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주제 선정의 이유
2. 자살 문제가 왜 사회 문제인가?
Ⅱ.본론
1.자살에 대한 연구(뒤르케임)
2.우리나라 자살 문제의 심각성
3.연령대별로 알아보는 자살 원인
4.정부의 대책 현황
5.해결 위한 노력과 해결방안 제시
Ⅲ.결론
1. 주제 선정의 이유
2. 자살 문제가 왜 사회 문제인가?
Ⅱ.본론
1.자살에 대한 연구(뒤르케임)
2.우리나라 자살 문제의 심각성
3.연령대별로 알아보는 자살 원인
4.정부의 대책 현황
5.해결 위한 노력과 해결방안 제시
Ⅲ.결론
본문내용
구의 감소로 국가 경쟁력을 위협하는 요인임을 인식한 것이다.
대규모 자살 예방 프로젝트(심리 부검 실시)
전국 21개 지역에서 자살자 한 명 한 명의 자살 전 행동에서부터 의료와 사회보장지원, 경찰 기록 등이 모두 수집되고, 가족과 친구, 동료 등 주변 인물과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다.
자살자 1,397명의 분석 자료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유형별로 정리돼 자살 예방에 활용되었다. 지금은 상식처럼 들리는 이야기지만 극단적인 자살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우울증의 위험성과 관리의 중요성에 주목하게 된 것이다. 당장 우울증 등 심리 불안을 관찰하고 관리할 시스템이 마련되었다. 학교와 의사, 경찰과 관공서 공무원을 대상으로 관련 교육이 시작되고 자살 위험 감지와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매뉴얼이 완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 프로젝트의 결과는 즉각적이고 효과적이었다. 1990년을 전후해 천 5백여 건까지 치솟던 한해 자살 건수가 증가세가 한풀 꺾이더니 반 가까이 감소했다. 대규모 프로젝트는 모두 끝났지만, 이제 자살 관련 상담과 지원 업무는 SOS센터가 맡고 있다. 크고 작은 프로젝트가 계속됐고 지난해부터는 자살 시도자를 돕는 일에 힘을 쏟고 있다. 자살이란 그릇된 선택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피트니스 강사처럼 개개인에 맞는 맞춤식 관리를 해주는 것이다.
노키아 사장의 자살사례로 본 보도 원칙
1988년 당시 노키아 사장의 자살은 핀란드 사회 전역을 떠들썩하게 했다. 핀란드의 경제 성장이 점차 가시화돼 가던 시점에서 터진 충격적 사건이었다. 하지만 언론 기사는 간결했고 자살 방법 같은 건 다루지 않았다. 사회적으로 미칠 파장을 고려해 자극적인 내용은 철저히 배제한다는 언론 자율 보도 지침에 따른 이례적인 자살 사건 보도였다. 극단적인 행동의 전염성을 경험을 통해 알았고 핀란드 언론은 이를 간과하지 않은 것이다. 가수나 배우 등 연예인일지라도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있다면 모를까 자살 보도는 금기시하는 게 핀란드 언론의 전체적인 분위기이다. 자살 보도는 관련 통계 기사 아니면 인터넷 검색조차 쉽지 않고, 다큐나 대담을 통해 심층적이면서도 객관적으로 접근한다. 사회적으로 도움이 될 논쟁의 장을 만들거나 자살 충동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에서만 기사나 프로그램의 주제로 다루는 것이다. 핀란드는 이렇게 높은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 사회 전체가 고민했고 그에 맞는 시스템을 만들면서 건강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밑거름으로 삼았다. 나아가 아직 낮다고 할 수 없는 자살 건수를 더 줄이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취재후] 자살공화국 오명 벗은 핀란드…우리와 무엇이 달랐나?,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944738&ref=A, 2014년 12월 18일.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국회 심리적 부검을 의무화 해야 한다는 법안을 발의했다.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59849&yy=2014#axzz3MB9Oqfd9
그러나 이러한 심리적 부검에 대해서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복지부에서는 2009년에도 심리 부검 사업을 시행했지만 유가족 사례를 많이 찾지 못해 제대로 된 연구 결과를 내놓지 못했다. 이는 자살자의 유가족의 협조가 중요한데 이러한 협조가 잘 안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찰에서도 이러한 업무에 대해서 기피하고 있다. 사실상 범인 잡기에도 바쁜 상황에서 경찰이 이러한 일까지 하는 것에 무리가 있다는 이유이다. 핀란드에서 심리적 부검이 성공을 했다고는 하지만 가족의 자살을 밝히기 꺼리는 우리나라의 문화상 이러한 자료를 얻는 것이 쉽지 않아 보인다. 자살자의 가족 역시 자살 고위험군으로 분리되는 상황에서 유가족에게 또 다른 상처를 주는 행위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국경제,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102951041, 2014년 12월 18일.
그렇지만 나는 심리부검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자살 직전에 대한 징후가 나타난다고 한다. 물론 유가족에 대한 또 다른 상처를 주는 것 일수도 있지만 이러한 유가족을 보호해주는 것 역시 자살을 막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핀란드에서 시행한 것처럼 대중 매체에서 자살에 대한 보도에 대한 규제를 정하고 엄격하게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Ⅲ.결론
지금까지 자살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뒤르케임의 자살연구와 현재 우리나라의 자살 문제의 심각성과 연령별 주요 원인과 해결 방안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앞서 말했듯이 자살은 단순한 개인의 선택으로 치부할 수 없다. 한 개인의 행동은 결과이다. 이러한 원인을 제공하는 것은 바로 우리나라 즉 우리 사회이다. 우리 사회에서 개인에게 죽음을 강요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뒤르케임이 말했듯이 이타적, 이기적 자살이라고 말했는데 우리 사회의 잘못으로 인해 이러한 자살이 결국에는 숙명적 자살이 되게 만들었다. 우리 사회가 개인에게 죽음이라는 선택을 할 수 밖에 없게 만들어 버린 것이다.
이러한 자살을 해결하는 것은 바로 국가에서 해결해야하는 주요 문제이다. 핀란드도 자살이 사회에 중요한 문제라고 인식하였고 그렇기 때문에 국가에서 주도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자살을 단순한 개인의 선택으로 치부하고 있는 것 같다. 국가 예산도 턱없이 부족하고 시스템조차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것에서 이를 느낄 수가 있다.
자살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진안에서 시행하는 프로그램과 같이 개인의 멘탈적인 부분을 케어해줌으로써 해결하는 방안이 있지만 이는 단편적인 것에 불과하다. 연령대 별로 알아보는 자살의 원인 중에서 개인적인 부분은 거의 없다. 우울증이 개인적인 것이라 할 수 있지만 우울증은 자살의 원인이 아니라 결과이다. 사회 안전망의 부재로 인한 결과일 뿐이다. 교육 문제, 실업 문제, 노년 빈곤 등 이러한 문제는 개인이 아닌 국가가 나서야만 해결이 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면 자살률도 떨어지기 마련일 것이다.
대규모 자살 예방 프로젝트(심리 부검 실시)
전국 21개 지역에서 자살자 한 명 한 명의 자살 전 행동에서부터 의료와 사회보장지원, 경찰 기록 등이 모두 수집되고, 가족과 친구, 동료 등 주변 인물과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다.
자살자 1,397명의 분석 자료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유형별로 정리돼 자살 예방에 활용되었다. 지금은 상식처럼 들리는 이야기지만 극단적인 자살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우울증의 위험성과 관리의 중요성에 주목하게 된 것이다. 당장 우울증 등 심리 불안을 관찰하고 관리할 시스템이 마련되었다. 학교와 의사, 경찰과 관공서 공무원을 대상으로 관련 교육이 시작되고 자살 위험 감지와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매뉴얼이 완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 프로젝트의 결과는 즉각적이고 효과적이었다. 1990년을 전후해 천 5백여 건까지 치솟던 한해 자살 건수가 증가세가 한풀 꺾이더니 반 가까이 감소했다. 대규모 프로젝트는 모두 끝났지만, 이제 자살 관련 상담과 지원 업무는 SOS센터가 맡고 있다. 크고 작은 프로젝트가 계속됐고 지난해부터는 자살 시도자를 돕는 일에 힘을 쏟고 있다. 자살이란 그릇된 선택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피트니스 강사처럼 개개인에 맞는 맞춤식 관리를 해주는 것이다.
노키아 사장의 자살사례로 본 보도 원칙
1988년 당시 노키아 사장의 자살은 핀란드 사회 전역을 떠들썩하게 했다. 핀란드의 경제 성장이 점차 가시화돼 가던 시점에서 터진 충격적 사건이었다. 하지만 언론 기사는 간결했고 자살 방법 같은 건 다루지 않았다. 사회적으로 미칠 파장을 고려해 자극적인 내용은 철저히 배제한다는 언론 자율 보도 지침에 따른 이례적인 자살 사건 보도였다. 극단적인 행동의 전염성을 경험을 통해 알았고 핀란드 언론은 이를 간과하지 않은 것이다. 가수나 배우 등 연예인일지라도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있다면 모를까 자살 보도는 금기시하는 게 핀란드 언론의 전체적인 분위기이다. 자살 보도는 관련 통계 기사 아니면 인터넷 검색조차 쉽지 않고, 다큐나 대담을 통해 심층적이면서도 객관적으로 접근한다. 사회적으로 도움이 될 논쟁의 장을 만들거나 자살 충동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에서만 기사나 프로그램의 주제로 다루는 것이다. 핀란드는 이렇게 높은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 사회 전체가 고민했고 그에 맞는 시스템을 만들면서 건강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밑거름으로 삼았다. 나아가 아직 낮다고 할 수 없는 자살 건수를 더 줄이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취재후] 자살공화국 오명 벗은 핀란드…우리와 무엇이 달랐나?,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944738&ref=A, 2014년 12월 18일.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국회 심리적 부검을 의무화 해야 한다는 법안을 발의했다.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59849&yy=2014#axzz3MB9Oqfd9
그러나 이러한 심리적 부검에 대해서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복지부에서는 2009년에도 심리 부검 사업을 시행했지만 유가족 사례를 많이 찾지 못해 제대로 된 연구 결과를 내놓지 못했다. 이는 자살자의 유가족의 협조가 중요한데 이러한 협조가 잘 안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찰에서도 이러한 업무에 대해서 기피하고 있다. 사실상 범인 잡기에도 바쁜 상황에서 경찰이 이러한 일까지 하는 것에 무리가 있다는 이유이다. 핀란드에서 심리적 부검이 성공을 했다고는 하지만 가족의 자살을 밝히기 꺼리는 우리나라의 문화상 이러한 자료를 얻는 것이 쉽지 않아 보인다. 자살자의 가족 역시 자살 고위험군으로 분리되는 상황에서 유가족에게 또 다른 상처를 주는 행위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국경제,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102951041, 2014년 12월 18일.
그렇지만 나는 심리부검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자살 직전에 대한 징후가 나타난다고 한다. 물론 유가족에 대한 또 다른 상처를 주는 것 일수도 있지만 이러한 유가족을 보호해주는 것 역시 자살을 막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핀란드에서 시행한 것처럼 대중 매체에서 자살에 대한 보도에 대한 규제를 정하고 엄격하게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Ⅲ.결론
지금까지 자살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뒤르케임의 자살연구와 현재 우리나라의 자살 문제의 심각성과 연령별 주요 원인과 해결 방안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앞서 말했듯이 자살은 단순한 개인의 선택으로 치부할 수 없다. 한 개인의 행동은 결과이다. 이러한 원인을 제공하는 것은 바로 우리나라 즉 우리 사회이다. 우리 사회에서 개인에게 죽음을 강요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뒤르케임이 말했듯이 이타적, 이기적 자살이라고 말했는데 우리 사회의 잘못으로 인해 이러한 자살이 결국에는 숙명적 자살이 되게 만들었다. 우리 사회가 개인에게 죽음이라는 선택을 할 수 밖에 없게 만들어 버린 것이다.
이러한 자살을 해결하는 것은 바로 국가에서 해결해야하는 주요 문제이다. 핀란드도 자살이 사회에 중요한 문제라고 인식하였고 그렇기 때문에 국가에서 주도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자살을 단순한 개인의 선택으로 치부하고 있는 것 같다. 국가 예산도 턱없이 부족하고 시스템조차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것에서 이를 느낄 수가 있다.
자살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진안에서 시행하는 프로그램과 같이 개인의 멘탈적인 부분을 케어해줌으로써 해결하는 방안이 있지만 이는 단편적인 것에 불과하다. 연령대 별로 알아보는 자살의 원인 중에서 개인적인 부분은 거의 없다. 우울증이 개인적인 것이라 할 수 있지만 우울증은 자살의 원인이 아니라 결과이다. 사회 안전망의 부재로 인한 결과일 뿐이다. 교육 문제, 실업 문제, 노년 빈곤 등 이러한 문제는 개인이 아닌 국가가 나서야만 해결이 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면 자살률도 떨어지기 마련일 것이다.
추천자료
여성복지의 문제점과해결방안- 성차별, 여성빈곤, 아내학대
* 비정규직근로자의 현실 조명과 문제해결방안 *
[생활법률]출산율 하락과 불임부부의 문제해결방안 연구
[생활법률]출산율 하락과 불임부부의 문제해결방안 연구
장애아동입양에따른문제점및해결방안
고령화사회의문제점과해결방안
고령화사회의문제점과해결방안
[사회적_문제_요점정리]__학력위조의_원인과_문제점_및_해결방안
[사회적_문제_요점정리]새만금_사업이_끼친_환경문제의_실태와_해결방안(2012년 추천 우수 레...
푸제온(에이즈_치료제)으로_바라본_초국적_제약회사_횡포의_실태와_문제점_및_해결방안(2012...
[사회적_문제_요점정리]화이트칼라_범죄의_실태와_문제점_및_해결방안에_대한_나의_견해(2012...
(지역사회복지론)현거주지역사회문제 설정배경-지역사회 문제파악- 문제해결을 위한 목표설정...
[동일노동]동일노동 동일임금(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특성, 의미, 동일노동 동일임금(동일...
문제를 갖고 있는 주변의 이웃 또는 가족 (예를 들어, 노인, 장애인, 학생, 취업준비생, 질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