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로마서 논고의 가치
II. 견제와 균형- 삼권분립의 이론적 기초 제공
III. 민주주의자 마키아벨리
IV. 미키아벨리에 대한 재평가
II. 견제와 균형- 삼권분립의 이론적 기초 제공
III. 민주주의자 마키아벨리
IV. 미키아벨리에 대한 재평가
본문내용
군주론에서 권력의 본질을 냉정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정치체제의 존립원리를 명쾌하게 설명하였다면 이러한 정치원리가 바람직하게 제대로 구현된 이상적인 정치체제가 바로 로마의 공화정이다.
로마서 논고는 3권의 책과 142개의 장으로 구성된 방대한 분량으로 보나 또한 군주론보다 나중에 쓰여진 시기로 보아서도 마키아벨리 정치사상의 결론으로 볼 수가 있다. 여기에 많은 학자들이 “군주론(The Prince)”보다 이 책을 마키아벨리의 보다 중요한 저서라고 주장하는 이유가 있다. 이 저서가 1531년에야 출간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이 책이 당시의 권위주의 정치체제에 도전하는 급진적인 정치사상을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법치주의, 견제와 균형 및 토론에 의한 정치를 주장한 마키아벨리의 사상은 민주주의체제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오늘날에는 상식적이고 진부하게 들릴 수 가 있다. 그러나 로마교황청의 권위가 하늘을 찌르고 군주국들에 둘러싸이어 정치적 압제가 일상화된 생활환경에 살아가고 있는 중세에 이러한 예리한 통찰을 하고 있다는 것에 놀라움을 금할 수가 없는 것이다. 마키아벨리즘(Maciavellism)이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섬뜩한 주장에 기반을 둔 독재자를 옹호하는 철학이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이 이 책을 읽게 되면 오히려 마키아벨리야 말로 근세에 있어서 계몽주의사상의 원조로서 불란서혁명, 미국혁명 등 근대민주주의의 토대를 마련하여 서구가 동양에 비하여 훨씬 빠른 성장을 하게 된 결정적인 사상적 기반을 제공한 근세 사상 가장 위대한 정치철학자라는 주장에 이견을 제기하기 어려울 것이다.
로마서 논고는 3권의 책과 142개의 장으로 구성된 방대한 분량으로 보나 또한 군주론보다 나중에 쓰여진 시기로 보아서도 마키아벨리 정치사상의 결론으로 볼 수가 있다. 여기에 많은 학자들이 “군주론(The Prince)”보다 이 책을 마키아벨리의 보다 중요한 저서라고 주장하는 이유가 있다. 이 저서가 1531년에야 출간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이 책이 당시의 권위주의 정치체제에 도전하는 급진적인 정치사상을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법치주의, 견제와 균형 및 토론에 의한 정치를 주장한 마키아벨리의 사상은 민주주의체제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오늘날에는 상식적이고 진부하게 들릴 수 가 있다. 그러나 로마교황청의 권위가 하늘을 찌르고 군주국들에 둘러싸이어 정치적 압제가 일상화된 생활환경에 살아가고 있는 중세에 이러한 예리한 통찰을 하고 있다는 것에 놀라움을 금할 수가 없는 것이다. 마키아벨리즘(Maciavellism)이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섬뜩한 주장에 기반을 둔 독재자를 옹호하는 철학이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이 이 책을 읽게 되면 오히려 마키아벨리야 말로 근세에 있어서 계몽주의사상의 원조로서 불란서혁명, 미국혁명 등 근대민주주의의 토대를 마련하여 서구가 동양에 비하여 훨씬 빠른 성장을 하게 된 결정적인 사상적 기반을 제공한 근세 사상 가장 위대한 정치철학자라는 주장에 이견을 제기하기 어려울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