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복지법인
2. 재단법인
3. 재단법인으로 사회복지사업을 하는 법인의 특징
4. 재단법인으로 사회복지사업을 하는 법인과 사회복지법인과의 차이점
Ⅲ. 결론
Ⅳ. 참고문
Ⅱ. 본론
1. 사회복지법인
2. 재단법인
3. 재단법인으로 사회복지사업을 하는 법인의 특징
4. 재단법인으로 사회복지사업을 하는 법인과 사회복지법인과의 차이점
Ⅲ. 결론
Ⅳ. 참고문
본문내용
적에 처분, 위 사항에 의하지 않는 경우 국가에 귀속, 합병은 해산사유로 인정하지 않음
해산사유를 두지 않고 설립허가 취소, 잔여재산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 합병은 해산사유가 됨
합병
별도규정 없음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아 합병, 주사무소가 서로 다른 시ㆍ도에 있는 경우는 보건복지부장관의 허가받아 합병
Ⅲ. 결론본론에서 재단법인이면서 사회복지사업을 하는 법인의 특징과 이들 단체와 사회복지법인과의 차이점에 대해 비교하여 보았다. 사회복지법인이란 사회복지사업을 행할 목적으로 설립된 법인 또는 그 연합체를 말하며, 사회복지사업법제16조에 의하여 서울특별시장직할시장 또는 도지사와 보건복지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설립되는 법인이며 비영리재단법인의 설립근거는 민법 및 각 주무부처의 재단법인 설립에 관한 지침에 의하며, 출연하는 기본재산의 규모 등은 주무부처나 지자체의 재량에 의하여 정해진다. 사회복지사업을 실천하는 비영리재단법인은 조직 특성 상 충분한 자원 확보와 전문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신복기, 박경일, 이명현, 사회복지행정론, 공동체, 2013비영리법인 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2년차), 보건사회원구원, 2013
해산사유를 두지 않고 설립허가 취소, 잔여재산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 합병은 해산사유가 됨
합병
별도규정 없음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아 합병, 주사무소가 서로 다른 시ㆍ도에 있는 경우는 보건복지부장관의 허가받아 합병
Ⅲ. 결론본론에서 재단법인이면서 사회복지사업을 하는 법인의 특징과 이들 단체와 사회복지법인과의 차이점에 대해 비교하여 보았다. 사회복지법인이란 사회복지사업을 행할 목적으로 설립된 법인 또는 그 연합체를 말하며, 사회복지사업법제16조에 의하여 서울특별시장직할시장 또는 도지사와 보건복지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설립되는 법인이며 비영리재단법인의 설립근거는 민법 및 각 주무부처의 재단법인 설립에 관한 지침에 의하며, 출연하는 기본재산의 규모 등은 주무부처나 지자체의 재량에 의하여 정해진다. 사회복지사업을 실천하는 비영리재단법인은 조직 특성 상 충분한 자원 확보와 전문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신복기, 박경일, 이명현, 사회복지행정론, 공동체, 2013비영리법인 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2년차), 보건사회원구원, 2013
추천자료
사회복지주체에 대한 법적 검토 및 사회복지사의 법적 지위와 권한
사회복지사업법의 현황과 문제점 및 과제
한국의 의료기관의 특징을 규모, 시스템, 법률, 경영적 관점에서 설명하라
사회복지관의 행정체계
사회복지의 주체와 대상
비영리단체 설립의 목적 및 절차, 비영리단체의 운영현황
광주_기말_사회복지법제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주체의 종류와 문제점, 개선방안
사회복지주체에 대한 이해
민간위탁 운영 선정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복지재단의 기능과 역할
사회복지법제론 - 사회복지주체에 대한 법적 검토(국가와 수급자의 법률관계-공적 사회복지주...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 주체와 객체의 개념에 대하여 파악하고 사회복지의 법률관계에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