보압 시간을 길게 한다.
flash
틈새에 용융된 수지가 흘러들어가 생기는 불필요한 부분.
형체력 부족 고압의 사출압 고속의 사출속도
형체력 증가 사출압,보압 낮춤 사출속도 낮춤
Flow mark
충전되면서 유동 궤적이 생기는 현상 게이트를 중심으로 동심원으로 생성
냉각된 부분에 용융수지가 다시 밀려 들어오며 생김
gate를 넓히고 사출속도 감속 Gate위치 변경 수지 및 금형온도 높임
태움
성형품의 일 부분이 검게 타는것
수지의 과열 또는 체류시간이 길다. Pellet에 들어간 공기가 빠져 나가지 못함
실린더노즐의 체류부의 점검 소용량 성형기 사용 배압을 높여 hopper 로 기체 방출
Void
성형품 내부에 생기는 빈 공간 진공포 기포
사출압이 낮다. 냉각의 불균일
급냉하지 않는다. 온도를 낮춰 압력을 높힘.
Short shot
성형품 일부가 성형되지 않는 현상
금형 온도,수지온도의 저온. 유동성이 나쁘다. 게이트 밸런스 불량
실린더 온도 증가 사출속도 증가 스프루,러너 게이트 증가.
Weld line
수지가 합류하는 곳에 생기는 가는 선
수지의 흐름 불량 수지중에 수분, 휘발유가 포함.
수지 온도 증가. 수지를 충분히 건조. 에어벤트를 설치.
실험장비
1.실험장비
사출기
압출기
실험과정
1.압출기
고장으로 인해 시험 X
압출된 폴리프로필렌만 관찰
2.사출기
사출기를 사용해서 1개의 제품을 제작해봄
실험결과
1.실험결과
토의&분석
압출/사출 된 결과물을 직접 보기도 하였으며, 특히 사출의 경우 대규모 공장에서의 반복작업에 특화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우리 실험실의 있는 사출기와 압출기를 살펴보면, 압출의 경우는 특정 제품을 만들기 보다는, 제품이전의 재료들을 섞는다거나 강화용도로 폴리프로필렌과 타 재료간의 섞는 기능을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압출기로 만들어진 재료들을 사출기의 성형틀로 만드는 방법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으로 보인다. 단순 노즐을 이용한다해서 실험실의 압출기처럼 무조건 스크류형식의 단순 모양으로 나오는 것만은 아니다. 압출기 또한 성형틀을 가져서 바로 제품화가 가능한 압출기들도 존재한다.
압출성형과 사출성형의 차이점
플라스틱 사출은 원료을 호퍼에 투입하여 실린더 내부에 열을 가하여 유동성이 있는 상태에서, 스크류로 밀어 내어 금형에서 제품을 찍어 내는 형태이다. 즉 핸드폰 케이스,아기욕조, 장난감 등이 모두 사출제품이다.
하지만 압출 성형은 조금 다르다. 원료 투입상태에서 열이 가해진 실린더 내부에서 스크류의 회전으로 압력을 가해 나오는 것은 어쩌면 동일 할 수 있지만 압출성형은 다이스라는 것을 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사용하는 플라스틱 화일, 비닐(PP필름,PE필름 등) 또는 OPP테이프 같은 경우는 압출성형으로 통해 얻어지는 생산물이다. 압출성형은 연속 작업이 가능하다. 우리가 흔히 보는 농사용 비닐(롤형태) 그리고 세탁업소 비닐 등은 압출성형 제품이다
참고문헌
① 제조공학실습 수업자료
② 공업재료가공학(5/e) 피어슨(김남수역)
③ 네이버 백과사전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7.07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60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