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우주산업개론 중간고사 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항공우주산업개론 중간고사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항공기 기술 인증의 종류
2. 미연방 항공 규정에서 정의하는 민수용 고정익 항공기
3. 1927년 세계 최초로 뉴욕-파리 구간 횡단 비행에 성공한 사람
4. 1970년 에어버스사 설립에 공동 참여한 국가
5. 항공기 산업의 특성(1주차 27pg-31pg)
6. 냉전 종식에 따른 항공기 산업 환경의 변화
7. 공기보다 무거운 항공기 / 공기보다 가벼운 항공기
8. 엔진의 출력의 방향을 바꿔서 앞으로 나가는 힘 뿐만 아니라 자세를 제어하는 힘도 동시에 얻을 수 있게 하는 장치
9. 1979년 영국, 독일 및 이탈리아가 공동 개발한 지상공격용 전천후 가변익 전투기
10. 유럽의 신세대 전투기
.
.
.
.
37. 제공하는 항공교통업무에 따른 우리나라의 공역 구분 설명
38. 우리나라의 공역 관리 업무
39. 제공하는 항공 교통 업무에 따른 우리나라의 공역구분 설명
40. 시계상의 양호한 기상상태
41. 공항에 대한 정의

본문내용

기업으로 이전 : SpaceX
- 차세대 유인 우주캡슐 Orion 2014년 시험 발사
- 주요 우주사업 : 다목적 승무원 탐사선(CEV), 상업우주비행, J-2X 로켓엔진 개발, James Webb 우주망원경
31. 2000년대 우리나라 우주 산업
- 본격적 우주개발 착수
- 소형 위성 수출
- 우주개발 진흥법 제정(2005)
- 제1차 우주 개발 진흥 기본 계획 수립(2007)
32. 우리나라 우주 산업 중에서 무역 수지가 흑자인 분야
>> 위성활용서비스
33. 우리나라 우주 산업의 향후 과제
34. 항공 운송 산업의 특성
(1) 고속성 (2) 정시성 (3) 안전성 (4) 쾌적성 (5) 장거리 운항성 (6) 시간가치에 의한 경제성
35. 사용 목적에 따른 공역 구분
- 관제공역(Controlled Airspace) :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항공기의 비행순서·비행시기·비행방법 등에 관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지시를 받아야 할 필요가 있는 공역 으로서 관제권 및 관제구를 포함하는 공역
- 관제권(Control Zone) : 공공용으로 제공된 비행장 및 그 부근 상공의 지표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200m 이상 높이의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국토교통부 장관이 고시하여 지정한 공역
- 관제구(CTA;Control Area) : 항공로의 지표 또는 수면으로 부터 200m 이상 높이의 공역으로서 항공로를 항행하는 항공기의 지속적인 안전과 질서있는 항행을 확보하고자 관제를 실시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공역
- 비관제공역(Uncontrolled Airspace) : 관제공역 외의 공역 으로서 항공기에 탑승하고 있는 조종사에게 비행에 필요한 조언·비행정보 등을 제공하는 공역
○ 조언구역 : 항공교통조언업무가 제공되도록 지정된 비관제공역
○ 정보구역 : 비행정보업무가 제공되도록 지정된 비관제공역
- 통제공역 :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항공기의 비행을 금지하거나 제한할 필요가 있는 공역
○ 비행금지구역 : 안전·국방상 그 밖의 이유
○ 비행제한구역 : 항공사격·대공사격으로부터 항공기 안전을 보호
○ 초경량 비행장치 비행제한구역
- 주의공역 : 항공기의 비행시 조종사의 특별한 주의·경계· 식별 등이 필요한 공역으로서 훈련구역·군작전구역· 위험구역·경계구역으로 분류
○ 훈련구역 : 민간항공기의 훈련공역
○ 군작전구역 :
○ 위험구역 : 항공기 또는 지상시설물에 대한 위험이 예상되는 공역
○ 경계구역 : 조종사의 대규모 훈련이나 비정상형태의 항공활동이 수행되는 공역
36. 우리나라의 공역
- 인천비행정보구역(FIR) : → 25개 항공로 → 14개 접근관제구역 → 160여개 특수사용공역
37. 제공하는 항공교통업무에 따른 우리나라의 공역 구분 설명
- A등급 : 20,000ft 초과 60,000ft 이하 항로
-B등급 : 관제탑 운영, 레이다 접근관제업무 제공 ⇒ 인천, 김포공항 (5NM:SFC~1,000ft, 10NM:1,000~5,000ft, 20NM:5,000~10,000ft MSL)
-C등급 : 관제탑 운영, 레이다 접근관제업무 제공 ⇒ 김해, 제주 등 12 공항 (5NM:SFC~1,000ft, 10NM:1,000~5,000ft AGL)
-D등급 : 1) 관제탑 운영 : (5NM:SFC~5,000ft 이하 지정) 2) 최저항로고도(MEA) 이상 평균해면고도 20,000ft ,이하의 모든 항로 3) 서울접근관제구역 중 B등급 이외의 관제공역으로서 평균해면 10,000ft 초과, 평균해면 18,500ft 이하의 공역
-E등급 : 인천비행정보구역 중 A, B, C 및 D등급 공역 이외의 관제공역으로서, 영공에서는 해면 또는 지표면으로부터 1,000ft 이상 평균해면 60,000ft 이하, 공해상에서는 해면에서 5,500ft 이상 평균해면 60,000ft 이하의 공역
38. 우리나라의 공역 관리 업무
39. 제공하는 항공 교통 업무에 따른 우리나라의 공역구분 설명
40. 시계상의 양호한 기상상태
41. 공항에 대한 정의
- ICAO : 항공기의 도착, 출발이나 지상이동을 위하여 일부 또는 전체가 사용되는건물, 시설물, 장비 등이 포함된 육지나 수상의 일정구역
- FAA : 여객이나 화물을 항공기에 싣거나 내리기 위해 정기적으로 이용되는 착륙구역
- 우리나라 항공법 : 항공기의 이착륙 및 여객·화물의 운송을 위한 시설과 그 부대시설 및 지원시설 등 공항시설을 갖춘 공공용 비행장으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그 명칭·위치 및 구역을 지정하여 고시한 지역
  • 가격6,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8.08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84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