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혁명의 발단과 심화
3. 대외 전쟁과 혁명 이상의 퇴색
4. 혁명이념 쇠퇴의 역사적 함의 : 개인의 자유를 중심으로
2. 혁명의 발단과 심화
3. 대외 전쟁과 혁명 이상의 퇴색
4. 혁명이념 쇠퇴의 역사적 함의 : 개인의 자유를 중심으로
본문내용
기인한 것이었으며, 혁명 이후의 현실이 이런 과도한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을 때의 실망과 환멸도 그만큼 큰 것이었다. 거기에 혁명정부의 무능과 부패에 대한 분노까지 겹치면서, 국민의 실망과 분노는 결국 이탈리아 원정에서의 눈부신 승리로 평화를 가져다준 젊은 장군에 대한 환호를 전화(轉化)했다. 그리고 그 결과는 국민이 혁명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해서까지 타도하려 했던 군주제의 부활이었다.
따라서 우리는 이 거대한 역사적 물결이 당대와 후대 사회에 미친 영향을 “공동체에 대한 개인의 자유”에 대한 함의로서 제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평가함으로써 이에 대한 맹목적인 찬양과 비판을 모두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기술적으로 말하자면 프랑스 혁명 자체는 나폴레옹의 황제 즉위로써 실패로 끝난 혁명이었다고 결론지어야 할 것이지만, 그것이 제기한 이상(자유와 평등, 그리고 박탈할 수 없는 인간의 천부인권)은 나폴레옹의 군사통치와 부르봉 복고 왕정의 폭압 속에서도 살아남아, 현재에 이르기까지 근대 세계에서 일관적으로 추구된 인간의 지고한 가치였다. 다시 말해서, 인간이 전근대 시대에 그러했던 것 같은 “공동체의 부품”이 아닌 “하나의 존귀하고도 독립된 개체”임을 천명하고 나선 것이다. 프랑스 혁명이 추구했던 가치에 기초한 자유 민주주의에 공감하면서 건국 세대들이 지키고 발전시켜 온 대한민국이, 여전히 전 근대 시대의 왕조체제나 다름없는 북한의 공산 전체주의적 망령에 대해 거둔 사회경제적/이념적 승리를 살펴보더라도, 프랑스 혁명이 “공동체에 대한 개인의 자유”라는 측면에서 갖는 의미는 실로 심대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 거대한 역사적 물결이 당대와 후대 사회에 미친 영향을 “공동체에 대한 개인의 자유”에 대한 함의로서 제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평가함으로써 이에 대한 맹목적인 찬양과 비판을 모두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기술적으로 말하자면 프랑스 혁명 자체는 나폴레옹의 황제 즉위로써 실패로 끝난 혁명이었다고 결론지어야 할 것이지만, 그것이 제기한 이상(자유와 평등, 그리고 박탈할 수 없는 인간의 천부인권)은 나폴레옹의 군사통치와 부르봉 복고 왕정의 폭압 속에서도 살아남아, 현재에 이르기까지 근대 세계에서 일관적으로 추구된 인간의 지고한 가치였다. 다시 말해서, 인간이 전근대 시대에 그러했던 것 같은 “공동체의 부품”이 아닌 “하나의 존귀하고도 독립된 개체”임을 천명하고 나선 것이다. 프랑스 혁명이 추구했던 가치에 기초한 자유 민주주의에 공감하면서 건국 세대들이 지키고 발전시켜 온 대한민국이, 여전히 전 근대 시대의 왕조체제나 다름없는 북한의 공산 전체주의적 망령에 대해 거둔 사회경제적/이념적 승리를 살펴보더라도, 프랑스 혁명이 “공동체에 대한 개인의 자유”라는 측면에서 갖는 의미는 실로 심대하다고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