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Kurt Lewin
1. B=F(P*E)
2. 벡터심리학
3. 위상심리학
Ⅱ. 장의 주요개념
1. 개인
2. 심리적 환경
3. 생활공간의 계속성
Ⅲ. 장의 특징
1. 행동의 목적성
2. 지각과 실재의 상대성
3. 상황강조
4. 현재성
Ⅳ. 장이론에서의 학습
1. 변별
2. 종합
3. 재구성
1. B=F(P*E)
2. 벡터심리학
3. 위상심리학
Ⅱ. 장의 주요개념
1. 개인
2. 심리적 환경
3. 생활공간의 계속성
Ⅲ. 장의 특징
1. 행동의 목적성
2. 지각과 실재의 상대성
3. 상황강조
4. 현재성
Ⅳ. 장이론에서의 학습
1. 변별
2. 종합
3. 재구성
본문내용
만약 소망, 요구, 목적이 없다면 내적 긴장은 일어나지 않으며 행동도 일어나지 않는다고 보는 것입니다.
2. 지각과 실재의 상대성
실재는 개인의 요구, 목적, 필요에 의해 재해석 또는 지각됩니다.
지각은 감각기관의 신경부호로 뇌에 전달된 감각적 자극을 개인의 인지구조, 가치, 기대, 정서등으로 재해석하고 판단하는 심리적 과정입니다.
3. 상황강조
개인의 행동은 심리적 공간 안에 있는 환경적 단서의 전체적 관계, 즉 전체적 상황에 의해 결정됩니다.
4. 현재성
생활공간은 지금 이 순간 개인이 지각하고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행동은 지금 이 순간에 개인이 어디에 있는가, 즉 현재의 심리적 환경에 의해 결정됩니다.
Ⅳ. 장이론에서의 학습
장이론에서 학습이란 인지구조의 변화입니다.
인지구조의 변화 단계는 변별, 종합, 재구성 이렇게 3단계를 통해 일어납니다.
-1단계: 변별
모호하고 구조화되지 않은 생활공간의 영역을 구조화하고 세분화하는 것입니다. 자극간의 차이를 발견하는 것이 변별입니다.
-2단계: 종합
변별된 자극을 하나의 통일된 구조로 다시 통합하는 단계입니다.
-3단계: 재구성
통합된 구조에 근거해 또 다른 관계를 발견하는 단계입니다.
2. 지각과 실재의 상대성
실재는 개인의 요구, 목적, 필요에 의해 재해석 또는 지각됩니다.
지각은 감각기관의 신경부호로 뇌에 전달된 감각적 자극을 개인의 인지구조, 가치, 기대, 정서등으로 재해석하고 판단하는 심리적 과정입니다.
3. 상황강조
개인의 행동은 심리적 공간 안에 있는 환경적 단서의 전체적 관계, 즉 전체적 상황에 의해 결정됩니다.
4. 현재성
생활공간은 지금 이 순간 개인이 지각하고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행동은 지금 이 순간에 개인이 어디에 있는가, 즉 현재의 심리적 환경에 의해 결정됩니다.
Ⅳ. 장이론에서의 학습
장이론에서 학습이란 인지구조의 변화입니다.
인지구조의 변화 단계는 변별, 종합, 재구성 이렇게 3단계를 통해 일어납니다.
-1단계: 변별
모호하고 구조화되지 않은 생활공간의 영역을 구조화하고 세분화하는 것입니다. 자극간의 차이를 발견하는 것이 변별입니다.
-2단계: 종합
변별된 자극을 하나의 통일된 구조로 다시 통합하는 단계입니다.
-3단계: 재구성
통합된 구조에 근거해 또 다른 관계를 발견하는 단계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