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와 사회문제] 다문화 사회 문제점 해결방안 - 다문화 사회의 개념, 다문화의 현황, 다문화 가정 및 이주 근로자 현황, 다문화 문제점, 다문화 사회 개선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사회와 사회문제] 다문화 사회 문제점 해결방안 - 다문화 사회의 개념, 다문화의 현황, 다문화 가정 및 이주 근로자 현황, 다문화 문제점, 다문화 사회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다문화사회의 정의 및 개념

2. 다문화사회의 현황 (및 구성)
1) 다문화 가정
2) 이주 근로자

3. 다문화사회의 문제점
1) 종교 문제
2) 인종 문제
3) 언어 문제
4) 정부정책의 문제

4. 다문화사회의 개선 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가장 많이 충돌하는 문제이다.
2) 인종 문제
인종문제는 피부색 차이에서 오는 이질감으로부터 나타난다. 제너포비아(Zenophobia)라는 말이 있는데 외국인 혐오증이라는 뜻으로 외국인이 우리사회에 문제를 일으킬 때마다 국민들이 외국인 노동자등 외국인을 혐오하는 것이다. 특히 저임금의 외국인 이주 노동자나 다문화 가족을 이룬 노동자들이 내국인들의 직장을 가로채거나 내국인 여성과 결혼하여 신부감 부족을 야기하며 세금으로 이주민에게 사회보장 혜택이 돌아간다는 등의 여러 이유로 혐오감을 표출하는 문제이다.
3) 언어 문제
언어문제는 의사소통의 부재로 나타나는 문제이다.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외국인이 늘어나게 되면서 그에 따른 문제점들이 생겨나고 있는데 다양한 문화배경으로 구성된 다문화가정과 가족들은 언어에 따른 다양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많은 외국인 엄마들이 회화는 되지만, 기초적인 한국어를 습득하지 못한 채로 결혼을 하여 소통이 원활하지 않고 또한 자녀에게 한국어를 제대로 가르치지 못하고 있어서 자녀들은 결국 한국어도 엄마 나라의 말도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초등학교에 들어오는 일이 많게 된다. 그러다 보니 언어적 발달 장애를 겪게 되고, 학교에서 친구들로부터 소외되며, 학습부진아가 되는 경우가 생긴다.
서울 거주 결혼이민자가 겪는 어려움으로 언어 59.1%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그림1>참조) 또한 대부분의 농촌 총각들이 국제결혼 전문업체를 통해서 결혼을 하다 보니 결혼할 상대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한 채 결혼을 하게 된다. 나이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가정 내의 다툼이 많아지고 거기에 배우자가 사회적응을 돕기보다는 오히려 문화의 상대성을 인정하지 않고 일반적인 수용만 강요함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외국인 신부가 이혼을 하고 자기 나라로 돌아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다문화 가정의 이혼율이 점점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005년에는 3.3%였던 이혼율이 2011년에는 10.10%로 가장 높은 이혼율을 보여주고 있다.
4) 정부정책의 문제
정부 정책의 문제점이 있는데 교육관련직원 또는 상담센터직원의 불친절 및 만족도가 높지 않은 서비스실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또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는 한계점과 담당공무원의 무사안일 및 방임주의적 의식이 문제가 된다.
4. 다문화사회의 개선방안
다문화사회의 증가속도를 볼 때 우리나라 다문화사회 지원정책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문적인 상담 기관이 필요하며 문제발생시 해결해 줄 수 있는 기관의 설립이 중요하고,
지원예산의 확대와 운영기관 및 상담센터 불친절 및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감사기능 실시 및 강화. 지원되는 예산이 제대로 쓰이고 있는 지와 불시적인 감사 기관의 방문으로 만족도 조사, 다문화 가족 구성원들이 사회적, 경제적 자립을 할 수 있도록 취업교육, 연계프로그램 등으로 특화된 정책 서비스를 제공하고 복지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한다.
또 담당공무원의 무사안일 및 방임주의적 의식 개선이 필요하고 다문화 교육을 위한 시민 교육이 필요하다.
여성가족부에서 다문화가족지원 포털사이트인 '다누리(www.liveinkorea.kr/)'를 운영하고 있다. 다누리는 다문화를 상징하는 다와 홈페이지의 우리말 누리집의 누리의 조합어로 다문화가족 모두가 누리다는 뜻으로 결혼이민자 및 다문화 가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Ⅲ. 결론
이제 다문화와 다문화가정은 우리사회에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이웃이자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역할과 기능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새로운 사회현상으로 등장하고 있다. 자신이 그동안 살아왔던 삶의 환경과는 완전히 다른 새롭고 낯선 환경에서 다른 언어를 배워가며 살아간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이 함께 부딪히고 있는 다문화 사회는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한 사회에 공존하는 사회라는 의미에서 사회통합의 문제로 이슈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다문화와 다문화사회로의 사회통합의 문제는 결국 다양성의 충돌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 민족, 성 그리고 사회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게 동등하고 공정하고 그리고 정당한 교육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조화로운 다양성에 근거한 다문화 인식개선과 교육으로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다문화가정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라는 인식을 가지고 배려와 수용적인 태도로 삶의 질을 함께 충족시켜 나가려는 상호적 지원역할의 노력이 필요하다.
다문화는 다양성을 기반으로 세상을 새롭게 바라본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고정관념과 편견, 선입관을 내려놓는 일이다. 다문화가정이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의 시선부터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들을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움직임이 필요하고 이들에게 특혜를 주는 것이 아닌 주변의 평범한 이웃처럼 지낼 수 있는 마음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내가 아무 곳에서나 쇼핑을 할 수 있는 것처럼, 무슬림인 사람도 자기 종교를 어디서나 지킬 권리가 있다. 그렇기에 누구나 자유롭게 살 수 있는 한국이 되었으면 좋겠고 또 모두들 자신의 권리를 지키면서 살 수 있는 곳이 되었으면 한다.
참고문헌
김성회. 2012. “정부의 이민 다문화정책 현황과 개선방향”. 법제처
김영숙,우정한. 2012. “다문화가정의 실태와 지원정책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60386&cid=47311&categoryId=47311
http://wrn2991.blog.me/220077561676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0107&docId=202788424&qb=7Jqw66as64KY6528IOuLpOusuO2ZlCDtmITtmak=&enc=utf8§ion=kin&rank=4&search_sort=0&spq=0&pid=SaFT0dpySDCssb6ddf0ssssssuG-351074&sid=VFnWPwpyVmYAAFEf1oY
  • 가격1,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07.11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63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