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및 이론
가. 실험 목적
나. 이론적 배경
2. 실험 장치
3. 실험 방법
가. SV - 10
나. Visco star plus
4. 실험 측정 자료
5. 중요 결과 및 분석
6. 결론
가. 실험 목적
나. 이론적 배경
2. 실험 장치
3. 실험 방법
가. SV - 10
나. Visco star plus
4. 실험 측정 자료
5. 중요 결과 및 분석
6. 결론
본문내용
뒷면의 S/W on
2) main menu가 diplay되면 커서를 measurement로 놓고 enter
3) output 화면이 뜨면 on 키를 누른다.
4) SP가 점등하면 스핀들 번호를 △▽이용하여 선택 (이 실험은 중점도 R3 선
택)
5) 다시 TAB를 눌러 RPM 수를 입력한다. (중점도 측정 시 RPM 100)
6) 다시 TAB 누르면 d(비중)이 점등하는데 통상은 물의 비중 1 g/cm³을 입력
7) 스핀들을 RL고 on s/w를 누른다.
8) quit를 눌러 실험을 종료한다.
4. 측정 실험 자료
측정기
측정온도
(°C)
측정시간
(s)
점성 계수
(cP)
점성 계수
(N·s/m²)
시료
1
SV-10
25.6
15
13.7
0.0137
스핀들 유
2
36.2
8.98
0.00898
3
46.3
6.37
0.00637
4
Visco
star plus
440.825
0.440825
기어 오일
5. 중요 결과 및 분석
옆의 그래프를 보면 알수 있지만, 온다가 올라가지만 그에 반에 점성계수는 점점 떨어지는 것을 알수 있다. 이는 유체역학에서 배웠다 싶이 온도와 점성 계수는 반비례 관계를 실험을 통해 검증한 것을 알 수 있다.
6. 결론
본 실험의 목적은 먼저 유체역학에서 배웠던 온도와 점성계수의 관계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고 생각이 된다. 그리고 점도를 여러 가지 실험 장치로 측정 해봄으로서 실제 점도 측정을 어떻게 하는지를 몸소 체험하는 것에 있을 것이다.
먼저 우리가 이번 실험에 사용한 장치는 AND 사의 SV- 10 이며, 이 장치는 공진 진동을 통하여 점도를 측정 하였으며, 두 번째 장치는 Visco star plus 점도계였다. 이 점도계는 회전을 통해 점도를 측정하는 장치였다.
실험 자체는 상당히 간다하고 금방 끝났으며, 아쉬운 점은 우리 학교 내에 있는 Visco star plus 점도계가 온도 측정하는 부분이 고장이 나서, 여러 번 측정은 하지 못하고 한번 어떤 식으로 측정되는지 확인한 것에 많이 아쉬움이 남는다. 하지만 SV - 10 은 제대로 측정 되었으며, 이 한 실험으로부터 온도와 점성 계수의 관계를 직접 눈으로 볼 수 있어 상당히 보람차고 의미가 있었다. 또한 지금 까지는 실험 장치의 노후 등 여러 환경 때문에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지만 이러한 첨단 장치를 이용해 정확한 결과를 한번에 얻게 되니 편리하기도 하며 신기하고 좋았다.
2) main menu가 diplay되면 커서를 measurement로 놓고 enter
3) output 화면이 뜨면 on 키를 누른다.
4) SP가 점등하면 스핀들 번호를 △▽이용하여 선택 (이 실험은 중점도 R3 선
택)
5) 다시 TAB를 눌러 RPM 수를 입력한다. (중점도 측정 시 RPM 100)
6) 다시 TAB 누르면 d(비중)이 점등하는데 통상은 물의 비중 1 g/cm³을 입력
7) 스핀들을 RL고 on s/w를 누른다.
8) quit를 눌러 실험을 종료한다.
4. 측정 실험 자료
측정기
측정온도
(°C)
측정시간
(s)
점성 계수
(cP)
점성 계수
(N·s/m²)
시료
1
SV-10
25.6
15
13.7
0.0137
스핀들 유
2
36.2
8.98
0.00898
3
46.3
6.37
0.00637
4
Visco
star plus
440.825
0.440825
기어 오일
5. 중요 결과 및 분석
옆의 그래프를 보면 알수 있지만, 온다가 올라가지만 그에 반에 점성계수는 점점 떨어지는 것을 알수 있다. 이는 유체역학에서 배웠다 싶이 온도와 점성 계수는 반비례 관계를 실험을 통해 검증한 것을 알 수 있다.
6. 결론
본 실험의 목적은 먼저 유체역학에서 배웠던 온도와 점성계수의 관계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고 생각이 된다. 그리고 점도를 여러 가지 실험 장치로 측정 해봄으로서 실제 점도 측정을 어떻게 하는지를 몸소 체험하는 것에 있을 것이다.
먼저 우리가 이번 실험에 사용한 장치는 AND 사의 SV- 10 이며, 이 장치는 공진 진동을 통하여 점도를 측정 하였으며, 두 번째 장치는 Visco star plus 점도계였다. 이 점도계는 회전을 통해 점도를 측정하는 장치였다.
실험 자체는 상당히 간다하고 금방 끝났으며, 아쉬운 점은 우리 학교 내에 있는 Visco star plus 점도계가 온도 측정하는 부분이 고장이 나서, 여러 번 측정은 하지 못하고 한번 어떤 식으로 측정되는지 확인한 것에 많이 아쉬움이 남는다. 하지만 SV - 10 은 제대로 측정 되었으며, 이 한 실험으로부터 온도와 점성 계수의 관계를 직접 눈으로 볼 수 있어 상당히 보람차고 의미가 있었다. 또한 지금 까지는 실험 장치의 노후 등 여러 환경 때문에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지만 이러한 첨단 장치를 이용해 정확한 결과를 한번에 얻게 되니 편리하기도 하며 신기하고 좋았다.
소개글